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154&local_id=10086756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이해를 위한 포토보이스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이해를 위한 포토보이스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민아(명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61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 청소년 6명을 모집하였고, 총 7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토의를 통해 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과 관련한 주제를 선정하였고, 각 주제에 대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잘 표현하는 사진을 촬영하여 집단토의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공유하였다. 연구자는 집단토의의 내용을 분석하여 총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주제에 따라 촬영한 사진과 그 사진에 반영된 자신의 경험 및 감정은 내러티브로 표현되었으며, 연구자는 각 주제에 적합한 사진과 내러티브를 선정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은 비장애청소년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발달장애의 특성을 반영하는 독특한 욕구와 어려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주로 학교와 집이 유일하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었고, 가족을 제외하고는 학교 친구나 이성친구, 선생님과도 제한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욕구에 기반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뿐 아니라,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현장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ci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A total of 7 sessions of a photovoic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six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selected themes related to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boyfriends/girlfriends, parents, and persons whom I need,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shared their photos related to the themes with other participants. Transcribed discussion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analyses yielded 15 subthemes within selected themes. The participants’ stories related to each theme were reflected in their photos and narratives. Then, photos and narratives that better elaborate each theme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ot only have common needs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as the same as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but also have unique social needs and challenges due to the nature of disability. The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social relationships mostly at school or home, but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boyfriends/girlfriends, and teachers were still limited. The study results can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programs for promoting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 for increasing awareness of the social needs of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자주도형 연구방법인 포토보이스를 이용하여 당사자의 시각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이해하고, 이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를 진단받은 자 중 사진촬영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 13에서 18세의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기씩(약 2시간) 총 7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오리엔테이션, 개별면접 및 집단토의, 사후평가 모임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주제 토론을 통해 5개의 주제(친구들과의 관계, 학교 선생님과의 관계, 이성친구와의 관계, 부모님과의 관계, 나에게 필요한 사람)를 선정하였고, 각 주제에 대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잘 표현하는 사진을 촬영하여 사진과 관련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연구자는 전사된 집단토의의 내용을 독립적으로 코딩하고 연구자 간의 코드를 비교 및 검토하여 총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각 주제에 적합한 사진과 내러티브는 연구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킴으로써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인 개입 방안에 함의를 제공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3급의 청소년 6명으로, 평균연령은 18.33세였다. 이들은 총 7회기의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잘 드러내는 사진을 촬영하여 집단토의에서 공유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집단토의 내용을 분석하여 각 주제와 관련한 총 15가지 하위주제-(1)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롭고 고독함, 친구들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함,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2)나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선생님께 감사함, 선생님과 교류가 많지 않아 속상함, 선생님이 나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람, (3)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싶음, 이성친구를 사귀는 것이 두렵고 걱정됨, 이성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함, (4)부모님의 한결같은 사랑에 감사함,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거움, 아버지와 관계가 소원하여 아쉬움, (5)나와 함께 해 주는 사람, 나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사람, 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은 비장애청소년과 마찬가지로 친밀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공통되는 욕구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발달장애의 특성을 반영하는 독특한 사회적 욕구와 어려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에게 학교와 집은 유일하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었지만, 학교 친구나 이성 친구, 선생님과 제한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중요한 사회적 자원이 되는 부모님, 또래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등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현장에서 이들의 사회적 욕구에 적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발달장애 청소년이 당사자의 시각에서 사진과 언어로 표현한 사회적 관계의 현실, 어려움 및 기대는 다양한 현장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대중의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발달장애인, 청소년, 사회적 관계, 포토보이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