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128&local_id=10086950
필립 칸 고탄다의 가족극에서 트라우마의 공간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필립 칸 고탄다의 가족극에서 트라우마의 공간화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병언(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362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회지리학에서 사회와 공간의 구성주의적 이론에 기초하여 일본계미국인의 “사이의 공간”(in-between space)의 이중의식적 정체성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립 칸 고탄다(Philip Kan Gotanda)의 극들―󰡔2세 어부를 위한 노래󰡕(A Song for a Nisei Fisherman, 1981), 󰡔세탁󰡕(The Wash, 1987), 그리고 󰡔생선대가리국󰡕(Fish Head Soup, 1991)―에 나타난 일본계미국인의 인종적 혼종성과 그것의 정신병리학적 불안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공간화되어 있는가를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일본과 미국 사이에 존재하는 일본계미국인의 복잡한 심리적 풍경을 공간과 트라우마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 속에서 분석하는 이 작업은 인종차별이 생산하는 사회병리적 현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계미국인이라는 혼종적 인종에 작동하는 인종차별이 어떻게 수용소라는 공간적 차별화의 트라우마를 생산하고 이를 내면화시키는가, 또 인종적 트라우마가 어떻게 다양한 물리적 심리적 차별의 지리를 생산하는가를 인종과 공간의 사회구성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psychopathic anxiety of in-between Japanese Americans is spatialized by focusing on Philip Kan Gotanda’s plays, A Song for a Nisei Fisherman, The Wash, and Fish Head Soup. It is to explore the complex psychological landscape of Japanese Americans in the interrelated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trauma in order to reveal the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produced by racis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사회지리학에서 사회와 공간의 구성주의적 이론에 기초하여 일본계미국인의 “사이의 공간”(in-between space)의 이중의식적 정체성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립 칸 고탄다(Philip Kan Gotanda)의 극들―󰡔2세 어부를 위한 노래󰡕(1981), 󰡔세탁󰡕(1987), 그리고 󰡔생선대가리국󰡕(1991)―에 나타난 일본계미국인의 인종적 혼종성과 그것의 정신병리학적 불안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공간화되어 있는가를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일본과 미국 사이에 존재하는 일본계미국인의 복잡한 심리적 풍경을 공간과 트라우마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 속에서 분석하는 이 작업은 인종차별이 생산하는 사회병리적 현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계미국인이라는 혼종적 인종에 작동하는 인종차별이 어떻게 수용소라는 공간적 차별화의 트라우마를 생산하고 이를 내면화시키는가, 또 인종적 트라우마가 어떻게 다양한 물리적 심리적 차별의 지리를 생산하는가를 인종과 공간의 사회구성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말하자면, 이는 역공간성에 처한 일본계미국인의 혼종적 주체성과 그들의 이중의식적 경험에 주안점을 두어 인종차별적 “구별짓기”(distinction)로 인해 혼종성과 자기분열의 효과로 나타나는 불안과 분노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트라우마가 어떻게 차별적 공간의 양식으로 나타나는가를 “역설적 공간”(paradoxical space), “사회적 중간지대”(social limbo), 그리고 양가적이고 혼종적이며 “틈새 공간”(interrogatory, interstitial space)―을 비판적으로 원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고탄다의 세 편의 극에서 일본계미국인이 인종적 분류, 인종적 이미지의 내면화, 공간의 차별적 분할을 통한 수용소 감금에서 인물들이 겪는 트라우마의 정신병리적 현상의 정치성을 밝힌다. 트라우마는 “갑작스럽고 파국적인 사건이 주는 압도적인 경험”(Caruth, Trauma 11)이자 압도적인 외부의 자극을 막아내는 “정신적 피부”라는 “보호막”(protective shield, Lifton 166 재인용)을 뚫을 정도로 강력한 외부의 자극들으로 정의되는데, 본 연구는 미국의 ‘구별짓기’의 사회적 지배체제 속에서 역공간적 일본계미국인이 경험한 수용소 감금이라는 인종적 트라우마가 고탄다의 극에서 어떻게 공간성의 방식으로 시각화되는가를 밝힌다. 고탄다의 극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크게 1) 인종차별 2) 일본계미국인의 정체성의 문제, 3) 가부장제적 폭력과 페미니즘적인 시각에 관한 연구에 맞춰져 있다. 본 연구는 역공간에 처한 일본계미국인의 수용소 감금의 경험에 주목하여 어떻게 인종의 ‘구별짓기’가 그들의 정신병리적 트라우마를 생산하며, 또 어떻게 그들이 공간적 차별의 지배담론을 내면화시키는 과정에서 수용소 사건과 이미지에 “사로잡히는” 트라우마가 공간의 차별적 지리로 형상화되는가를 공간과 트라우마의 구성적 관계성 속에서 읽어낸다. 요컨대, 본 연구는 고탄다의 극에서 일본계미국인의 이중의식적 신체에 작동하는 트라우마의 공간화(spatializations)가 지닌 정치적·심리적 함의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인종차별이 새겨진 그들의 신체에 구성되고 각인된 물리적, 정신적 역공간성의 정신병리학적 트라우마와 그것의 의해 생산된 차별적 지리의 함의를 밝히는 작업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일본계미국인이라는 혼종적 주체가 어떻게 공간의 차별적 분할에 의한 수용소 감금의 트라우마를 내면화하고, 또 다양한 이미지로 반복되는 트라우마에 대한 ‘침묵’이 어떻게 개인, 가족, 그리고 공동체에서 차별적 지리의 양식으로 나타나는가를 인종과 공간의 구성적 관계성 속에서 진단하여 일본계미국인의 “정신적 풍경”(psychic landscapes, Brown 17)을 읽어내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일본계미국인의 역공간적 위치를 그려낸 필립 칸 고탄다의 극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국내외에서 아주 일부 수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역공간이론이나 사회지리학적 관점을 이러한 극작품의 해석에 적용하거나 원용한 논문들은 없다. 그러나 공간이론에 기대어 고탄다의 가족극을 공간성의 담론으로 사회병리학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일본계미국인의 이중의식과 이로 인한 불안을 연구하여 그들의 “정신적 풍경”을 살피는 데 의미가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사회를 공간의 문제로 읽어내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정신병리학과 연관지어 논의하는 경우는 드물다. 서구에서는 20세기초부터 사회병리학에 관한 관심의 결과로서 󰡔사회병리학󰡕(Social Pathology)이라는 똑같은 제목으로 D. M. Mann과 S. A. Queen(1925), George Mangold (1932), J. L. Gillin(1939), 또 E. M. Lemert(1951)에 의해 쓰여졌으며, 최근에는 Barones Barbara의 Social Area and Social Pathology(1978), Jerome Braun이 편집한 Social Pathologies in Comparative Perspective(1995)이 있을 정도로 사회병리학에 관한 저서뿐 아니라 이를 실제의 삶에 원용한 수많은 연구 논문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공간이론 및 사회병리학을 문학작품 특히 인종적 양가성을 지닌 일본계미국인 극작가가 그려낸 극작품을 해석하는 데 원용하여 논의한 논문이나 저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탄다의 가족극에서 일본계미국인의 역공간성을 정신병리학적인 입장에서 그 정치성을 읽어낸다. 이 연구는 정신병리학과 현재 서구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공간이론을 문학작품의 해석방법으로 원용하여 문학작품이 하나의 사회지리학적 정신병리학의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작업이다. 이 작업은 문학텍스트를 하나의 사회병리학적 텍스트로 간주하고 사회를 공간 및 정신병리의 측면에서 접근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혼종적 인종의 문제, 더 나아가 인종, 문화, 그리고 사회병리현상의 연구를 위한 하나의 틀로서 학제간 연구를 위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필립 칸 고탄다, 󰡔2세 어부를 위한 노래󰡕, 󰡔세탁󰡕, 그리고 󰡔생선대가리국󰡕, 일본계미국인, 사회지리, 사회병리, 트라우마, 혼종성, 구별짓기, 틈새공간, 역공간, 역설적 공간, 사이의 공간, 사회적 중간지대, 구성주의적, 이중의식, 상징폭력, 보호막, 공간화, 사회 문신화, 정신적 풍경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