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70&local_id=10086884
위험 제시 형식, 미디어 유형, 정보원 유형이 위험인식과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위험 제시 형식, 미디어 유형, 정보원 유형이 위험인식과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백혜진(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04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8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위험 제시 형식(메시지), 미디어 유형, 정보원 유형이 독립적으로, 또한 상호작용하여 공중의 위험 인식과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과정에서 개인 특성인 수리 문해력의 역할도 살펴보았다. 전문 온라인 리서치 회사의 전국 패널을 이용하여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함. 실험 설계는 8조건 (2 위험 제시 형식 x 2 정보원 x 2 미디어)의 집단간 실험이었으며 이 조건을 3개의 위험 주제 (신종플루, 콜레스테롤, 가공육 발암물질)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절대적 수치로 제시된 위험 보도를 읽은 피험자에 비해 상대적 수치로 제시된 위험 보도를 읽은 피험자가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았지만, 행동의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정보원 신뢰도가 높은 위험 보도를 접한 피험자 집단은 낮은 위험 보도를 접한 피험자 집단보다 행동의도 중 정부권고에 대한 순응의도가 더 높았다. 콜레스테롤 주제의 경우 소셜미디어(페이스북)에서 뉴스를 본 응답자들은 온라인 미디어(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본 응답자에 비해 사회적 위험 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미디어 유형이 위험인식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해 보인다. 또한, 수리 문해력이 높을수록 순응의도도 높았다. 본 연구에서의 정보원 신뢰도와 위험 제시 형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사회적 위험인식과 정부권고 순응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는데, 정보원 신뢰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상대적 수치로 제시된 발암물질 위험 메시지에 노출된 응답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았다. 또한 절대적 위험 제시 형식 조건과 정보원 고 신뢰도 조건에서 정부 당국의 권고방안에 대한 순응의도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수리 문해력이 낮은 집단에서 절대적 위험 제시 형식에 비해 상대적 위험 제시 형식으로 제시된 기사에 노출된 집단에서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tests how risk presentation format (absolute vs. relative risk), media type (social media vs. online news media), and source type (low vs. high credibility) independently and jointly affect people’'s risk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Numeracy was also examined to see what role it plays in predicting the dependent variables.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2 risk presentation format x 2 source credibility (high vs. low) x 2 media type between-subjects design and using 3 risk issues, namely processed meat carcinogens, H5N1, and colestrol. A leading online research firm in Korea was hired to recruit the study participants. Results show that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was higher in (a) relative risk presentation format condition, (b) relative risk presentation format x low credibility condition, (c) relative risk presentation format x low numeracy condition; Willingness to comply to the government' recommendations was higher in (a) high credibility condition, (b) absolute risk presentation format x high credibility condition, (c) high numeracy condition. In case of colesterol issue, those who read news on facebook had a higher level of societal-risk perception than those who read news on naver. But media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risk issue contexts or for the other dependent variables, requiring further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ㅇ 본 연구는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요소로 위험 제시 형식(메시지), 미디어 유형, 정보원 유형이 독립적으로, 또한 상호작용하여 공중의 위험 인식과 위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이었음. 전문 온라인 리서치 회사의 전국 패널을 이용하여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함. 실험 설계는 8조건 (2 위험 제시 형식 x 2 정보원 x 2 미디어)의 집단간 실험이었으며 이 조건을 3개의 위험 주제 (신종플루, 콜레스테롤, 가공육 발암물질)에서 검증함. 또한 이러한 검증 과정에서 수리문해력의 역할을 함께 살펴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ㅇ 연구결과, 절대적 수치로 제시된 위험 보도를 읽은 피험자에 비해 상대적 수치로 제시된 위험 보도를 읽은 피험자가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았지만, 행동의도에는 차이가 없었음. 정보원 신뢰도가 높은 위험 보도를 접한 피험자 집단은 낮은 위험 보도를 접한 피험자 집단보다 행동의도 중 정부권고에 대한 순응의도가 더 높았음.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본 응답자들은 온라인 미디어(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본 응답자에 비해 지인들이 같은 뉴스를 더 많이 볼 것이라고 응답함으로써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반영함. 콜레스테롤 주제의 경우 소셜미디어(페이스북)에서 뉴스를 본 응답자들은 온라인 미디어(네이버)를 통해 뉴스를 본 응답자에 비해 사회적 위험 인식이 높았음. 그러나 미디어 유형이 위험인식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해보임. 수리 문해력이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에 미치는 주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수리 문해력이 높을수록 순응의도도 높았음. 본 연구에서의 정보원 신뢰도와 위험 제시 형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사회적 위험인식과 정부권고 순응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즉, 정보원 신뢰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상대적 수치로 제시된 발암물질 위험 메시지에 노출된 응답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았음. 또한 절대적 위험 제시 형식 조건과 정보원 고 신뢰도 조건에서 정부 당국의 권고방안에 대한 순응의도가 가장 높았음. 수리 문해력과 위험제시 형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로는 수리 문해력이 낮은 집단에서 절대적 위험 제시 형식에 비해 상대적 위험 제시 형식으로 제시된 기사에 노출된 집단에서 사회적 위험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① 연구결과를 한국PR 학회, 헬스커뮤니케이션 학회, 언론 학회 등 주요 학회에서 발표하고 이를 논문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아직 생소한 연구주제인 위험 제시 형식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기대하고자 함.
    ② 기존의 위험 인식에 대한 미디어 영향 연구가 전통 미디어(방송, 인쇄매체)에 국한되어 있었다면 위험에 대한 정보가 소셜 미디어 등 뉴미디어를 통해 더 빠르고 넓게 확산되는 현실을 감안하여 미디어의 영역을 확장하고 미디어 유형을 재정의 하는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자 함.
    ③ 질병관리본부, 식품의약안전처 등 위험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의 인력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색인어
  • 위험 커뮤니케이션, 소셜미디어, 온라인 미디어, 정보원 신뢰도, 위험제시 형식, 수리문해력, 개인적 위험 인식, 사회적 위험인식, 정부의 권고 순응의도, 예방행동의도, 온라인 실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