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277&local_id=10086844
고대 프랑스어의 목적어 전이와 동사 이동의 매개변인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대 프랑스어의 목적어 전이와 동사 이동의 매개변인에 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신호(영산대학교& #40;부산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206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금까지 대부분의 OF구문의 분석들은 V2현상에 대한 분석과 주로 동사와 주어 사이의 도치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리고 OF의 동사 앞 요소에 대한 분석에 대하여, Rinke & Meisel (2009: 117)은 화제화로서 모문절, 내포문절에서 모두 Spec-TP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일반적으로 동사가 C로 이동하고, 동사 앞의 요소가 Spec-CP로 인상되어야 한다는 우리의 주장과 배치된다. 한편 Kaiser & Zimmermann(2010: 24)은, 계층화된 CP를 받아들인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주어 구성요소가 모문절에서 정형동사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은 화제화되거나 또는 초점화된 요소들로서 이들의 해석(정보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제안한다.
    한편,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TO는 Zaring(1998: 319-332)에서 최초로 언급되고, Zaring(2011: 1831-1852)에서 보완되고 있는데, 주로 스칸디나비어의 TO와 유사한 부사를 내포한 구문들만을 다루고 있다. 반면에 Chomsky(2001: 26-34)는 영어의 목적어 인상을 도입하여 더 폭넓은 TO현상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MF의 분석을 통하여 영어와는 달리 MF구문은 동사의 v-T 이동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할 것이다. 또한 Chomsky(2008: 148)의 자질계승이론을 수정한 Goto(2008: 2-7)의 비대칭적 자질계승을 도입하고, 병렬이동의 분석을 통해서 OF에서 목적어의 위치는 Spec-CP가 된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해결해야할 과제는 다음의 다섯 가지 매개변인의 의문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요약된다. 첫째, 정형동사가 C로 이동하도록 유발하는 C에 있는 시제자질(tense feature)이다. 둘째, 목적어를 Spec-CP로 이동시키는 것은 C에 있는 외곽자질(edge feature)의 역할이다. 셋째, OF의 목적어 전이는 어떤 환경에서 관찰되며, 일반적인 목적어 인상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OF의 목적어 전이와 관련하여 동사 뒤에 위치하는 주어의 지위(statut)는 무엇이며, 위치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다섯째, OF의 목적어 전이도 병렬이동의 적용을 받는가?
    이러한 과제들을 밝힘으로써, La Chanson de Roland(1090)과 Le Chevalier de la Charrete(1179-1181)에 나타난 목적어 인상 구문들에서 목적어 전이는 병렬이동에 의해서 검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following two possibilities and analyzing them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s of objects in Old French(OF) (11c-12c): i) Can objects move to the left position of a clause by means of Object Shift? and ii) Does the object raising comply with the feature inheritance theory proposed by Chomsky(2008) in order to realize the V2-structure of OF constructions? Although these two syntactic operations have quite close relations, we will verify which parameter can apply to them in OF considering that they operate in a different manner among languages. Consequently, we will observe and analyze the following subjects: i) The trigger in C is a tense feature which causes a finite verb to raise to C; ii) What moves an object to Spec-CP is an edge feature in C?; iii) How is the OF object raising different from the object shift?; iv) How can the status of lexical or null subject be determined during the OF object raising/shift?; v) Is the object raising/shift derived from the verb movement and the feature inheritance in OF? Shedding light on these tasks, we will clarify that the object raising/shift can be verified by the verb movement and feature inheritance in the object raising constructions observed in La Chanson de Roland(1090) and Le Chevalier de la Charrete(1179-81).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고대 프랑스어(11C-12C, 이하: OF)에 나타난 목적어 위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즉, OF는 목적어 전이(Transfert d'Objet: 이하 TO)를 통하여 문두로 이동하거나, 또는 OF의 고유한 특성인 V2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문의 한 요소인 목적어도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Chomsky(2008: 140-153)가 제안한 병렬이동(Déplacement Parallèle)을 통해서 목적어 인상을 실행한다는 것이다. 이 두 통사적 운용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언어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OF에서는 어떤 매개변인에 의해서 적용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는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TO가 일어나는 문맥에서는 동사의 이동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따르는데, 이 동사의 최종 위치도 규정되어야 한다.
    우선 OF가, 동사와 목적어 사이의 어순배열과 관련하여, V-O와 O-V의 어순 중 어떤 어순에 속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Rinke & Meisel(2009: 94)에 따르면, OF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도치 현상은 이태리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처럼 영-주어(sujet-nul) 언어에서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이러한 가정과는 달리, Vance(1997: 38)가 제시한 La Queste del Saint Graal(1220(1225?))의 문형 분석에 따르면, SVX(=X는 규정되지 않은 문의 요소)의 어순이 약 70%를 차지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따라서 OF가 영-주어 언어의 특성을 갖는다고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뿐만 아니라, OF는 VO의 어순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고려하여 이 어순을 기본으로 하는 분석이 다루어질 것이다. 또한 Mathieu(2006: 283)도 OF의 자동적 어순은 VO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OF에서 실사 목적어가 동사를 선행하는 어순은 많이 관찰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어와 관련된 목적어 위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사의 이동에 따른 목적어 위치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O-V 어순은 동사 인상과 V2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만약 O-V 어순이 V2와 관련이 없다면 동사이동이 실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Chomsky(2008: 140-153)의 자질계승이론과 Goto (2008: 2-7)의 수정-자질계승을 통합하고, 프랑스어 구조의 분석에 맞도록 다시 수정-제안할 뿐만 아니라, 현대 프랑스어(이하: MF)의 분석에 적용된 공시적 관점을 기초로 하여, 어떤 통사적 도출을 통해서 목적어 인상 또는 전이가 동사이동과의 연계 하에서 OF에서 V2의 구조를 실현하는 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철학, 문학, 희귀학문 등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대폭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반면에 불행하게도 제2 외국어에 대한 관심은 몇몇 인기 외국어의 회화 교육에 집중되고 있다.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회화위주의 교육이 외국어교육에 획기적인 진전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다.
    반면에,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발화문의 구조-의미적 관계를 밝히는 연구와 자료의 분석과 적용을 통한 외국어 교수방법도 외국어 교육에 기여할 여지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고대 프랑스어에 대하여 현대 언어학 이론의 적용을 통한 문장 분석의 접근법은 현대 프랑스어에서 해결하지 못한 구조적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시사해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프랑스어를 강의하는 교수들이 고대 프랑스어의 어순을 현대 프랑스어의 어순과 비교하면서, 효율적으로 프랑스어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발화문의 효과적인 분석과 적용은 필수적이며, 따라서 학습자의 문장 분석과 의미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랑스어 교수들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응용학문의 선호와 그 적용은 항상 순수 학문의 기본적인 원리를 기초로 하지 않고는 소정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프랑스어 교수, 학습자들이 어문학 텍스트를 올바르게 이해하며, 시사적인 칼럼의 정확한 번역 또는 자국민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기본적인 문 또는 발화문의 정확한 통사구조의 이해와 명확한 의미해석의 통시적 배경을 제공해주는 고대 프랑스어의 구조적인 연구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고대 프랑스어의 목적어 이동구문에 대한 유형별 분석은 그 설명적 타당성과 문법의 간결함을 갖추기 위해서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교육적 자료를 프랑스어 교수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언어의 기원을 통한 외국어간의 구문비교에 적용한다면 교수법의 한 모델로 도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고대 프랑스어, 영 주어, 목적어 전이, 동사이동, 공시적 관점, 정보적 특성, 목적어 인상구문, 논항-, 비논항-이동, 자질계승, 일치-, 시제-, 외곽-자질, 확대투사원리자질, 활성화, 외곽 지정어, 매개변인, 현대 프랑스어, 목적어 이동, 병렬이동, 외부-, 내부-병합, 유인자, 문자화, 전이, 화제화, 초점화, 모문절, 내포문절, 지정어, 탐침, 국면-핵, 비해석성 자질, 비대칭적, 뒤섞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