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102&local_id=10086035
기능운동 시 시각적 피드백이 뇌졸중 환자들의 운동능력과 지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2016S1A5A8017498 |
Year(selected) |
2016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17년 10월 31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17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본 과제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인 성과는 물론 실용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은 환측과 편측의 차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운동습관과 악순환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근력차를 줄여 예방과 ...
본 과제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인 성과는 물론 실용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은 환측과 편측의 차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운동습관과 악순환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근력차를 줄여 예방과 재활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얻는데 있다. 이로 인해 실시간의 시각적 피드백과 정밀한 결과 분석을 통한 인지적 인식에 대한 중요성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췄고 환자의 안정성을 고려해 단계별 결과를 산출하고 있음.
-
English
-
This research project has been successfully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ful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are expected along with scholastic results from this stud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difference in muscul ...
This research project has been successfully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ful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are expected along with scholastic results from this stud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between the dominant side and weaker side may lead to vicious circle of greater difference in movement, strength, and musculoskeletal deficiency. Visual feedback may assist to lead to reduction in movement difference as well as strength by allowing cognitive awareness of such movement biasnes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tep by step manner to consider patients and allow maxim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상해 후 올바른 재활을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운동습관이 매우 중요함. 이를 위해 운동 중 시각적 피드백 등을 통해 올바른 운동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임.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올바른 운동의 중요성을 확 ...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상해 후 올바른 재활을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운동습관이 매우 중요함. 이를 위해 운동 중 시각적 피드백 등을 통해 올바른 운동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임.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올바른 운동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정밀한 측정을 통해 뇌졸증은 물론 운동선수, 일반인들의 운동 중 잘못된 운동습관을 확인하려 함.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본 연구에서는 뇌졸증이 발병하였을 경우 좌우하지 근육량과 지방량의 차이가 일반인들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좌우측의 근력이 차이가 있을 경우 운동 중 좌우대칭적 움직임의 변화를 파일럿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좀 더 정밀한 연구 ...
본 연구에서는 뇌졸증이 발병하였을 경우 좌우하지 근육량과 지방량의 차이가 일반인들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좌우측의 근력이 차이가 있을 경우 운동 중 좌우대칭적 움직임의 변화를 파일럿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좀 더 정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이러한 활용방안은 움직임을 실시하는 다양한 대상자, 즉 건강한 대상자, 환자, 선수에게만 활용될 뿐만 아니라 움직임을 평가하고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운동전문가, 코치, 재활 트레이너, 연구자들에게도 대상자들의 일상생활 중 실시될 수 있는 움직임을 기록해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Index terms
-
기능운동, 시각적 피드백, 좌우 대칭
-
Examination field of requesting this research issues( The ranking of possible field is up to 3rd place)
-
1Ranking :
예술체육
>
체육
>
스포츠의학
-
2Ranking :
복합학
>
인지과학
>
인지발달및병리
-
3Ranking :
예술체육
>
체육
>
운동생리학/처방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