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73&local_id=10086287
고대 근동과 구약의 우주 지형도 연구: 하늘, 땅, 지하세계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대 근동과 구약의 우주 지형도 연구: 하늘, 땅, 지하세계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희성(총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06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구약과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를 비교 연구한 것이다. 우주 지형도는 사람들이 주변 세계의 물리적 형태와 구조를 어떻게 보았고 상상했는지를 드러내 준다. 한 문화의 우주 지형도는 당대 사람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사물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관찰을 제시해 준다. 현대인들이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우주 지형도는 무수한 은하계들 가운데 하나인 태양계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태양계의 한 부분으로서 지구는 주변의 여러 행성들과 더불어 태양을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다. 지구상의 여섯 개의 대륙들은 다섯 개의 대양으로 둘러싸여있다. 이러한 우주 지형도는 오늘날 현대인들이 모두 공유하는 지식이다. 하지만 고대 근동인들은 오늘날 우리들과 사뭇 다른 우주 지형도를 상상했다. 메소포타미아인, 애굽인, 가나안인, 힛타인트인, 그리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공동적으로 우주의 구조를 세 가지 층으로 이해하였다. 우주의 상층부는 천상, 중간에는 지구, 하층부에는 지하세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천상에는 각 신들의 위계질서에 따라 신들의 거처가 있는 곳이다. 천상과 지구의 중간에는 궁창으로 간주되는 하늘이 있다. 하늘의 주된 기능은 천상에 있는 물을 떠받치는 것이다. 천상에 닿는 하늘에는 문이 있어 그 문을 통하여 천상에 이를 수 있고 태양, 달, 별들, 구름은 모두 그 문을 통하여 들어가고 나올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고대 근동인들은 지구의 형태를 평평한 디스크 모양으로 인식했다. 자신들의 지역을 지구의 중심이며 수도라고 여겼다. 땅의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는 하늘을 지탱하면서 하늘 끝에 닿는 산들이 있으며 이 산들은 지하세계에 뿌리를 박고 있다. 땅의 한 중앙에는 나무가 서 있었다고 믿었다. 땅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는 땅 아래의 물과 땅 위의 물로 나뉜다. 하지만 이 물들은 서로 분리된 구분된 개체가 아니라 연결된 하나의 물이다. 고대 근동인들의 우주 지형도에는 죽은 자들이 가는 장소인 지하세계가 땅 아래에 위치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 지하세계의 도시에는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신들의 신전들이 있다. 그렇다면 구약에서는 우주 지형도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살펴본다. 구약에서는 하늘의 모양을 궁창(겔 1:25,26), 하나님의 거하시는 곳(출 24:10), 둥근 하늘(욥 22:14), 허공 (욥 26:7-10), 궁창과 천막 (사 40:22), 하늘의 창문(창 7:11,12)과 같은 용어로 묘사한다. 땅의 모양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그 터를 바다 위에 세우심(시 24:2), 땅의 기둥 (욥 9:6-7), 땅의 기초들과 모퉁잇돌(욥 38:4-6), 온 세상의 중심인 땅의 한 가운데 있는 산(미 4:1,2). 지하세계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스올의 깊은 곳(신 32:22), 스올에 내려감(시 55:15), 스올과 하늘(사 14:9-10,13). 위와 같은 우주 지형도에 대한 성경의 묘사는 고대 근동인들의 것과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차이점은 무엇인가. 고대 근동인들은 이 우주지형도에 신전들이 있고 다신론적인 개념으로 각각의 구조를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구약은 유일하신 하나님 한 분이 이 모든 것의 창조자이시며 이 모든 세계를 섭리하는 분으로 묘사된다. 고대 근동인들의 우주 지형도는 자연계에 대한 관찰과 우주에 있는 신들의 역할에 대한 믿음에 기인하였다. 이스라엘의 우주 지형도도 고대 근동인들과 같이 관찰과 신학의 결과로 형성되었을 것이다. 이스라엘이 관찰한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의 것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으나 그들의 신학은 고대 근동인들의 다신론적 사상과는 전혀 다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지고 있었던 우주 지형도의 공유하는 개념 안에서 주변 국가들과는 다른 신학으로 그들과 의사소통을 하신 것이다. 오늘날 성경을 읽는 독자들은 성숙한 본문 이해와 바른 해석을 위해 당대의 사상과 세계관을 익힐 필요가 있다. 성경과 고대 근동 사상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염두에 두며 성경을 일고 해석해야 한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cosm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and the Old Testament, and compares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The cosmology reflects how humanity see and imagine the physical form and structure of the surrounding universe. The cosmology of one culture demonstrates the world view of the contemporary people and their experience and observ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universe as a whole. The modern scientific cosmology focuses on solar system among infinite expanding galaxies. The planet earth as a part of the solar system orbits the Sun with other planets and rotate a day 24 hours. The six continents of the planet earth is surrounded by five oceans. The modern people share this knowledge of scientific cosmology. The ancient Near East people, however, imagined a different cosmology from that we have nowadays. Mesopotamians, Egyptians, Canaanites , Hittites, and Israelites commonly shared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universe with three layers. The upper layer is the heaven, the middle is the earth, and the lower is the nether land. The heaven is the dwelling place of the gods according to their hierarchical structure. The sky regarded as firmament is in the middle between the heaven and the earth. The function of the heaven is to sustain the water in the sky. They thought that there are gates of heaven where sun, moon, stars, clouds go in and out through them. The ANE people recognized that the earth is like a flat disk shape and their dwelling territory is the center of the earth. There are mountains in the four corners of the earth that reach to the sky, supporting the heaven and these mountains rooted in the nether land. At the center of the earth, there is a cosmic tree. The sea surrounding the earth is divided into the upper water and the lower water of the earth, but the water is not the separated entity but joined together. The ANE people thought that there are nether land under the earth where the deceased go down. In this nether land, there are temples where the gods maintain their hierarchical organization. The Old Testament description of the cosmology is as follows. The Old Testament depicts the shape of the heaven with the words such as firmament(Eze 1:25,26), the dwelling place of God(Ex 24:10), the vaulted heavens (Job 22:14), skies over empty space (Job 26:7-10), the heavens life canopy (Isa 40:22), the floodgates of the heavens (Gen 7:11,12). The earth is described as the foundation upon the water (Ps 24:2), the pillar of the earth (Job 9:6-7), its cornerstones (Job 38:4-6), the cosmic mountain in the center of the earth(Mic 4:1,2). The descriptions regarding the nether land are as follows. The realm of the death below (Deut 32:22), go down alive to the grace(Ps 55:15), Sheol and heaven (Isa 14:9, 10, 13). The cosmology of the Old Testament is similar to that of ANE. The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ANE cosmology describes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with its relationship to the polytheistic perspective. However, the Old Testament describ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otheism that the one God, the creator, governs the universe. The cosmology of the ANE people was affected by the observance of the universe and their faith system upon the function of the gods. The cosmology of Israelites also was shaped by the similar elements. Even though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smologies, there are also differences caused by polytheistic and monotheistic perspective of theologies. God utilized the sharing cosmology of Israelites and the surrounding nation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m, but the theology behind it is different. The modern interpreters should be aware of the ideology and world view of the ANE in order to acquire the mature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text and interpret it proper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가 구약을 읽고 해석할 때 본문의 깊은 이해를 위해 본문이 처했던 문화적, 역사적 정황을 파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만약 독자가 이들을 무시한 채 구약 본문을 해석한다면 현대의 문화, 사상, 세계관에 의거해 본문을 이해하게 되고 나아가 해석상의 난맥에 봉착할 것이다. 최근 이와 같은 해석상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구약 해석자들은 구약의 배경이 되는 고대 근동의 정치, 문화, 언어, 종교, 사상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필요를 점점 실감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한 세기 동안 구약과 고대 근동학 사이의 비교 연구는 오히려 둘 사이의 불편한 관계를 초래했다. 학자들은 자신의 이념적 전제 하에 고대 근동의 여러 개별적인 자료들 가운데 선택적이며 특정한 데이터를 가지고 무리하게 왜곡된 주장을 통해 서로 소모적인 논쟁을 벌려 왔다. 하지만 이제 구약과 고대 근동의 비교 연구는 서로의 갈등을 극복하고 고대 근동 자료들의 개별적인 특징들뿐만 아니라 세계관, 사상, 문화적 역동성, 문학적 장르의 상관성과 같은 개념적 이슈들을 다루어야 한다. 즉 구약 본문의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고대 근동인들의 인지 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른 구약 해석을 위한 고대 근동 연구의 일환으로 고대 근동인들이 인식했던 우주 지형도(cosmic geography)를 살피고 구약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우주 지형도는 사람들이 주변 세계의 물리적 형태와 구조를 어떻게 관찰했고 상상했는지를 드려내 준다. 나아가 우주 지형도는 그 속에 살았던 사람들의 세계관을 반영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우주 지형도에 관한 연구는 고대 근동인들의 사상과 세계관을 들여다볼 수 있는 하나의 창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구약과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한 차이점과 유사점들을 발견하고 그것이 가지는 해석학적 의미를 파악한다면 구약 해석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게 될 것이라 사료된다. 고대 근동인들의 우주 지형에 관한 사상은 두 가지 영향으로 인해 형성되었을 것이다. 하나는 자연계에 대한 관찰이며 다른 하나는 우주에 있는 신들의 역할에 대한 믿음에 기인했을 것이다. 그들은 해, 달, 별들이 하늘의 일정한 궤도를 비슷한 경로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했다. 비는 하늘에 갇혀 있다가 일정한 기간에 하늘의 문이 열리면서 땅으로 떨어졌다고 보았다. 땅 아래에는 지하세계가 있어 죽은 자들과 신들의 거주지가 그 곳에 있다고 생각했다. 이스라엘의 우주 지형도도 고대 근동의 여러 국가들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관찰과 신학의 결과로 형성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관찰로 고안해낸 고대 근공의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으 것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과학과 수학이 발달한 계몽주의 후기의 자세한 우주 지형도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아직 계시하지 않으신 것 같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우주 지형도에 어떤 수정을 가하지 않으시고 그들에게 자신의 말씀을 계시하셨다. 이스라엘이 관찰로 형성한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의 것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으나 그들의 신학은 고대 근동인들의 다신론적 사상과는 전혀 다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지고 있었던 우주 지형도의 개념 안에서 주변 국가들과는 다른 신학으로 그들과 의사소통을 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성경을 읽는 독자들은 성숙한 본문 이해와 바른 해석을 위해 당대의 사상과 세계관을 익힐 필요가 있다. 성경과 고대 근동의 사상 사이에는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음을 염두에 두며 성경을 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대 근동인들의 우주 지형에 관한 사상은 두 가지 영향으로 인해 형성되었을 것이다. 하나는 자연계에 대한 관찰이며 다른 하나는 우주에 있는 신들의 역할에 대한 믿음에 기인했을 것이다. 그들은 해, 달, 별들이 하늘의 일정한 궤도를 비슷한 경로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했다. 비는 하늘에 갇혀 있다가 일정한 기간에 하늘의 문이 열리면서 땅으로 떨어졌다고 보았다. 땅 아래에는 지하세계가 있어 죽은 자들과 신들의 거주지가 그 곳에 있다고 생각했다. 이스라엘의 우주 지형도도 고대 근동의 여러 국가들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관찰과 신학의 결과로 형성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관찰로 고안해낸 고대 근공의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으 것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과학과 수학이 발달한 계몽주의 후기의 자세한 우주 지형도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아직 계시하지 않으신 것 같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우주 지형도에 어떤 수정을 가하지 않으시고 그들에게 자신의 말씀을 계시하셨다. 이스라엘이 관찰로 형성한 우주 지형도는 고대 근동의 것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으나 그들의 신학은 고대 근동인들의 다신론적 사상과는 전혀 다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지고 있었던 우주 지형도의 개념 안에서 주변 국가들과는 다른 신학으로 그들과 의사소통을 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성경을 읽는 독자들은 성숙한 본문 이해와 바른 해석을 위해 당대의 사상과 세계관을 익힐 필요가 있다. 성경과 고대 근동의 사상 사이에는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음을 염두에 두며 성경을 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무엇보다 학제간 융합의 일환으로 구약학과 고대 근동학의 융합이며 이를 통한 두 학제 사이의 시너지 효과 발생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구약과 고대 근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 두 학제간의 통합과 상생의 융합점을 찾게 될 것이다. 두 분야가 결코 서로 종속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 독립적인 연구 분야임을 인정하면서 각각의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좋은 선례를 제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원리와 그 원리를 적용한 한 예인 구약과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를 통하여 구체적인 안목을 얻을 수 있었다. 성경 본문을 읽고 해석하는 보수 진영의 학자들은 고대 근동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주의 깊게 평가하고 비교 연구를 통하여 성경 해석에 적용할 수 있다. 특별히 구약과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야이다. 우주 지형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고대 근동인들의 세계관에 대한 안목을 가지게 해 주었다. 우주 지형도를 비교 연구하는 본 연구는 구약 해석의 지평을 넓혀주며 다양한 후속연구를 파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가능성이 있는 후속 연구로는 고대 근동의 경제, 법, 가정, 범죄에 관한 징계, 종들에 관한 규범 등과 구약의 모세 오경과 비교 연구할 수 있다. 실로 그 분야는 이루 말할 수 없이 방대하다. 이러한 주제들을 구약과 비교하여 연구한다면 구약 해석에 상당한 빛을 제공해 줌과 동시에 학제간 융합의 좋은 선례를 남길 것이다. 본 연구자는 국내외 신학 연구소 및 각종 학술 대회 및 세미나에 적극 참여하여 고대 근동 연구주제에 대한 학술 토론에 참여할 것이다. 또한 본인이 연구한 결구 결과물을 발표하고 여러 학자들과 심도 있는 토론을 할 것이다. 발표한 연구 결과물을 학술지에 출판하여 여러 구약 학자들과 연구결과들을 공유할 것이다. 예상되는 학회지는 성경과 신학, 기독교 사상이다. 나아가 본인이 연구한 고대 근동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관련된 다른 여러 주제들을 선정하여 구약과 고대 근동 비교 연구를 지속적으로 할 것이며 이를 각종 논문집과 서적으로 출간할 것이다. 본인이 이룬 연구 결과의 전달 및 저변 확대를 위해 무엇보다 본인이 속해있는 총신대학교, 대학원, 평생 교육원에서 진행되는 구약 수업에서 고대 근동 강의를 통해 학생들에게 구약과 고대 근동 주제를 강의할 것이다. 학생들에게 성경을 해석할 때 고대 근동의 중요성을 알리고 바른 해석 방법론으로 학문 수행을 해 나갈 수 있도록 본인이 게재한 논문과 후속 논문들을 읽기 과제로 제시할 것이다. 본인의 연구 결과의 실천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성경을 읽고 해석하고 설교하는 교회의 목회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것이다. 목회 현장에서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수 많은 목회자들에게 고대 근동의 우주 지형도와 구약 성경의 우주 지형도의 관계를 소개하여 성경 해석의 새로운 해석적 안목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고대 근동과 구약 해석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 색인어
  • 고대 근동, 비교 연구 방법론, 우주 지형도, 구약 해석, 바벨론 세계 지도, 지하 세계, 신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