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163&local_id=10086710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표준화 직업 분류 및 진로교육 학습자료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표준화 직업 분류 및 진로교육 학습자료 개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양구(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67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표준화 직업 분류 개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표준직업분류(2014)에서는 체육 및 스포츠와 관련된 직업들이 충분히 포함되어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관련 전문가에는 경기감독, 코치, 직업운동선수, 트레이너 등이 소분류로 제시되어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직업흥미 및 직업성격 검사도구에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이 두 가지의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제시하고 있는 진로 정보가 운동선수들의 전공과 관련된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직업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다양하게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음에 청소년기 운동선수가 직업을 탐색하고 진로를 설정하기 위해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이 진출 가능한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진로 유형을 탐색하여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진로 설정과 진로역량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성화된 체육·스포츠 산업 내의 표준화 직업 분류를 개발하여 이를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진로역량강화를 위한 진로교육 학습자료 개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 다양한 진로 선택의 기회를 실현시켜주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학생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며, 이는 앞선 과제 연구 1과 연결 지어져 해결되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은 일반적인 청소년들과 달리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고 이를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는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군 별로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학습자료가 필요한 것이다. 이들 직업군 별로 특성화된 학습자료는 가장 적은 시간의 투입으로 가장 큰 교육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기에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다양한 진로 선택의 기회를 실현시켜주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학습정보로써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1. Developing the Standardized Job Classification in the Physical Training/Sports Industries
    The Korean Standard Job Classification used in South Korea, currently (2014) does not include sufficient jobs related to physical training and sports. Experts related to sports and recreation suggested in the Korean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clude athletic manager, coach, professional player and trainer as subclasses. In addition, currently, since in the job interest and job characteristic examination tools available domestically, the information about careers presented when adolescent sports players would use in order to choose two careers do not include a variety of concrete information in physical training/sports industries relate to the sports players’ majors, they have many lacking points by which the adolescent sports players utilize to explore jobs and set their career. Thus, this study would explore the types of careers in the physical training/sports industries to which adolescent sports players can advance, develop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 the specialized physical training/sports industries that can help adolescent sports players choose careers and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y substantially and provide them with these as materials.

    2.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to improve Adolescent Sports Players’ Career Competence
    To realize various opportunities to choose careers for adolescent sports players,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choose a job suitable for each student’s aptitude, which can be settled by connection to the previous project research 1. In reality, adolescent sports players absolutely have insufficient time for choosing various careers unlike general adolescents and realizing them. Thus,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learning materials are needed by each job cluster suitable for adolescent sports players’ aptitude. The learning materials, specialized for these individual job clusters are a method to show a great effect on education with investing the minimum time, so they have a high value for utilization as necessary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realization of various opportunities to choose various careers for adolescent sports play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에서 직업 유형의 특징은 세분화 및 전문화로 분류되어져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청소년들의 경우 미래에 진출 가능한 직업분야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습득하고 이에 따른 준비를 사전에 철저히 하는 반면,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은 자신의 성격적 특성이나 직업에 대한 흥미에 아무런 지식과 경험을 얻지 못한 채 운동에만 전념하고 있는 실정이여서 운동선수로서의 진로 외 그들 자신에게 적합한 미래의 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은 조기에 자신의 직업 적성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에 선택할 수 있는 직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지금에 연구가 필요한 이유 역시 현실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인해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도하다.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은 매 학년 전체의 약 24%가 운동부에서 탈락하고 있으며, 전체 운동선수들 중 약 10% 이하가 전문적인 직업 운동선수가 되고, 나머지 약 90% 이상의 운동선수들은 부상 및 기량 저하로 인하여 중도탈락하게 된다(이규일, 허창혁, 류태호, 2011). 이들은 운동중단 후의 진로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못한 상태에서 사회로의 재진입에 어려움을 겪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융합된 생활을 이어가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기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운동선수로서의 진로만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며, 청소년기 운동선수로 활동하던 중 중도탈락을 할 경우 큰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 운동선수로서의 진로 설정과 더불어 다양한 체육계로의 진로역량강화를 위한 진로 지식과 이를 준비하기 위한 진로교육에 필요한 학습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국내의 경우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진로를 선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는 그리 많지 않으나 자신의 흥미와 적성 등 성격적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검사지가 일부 존재한다. 이들 검사도구는 Holland의 6각 모형이론에 근거하여 흥미유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개인이 좋아하는 활동이나 흥미, 업무 환경, 일에 대한 가치 등을 알아보는 정도로만 진행되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검사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성 내용들만으로는 체육·스포츠 산업현장 내에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 선택 가능한 진로를 다양화하고 세분화 시켜줄 수 없기에 실질적인 삶과 연계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에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진로역량강화와 진로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료 및 진로지도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인식되고는 있으나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진로역량강화를 위한 기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초연구와 자료가 부족한 결과,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진로지도의 교육적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진로역량강화 및 진로지도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직업흥미와 성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운동선수들이 선택할 수 있는 체육·스포츠 산업현장 내의 직업에 대한 다양하고 세부적인 안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연구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두 가지 진로를 실현할 수 있는 체육·스포츠 산업현장 내의 직업을 다양하고 세부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도록 체육·스포츠 산업 관련 분야의 표준화 직업 분류를 개발하고자한다. 둘째, 체육·스포츠 산업 관련 분야의 표준화 직업 분류를 통해 제시된 직업군들을 바탕으로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에게 실질적인 진로교육의 학습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운동선수를 위한 듀얼커리어 진로교육과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진료교육 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선수들의 경우 직업적인 시각으로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에 비해 확연히 빠른 은퇴시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에 운동선수 직업 이외의 다른 인생계획이 필요하여 운동을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진로 계획은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 국외사례의 경우 미국, 호주, 일본 등 선진 국가에서는 이미 듀얼 커리어 시스템이 잘 정착화 되어있어 운동선수들의 진로 및 취업에 도움을 주고 있기에 우리나라 역시도 운동선수를 위한 듀얼커리어 진로교육과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변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운동선수들은 운동과 학업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임에 운동기량과 더불어 진로 설정에 필요한 학업의 효율성 모두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교육과정이 개편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운동선수 담당 교사 및 상담교사의 진로교육 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마이스터 고등학교와 같이 졸업과 동시에 취업이 될 수 있는 취업밀착형 커리큘럼을 운동부를 육성하고 있는 중등학교에서도 사전 진로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국외사례 독일의 경우 학교와 스포츠클럽 및 체육단체들과의 협업으로 스포츠 엘리트슐레(Eliteschule des Sports’)라는 스포츠엘리트를 양성하는 체육학교와 스포츠슐레(Sportschule)라는 체육중점학교에서 스포츠에 재능이 있는 우수선수를 전학시키거나 위탁교육(전문성개발)을 하는 등 운동선수시절부터 스포츠지도자, 심판, 행정교육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있음에 우리나라의 진로교육과정도 변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운동선수들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대한 경험이 매우 부족하여 진로의 막막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진로교육 자료의 확산과 전담부서의 운영이 절실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운동기량향상에 목적을 둔 운동부시스템 하에 국위선양을 위하여 올림픽이나 세계대회 입상을 목표로 고된 훈련을 하는 운동선수들에게도 교육부와 문체부, 시도체육단체가 협력하여 운동선수를 위한 진로지원센터와 같은 전담부서가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운동선수들은 운동선수로 생활하는 동안 운동기능 향상을 위하여 고립된 생활에 갇혀 있어 운동선수들에게 운동장소 외에 새로운 곳으로의 사회진출은 큰 두려움으로 남고 있다. 더구나 협소하고 제한적인 체육·스포츠관련 직업들로 인하여 운동선수 출신자들의 진로개척은 더 어렵기만하고 다른 분야로의 전환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지만 다른 분야로의 이직 후 쉽게 적응하지 못해 짧은 기간 내 직장을 그만두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축적해왔던 전문성을 살려 그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육·스포츠 관련 직업들을 더 많이 소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금에 연구결과물처럼 이들에게 좀 더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정착될 수 있는 학습자료가 보급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운동선수의 대학입시 선발 기준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도적 근거로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선수의 진로에 도움을 주기위해 학습권 보장 차원의 최저학력제 및 주말리그제 등을 제도화시키고 있지만 실제로 국가대표선수나 많은 운동선수들에게 학점을 제공해주는 등 현실적으로 지금에 제도는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메달중심의 대학 입학 체육특기자제도와 맞물려 학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제도적 환경과 운동성적에 따른 지도자들의 업적 유지 및 학교 운동부 성적으로 승진가산점을 취득하려는 일부 교원들에 의하여 지금에 제도들이 안착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운동선수에게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대회 입상 성적만 있으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특혜가 주어지는 체육특기자입학전형제도가 있기 때문이며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정유라 사건 역시 지금에 제도로 특혜를 통한 학사 비리와 사건이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메달지상주의의 병폐를 조장하는 체육특기자제도를 운동기량과 학교 수업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학업형태의 점수비율조화를 통해 선발기준을 조정하여 대학과 사회 전반에 걸쳐 필요로 하는 스포츠인재로의 양성과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제도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색인어
  • 청소년, 운동선수, 진로, 직업, 학습자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