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65&local_id=10086476
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본 정인보 조선학의 사상적 토대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본 정인보 조선학의 사상적 토대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윤경(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02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학의 학문적 연원과 정체성연구의 일환으로 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한국학 연구를 선도했던 ‘정인보’사상의 철학적 토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정인보를 근대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국학자인 章炳麟(중국), 芳賀矢一(일본)와 비교하고 그의 학문적 뿌리인 강화학파 이건방과 철학적 계승성을 검토하여 근대 한국학의 철학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 정인보와 章炳麟 의 주체 사상은 각각 '저는 저로서 함'과 '자기에게 의지하지 남에게 의지하지 않는다(依自不依他)'라는 명제로 집약된다. 그러나 章炳麟 의'依自不依他'는 임시적인 幻我를 초월하여 無我를 증득함으로써 주체를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혁명을 주도하는 것을 말하며 정인보의 '저는 저로서'는 주체가 본심을 환기하고 불안이라는 도덕적 긴장 속에서 속일 수 없는 본심을 회복해나감으로써 주체를 확립하며, 민중의 감통을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章炳麟과 정인보가 지향한 주체는 '초월적인 자아'이며 '실존적인 자아'로 대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자는 상호 소통가능하지만, 사상적 영향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2. 정인보의 조선학 연구는 그가 제시한‘조선 얼’의 원류, 전개, 미래지향이라는 세 구조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정인보 조선 얼은 원류에서부터 그것의 전개와 미래 지향점까지 ‘자기에게 의존함(依自)’와 생명을 ‘널리 이롭게 함(弘益)’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져있다. 정인보는 음악과 가무, 東夷의 명칭을 가지고 조선 얼의 원류를 설명하고, 조선 얼의 전개를 말할 때는 주체적인 도덕의식으로 민중을 구원한 역사적 실례와 조선 불교의 依自利他 정신, 감통에 근본하는 威武정신 등을 예로 들었다.
    3. 정인보의 주체 의식과 조선학 연구는 朝鮮혹은 東國을 주된 연구로 삼았던 강화 양명학파의 학문 형태와 그의 스승인 이건방의 주체의식을 계승한 것이다. 또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에 대응하는 대응논리로서 민족 주체성을 되찾고자 한 시대적 사명의 실현이었다. 이는 군국주의를 추구한 高瀨武次郞이나 일본 정신의 확립을 목표로 민속학 연구에 치중했던 芳賀矢一와 다른 연구경향이다. 정인보의 조선학 연구대상은 ‘주체적’으로 조선 ‘민중의 복리’를 추구한 것이었다. 여기서‘민중의 복리’는 경제적 복지가 아니라 정신적 복리에 해당한다.
    정인보의 조선학은 조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고민한 것에 중점을 둔 것이지, 芳賀矢一의 경우처럼 자국의 고유정신의 탐색과 확립, 국수적 전개와는 거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주체사상은 章炳麟 의 영향이 아니며, 依自利他 정신으로 민중의 福利를 추구한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Jeong In-bo’, who led the Korea Studies in the horizon of modern East Asia, as part of the academic origin and identity research of Korea Studies. This study compared Jeong In-bo with Zhang Binglin (China) and Haga Yaichi (Japan), the representative national studies scholars of modern East Asia and reviewed the philosophical succession and Lee Geon-bang in Kanghwa Schools who was Jeong’s academic root, in order to clarif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identity of modern Korea Studies.
    1. Jeong In-bo and Zhang Binglin’s juche thought is integrated into statements ‘I act as myself’ and ‘Rely on yourself, not others’ respectively. However, Zhang Binglin’s ‘Rely on yourself, not others’ refers to ‘overcoming a temporary child-self and acquire non-self to establish one’s juche and to lead a revolution in society based on it, while Jeong In-bo’s ‘I as myself’ means the main subjective awakens the true intent and recover the true intent that cannot be deceived amid the ethical tension of anxiety, thereby establishing juche and realizing empathy of the people. What Zhang Binglin and Jeong In-bo aimed for is ‘transcendent self’ and can be compared to ‘existential self’. To conclude, both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ut their ideological influence relationship is not valid.
    2. Jeong In-bo’s Chosun Studies has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the ‘ideological basis, development, and future orientation of the Soul of Chosun’ he proposed. According to him, Soul of Chosun consists of two axes: ‘Self-reliance’ and ‘humanitarianism for all’ from its ideological basis to its development and future orientation. Jeong In-bo explained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Soul of Chosun with music, dance, and the Eastern ethnic group, and when talking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Soul of Chosun, he gave historical examples that saved the people with an independent, autonomous moral consciousness, ‘Benefiting others to benefit oneself’ in Buddhism, and pacification spirit based on empathy of the people.
    3. Jeong In-bo’s juche thought and Chosun Studies inherited the academic form of Kanghwa Yang-ming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Chosun or the Nation of the East as well as the juche principle of his teacher Lee Geon-bang. In addition, Jeong’s thought was also a realization of a calling in the time to regain national independence in response against the Japanese militarism. This is a different tendency of research from Takese Takejiro who pursued militarism or Haga Yaichi who focused on folklore studies to solidify the sense of Japan-ness. Jeong In-bo’s Chosun Studies ‘independently’ pursued the ‘welfare and benefit of the people’ of Chosun, and here, ‘the welfare of the people’ is spiritual welfare, not economic welfare.
    4. Jeong In-bo’s Chosun Studies mainly concerned the problems of Chosun independently, and is far from the exploration and consolidation of a nation’s own spirit or nationalistic development as in Haga Yaichi. Moreover, his juche thought is not an influence of Zhang Binglin, and is a pursuit of the well-being of the people through ‘benefitting others for the benefit of oneself’.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학의 학문적 연원과 정체성연구의 일환으로 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한국학 연구를 선도했던 ‘정인보’사상의 철학적 토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정인보를 근대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국학자인 章炳麟(중국), 芳賀矢一(일본)와 비교하고 그의 학문적 뿌리인 강화학파 이건방과 철학적 계승성을 검토하여 근대 한국학의 철학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 정인보와 章炳麟 의 주체 사상은 각각 '저는 저로서 함'과 '자기에게 의지하지 남에게 의지하지 않는다(依自不依他)'라는 명제로 집약된다. 그러나 章炳麟 의'依自不依他'는 임시적인 幻我를 초월하여 無我를 증득함으로써 주체를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혁명을 주도하는 것을 말하며 정인보의 '저는 저로서'는 주체가 본심을 환기하고 불안이라는 도덕적 긴장 속에서 속일 수 없는 본심을 회복해나감으로써 주체를 확립하며, 민중의 감통을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章炳麟과 정인보가 지향한 주체는 '초월적인 자아'이며 '실존적인 자아'로 대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자는 상호 소통가능하지만, 사상적 영향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2. 정인보의 조선학 연구는 그가 제시한‘조선 얼’의 원류, 전개, 미래지향이라는 세 구조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정인보 조선 얼은 원류에서부터 그것의 전개와 미래 지향점까지 ‘자기에게 의존함(依自)’와 생명을 ‘널리 이롭게 함(弘益)’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져있다. 정인보는 음악과 가무, 東夷의 명칭을 가지고 조선 얼의 원류를 설명하고, 조선 얼의 전개를 말할 때는 주체적인 도덕의식으로 민중을 구원한 역사적 실례와 조선 불교의 依自利他 정신, 감통에 근본하는 威武정신 등을 예로 들었다.
    3. 정인보의 주체 의식과 조선학 연구는 朝鮮혹은 東國을 주된 연구로 삼았던 강화 양명학파의 학문 형태와 그의 스승인 이건방의 주체의식을 계승한 것이다. 또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에 대응하는 대응논리로서 민족 주체성을 되찾고자 한 시대적 사명의 실현이었다. 이는 군국주의를 추구한 高瀨武次郞이나 일본 정신의 확립을 목표로 민속학 연구에 치중했던 芳賀矢一와 다른 연구경향이다. 정인보의 조선학 연구대상은 ‘주체적’으로 조선 ‘민중의 복리’를 추구한 것이었다. 여기서‘민중의 복리’는 경제적 복지가 아니라 정신적 복리에 해당한다.
    정인보의 조선학은 조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고민한 것에 중점을 둔 것이지, 芳賀矢一의 경우처럼 자국의 고유정신의 탐색과 확립, 국수적 전개와는 거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주체사상은 章炳麟 의 영향이 아니며, 依自利他 정신으로 민중의 福利를 추구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한국학 연구의 질적 제고 및 동아시아 ‘국학’비교 연구의 기반 마련
    근대의 대표적인 한국학자인 정인보의 사상적 지형도 구축을 통해 당대의 다양한 한국학 연구 연원과 양상을 재검토할 수 있고 본격적인「근대 동아시아 국학의 비교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초점으로 삼았던 정인보의 한국학을 당시 일본, 중국의 국학의 주요개념과 전통 철학의 관련성을 재검토함으로써 정인보 보다 앞서 조선학 연구를 시도한 최남선(崔南善), 박은식(朴殷植), 신채호(申采浩)의 연구 또한 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된다. ‘朝鮮學’으로 명명되는 근대 한국학 및 일본․중국의 국학을 비교하는 작업은 추후에 국내 뿐만 아니라 근대 동아시아 국학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근대 한국학의 대표주자이면서 내외적으로 다양한 사상 흐름 속에 놓였던 정인보 조선학을 종합 고찰하는 일은 바로 본격적인 근대 동아시아 국학 연구의 기초 작업이 될 수 있다.

    ▶ 조선학 연구의 사상적 토대연구를 통해 전통 철학의 시대적 역할 재조명
    근대 동아시아 사상계의 지평에서 조선학의 사상적 기반을 조망함으로써 근대 지식인과 현실대응 방안과 전통 철학의 시대적 역할을 재조명할 수 있다. 근대라는 시기는 외래 문화 및 학술사조에 대한 수용과 대응이라는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박한 시기였다. 근대 한국학의 철학적 토대를 검토하는 작업은 근대시기 지식인의 외래 사조 수용 및 전통의 재해석, 현실대응방안 등 그 사상 형성전반을 재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특히 그들의 자기인식과 주체사유의 기반이 과연 어디에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들에게 전통철학이 중요했다면 근대 사상과 민족 운동을 전통의 부정 혹은 단절 속에서 파악하는 인식을 재고해야 할 것이며, 외래사상을 적극 활용했다면 그 속에 자기 중심사유과 현실 대안론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런 과정은 근대가 만들어낸 현대에서 전통을 재해석하고 현실에 응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강화 양명학파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에 관한 후속 연구의 활성화
    본 연구에서 이건방과 정인보의 사상적 관계를 검토 하는 것은 근대 한국학의 내재적 발전 요인인 강화학파(江華學派)의 주체사유와 그 계승성을 확인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 한국학 연구의 연원 및 계보, 그리고 강화학파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후속 연구의 활성화로 지속될 수 있다. 한국에서 진행된 한국학의 내용적 형성은 근대 이전 세대까지 소급해볼 수가 있다. 이 점은 조선의 역사나 언어 연구에 대한 일반적인 학술 사조의 형성과 전개를 고찰할 때 충분히 설정 가능하며, 강화학파의 조선 연구가 그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근대의 한국학 연구를 선도했던 정인보의 ‘조선학’을 전통 철학과의 연계선상에서 고찰한다면 ‘조선학 형성의 토대’, 다시 말해 근대 한국학의 연원 문제를 좀더 심도 깊게 논의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 명․청 교체 이후 동아시아 사상계에서 전통적 중화의식의 균열이 일어나고 지역성이 발견되는 과정에서 조선의 독창성을 모색하는 일련의 학술 풍토가 일었으며 이 과정에서 ‘조선학’ 의 기반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지만, 북학파의 문학활동 중심의 연구였다. 조선 후기 한국학 연구의 다양한 양상 중에 하나인 강화학파 조선 연구의 철학적 계승성을 고찰하면 한국학 연구의 다른 양상인 북학파의 조선 연구 양상과 철학적 기반도 비교 검토할 수 있고 상호 관련성도 확인할 수 있다.

    ▶ 근대 전환기 강화양명학 사상의 교과서 반영
    정인보는 근대전환기 인물로 후기강화학파에 속한다. 현행윤리교과서에는 한국의 양명학 혹은 강화양명학파 사상에 대한 서술이 매우 미흡하다. 강화양명학파의 계승성 및 근대기 활동 양상에 대한 연구성과가 없기 때문이다. 정인보는 근대 전환기를 대표하는 전통지식인으로서 전통 학문 속에서 사상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발굴하고 이를 선양하려는 근대적 사명의식을 철저히 실행한 인물이다. 정인보의 주체사상과 조선학연구의 철학적 토대는 일본이나 중국의 국학열풍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강화양명학파 내의 專內實己, 一眞無假의 實學에 기반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현행 중등교과서에 반영하여 우리 사상의 정체성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근대, 동아시아, 조선학, 정인보, 국학, 장병린, 다카세다케지로, 하가야이치,정체성, 민중복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