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242&local_id=10086666
비콘기반 모바일 패션 O2O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보품질특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비콘기반 모바일 패션 O2O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보품질특성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현석(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4050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DQ 특성과 정황관련성, 자기효능감을 정보가치와 적합성의 관점에서 지각된 유용성 및 실행 변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모바일 패션 O2O 서비스에 있어서 정보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소비자 380명을 대상으로, SPSS 20.0, AMOS 20.0을 활용하여 신뢰성, 타당도검증, 측정모형분석 및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O2O 서비스의 정보품질, 정황관련성, 자기효능감과 정보가치, 적합성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내재적DQ는 정보가치와 적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상황적DQ는 정보가치와 적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표현적DQ는 정보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적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접근용이성DQ는 정보가치와 적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황관련성은 정보가치와 적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은 정보가치와 적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보가치, 적합성 정보유용성 및 실행 간의 경로관계 분석 결과, 정보가치는 적합성과 정보유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적합성은 정보유용성에, 정보유용성은 실행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the constructs of DQ value and task-technology fit that can be approached from a Data quality, context relevance and self-efficacy an integrated structural model for the formation of DQ usefulness and performance through mobile fashion O2O service. To this end, a path analysis was constructed of 380 experiential consumers using AMOS 20.0.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개인에게 초점을 둔 가상 시스템인 모바일 클라우드는 언제 어디서나 소통 가능한 일반화된 모바일 정보 환경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는 사용자 개개인의 욕구에 적절하게 상응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SNS 사용자들은 상호 연결되어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고 인간적인 감정까지도 교류하게 되면서 사용자들로 구성된 사회적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SNS 서비스는 다른 사람들의 소셜미디어와 연결되어 쌍방향 정보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타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수집과 자신의 의견을 덧붙임으로써 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무엇보다 모바일 SNS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정보의 만족,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충성도 제고 등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SNS는 손쉽게 참가하고 언제 어디서는 사용할 수 있다는 단말기 특성이나 사용자의 이용형태의 및 수익측면에서도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도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모바일 SNS의 정보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기준을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이는 모바일 SNS 정보서비스 품질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규명하는 문제와 관련되며, 관련 실무자들로서는 모바일 SNS 상에서 정보서비스 품질의 어떤 차원을 측정하고 관리해 나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가 지니고 있는 이론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가지고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1단계로 모바일 패션 SNS 정보서비스 품질(mobile commerce data service quality)을 구성하는 구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온라인 환경에서의 서비스 품질(e-service quality) 차원을 제시한 기존연구들에 대한 Content Analysis를 실시하고, 모바일 환경의 독특한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및 패션 커뮤니티 업체 전문가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 결과 등을 종합하여, 모바일 패션 SNS의 정보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 다음 2단계로 도출된 DQ 특성과 모바일 패션 SNS 환경에서 사용자의 환경과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정황 관련성(context relevance), 자기효능감을 정보가치와 TTF(적합성)의 관점에서 지각된 유용성, 구매행동 변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모바일 패션 SNS에 있어서 정보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정보가치-적합성 기반 모바일 패션 SNS 정보품질 평가에 대하여 처음으로 실증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가 인지하는 정보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 개인의 정보요구와 일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동안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종합적 품질개념으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서비스품질에 대하여 전사적 품질경영의 측면으로 접근하며 소비자 관점에서의 정보품질뿐만 아니라 전략적 정보품질 추구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단순히 패션 상품이나 서비스 품질만을 포함하는 소비자 가치 개념에서 벗어나 패션 모바일 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소비자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품질의 개념과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학문적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첫째, 본 연구는 구체적 연구가 가능하고 실증적 가치를 제공 할 수 있는 모바일 패션 SNS 정보가치 수용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의 정보 시스템 모델과 비즈니스 모델을 근간으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그동안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모바일 패션 SNS 서비스의 특성을 완전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한 부분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정보 시스템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여 정보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하고, 패션 소비자의 상품-서비스 요소의 전달을 통한 모바일 패션 SNS의 정보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모형화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모바일 패션 SNS 정보가치모델은 디자인 된 모델이 원래 추구하려 했던 목표 가치와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거나, 비즈니스 모델들의 대안을 비교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교육적 평가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가 모바일 패션 SNS 운영자와 마케터들에게 모바일 정보 커뮤니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패션 소비자의 동기요인과 그러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을 제시한다. 즉, 모바일 패션 SNS의 운영자들은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 모바일 패션 SNS를 통한 상품관련 정보 검색이나 구매행위의 성과 등과 같은 모바일 SNS의 정보유용성의 증대와 동시에 모바일 패션 SNS의 이용과정 그 자체에서 정보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적합성 방안도 함께 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모바일 패션 SNS가 개인화 장치로서 패션 쇼핑 정보 수용에 적합하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향후 모바일 패션 SNS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기대한다.

    ▶ 셋째, 실제 패션기업을 대상으로 모바일 SNS 정보품질 평가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평가요인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고찰하고 활용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모바일 패션 SNS 정보 품질평가 모델은 포괄적인 모바일 SNS의 DQ가치, 적합성 및 유용성의 활용범위에 초점으로 맞추고 있어 본질적인 패션 정보의 수용의 품질과 성과에 대한 모바일 SNS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패션기업의 모바일 SNS 전략을 정보품질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넷째, 본 연구는 패션마케팅 분야, 경영정보시스템, 모바일 커머스 분야의 학문간 시너지와 연구과제의 특성화 목표 달성을 위해 학문간 창조적 융합 노력하며, 관련 산업체 전문인력과의 협력체제 구축으로 모바일 패션 SNS 업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long interview)와 설문조사(questionnaire survey)를 실시하여 문항척도를 개발한다. 이는 패션 소비자 및 기업의 측면에서의 접근과 스마트 폰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의 발전과 패션 소비자 경험적 성숙의 흐름을 반영한 통합적인 모바일 패션 SNS의 정보가치 창출의 구조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융합형 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학문생산으로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모바일 패션 SNS, 정보 품질, 정황 관련성, 자기효능감, 정보가치, 적합성, 정보유용성, 실행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