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329&local_id=10086664
한국기업의 회계투명성 측정과 재무분석가의 예측특성을 이용한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기업의 회계투명성 측정과 재무분석가의 예측특성을 이용한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성혜(부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94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상장기업의 투명성이 재무분석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회계정보 생산 및 전달측면에서 회계투명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결정적인 요인을 추출하여 모든 한국 상장기업의 투명성을 객관적이고, 전체적으로 측정한 회계투명성 지수와 재무분석가 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를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로서, 이들의 특성이 자본시장의 정보위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회계투명성 지수와 재무분석가의 수, 이익예측오차 및 예측분산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재무분석가의 수는 기업을 분석하는 재무분석가의 수를 의미하며, 이익예측오차는 한 기업을 분석하는 여러재무분석가들의 예측의 평균과 실제 기업의 이익의 차이를 의미한다. 또한 예측분산은 재무분석가들의 예측치가 얼마나 이질적으로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명한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을 분석하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명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정보위험도가 낮은 기업이기 때문에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투명한 기업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오차 및 예측분산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투명성 수준이 높은 기업을 분석하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는 비교적 정확하고, 재무분석가들의 정보해석의 이질성이 낮기 때문에 예측분산도 역시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회계투명성지수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표적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의 특성을 사용하여 검증함으로써, 투명성지수의 유용성과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투명성 지수 활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회계투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모두 포괄하여 측정한 회계투명성지수를 사용함으로써, 국내 상장 기업들의 회계투명성에 대한 총체적인 노력이 자본시장에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본시장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기업차원에서 제공하는 회계정보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검증했다는 차원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of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n the analysts forecast characteristics. This paper analyzed the determinants associated with accounting transparency to determine the transparency of Korean compan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transparency index and analyst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analysts may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information risk in the capital market as a representative information user in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unting transparency index and the number of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 and forecast dispers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the number of analysts analyzing the transparent firms increases. This is interpreted as transparent firms are relatively less informed and thus the number of following analysts increases. Second,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 and forecast dispersion level for transparent firms are low.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arnings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analyzing firms with high level of transparency of accounting are relatively accurate and predictive dispersion is also low because financial analysts' heterogeneity of information analysis is low.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accounting transparency index on the capital market by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analyst, thus establishing the basis for the usefulness and validity of the transparency index, as well as promoting social consensus on the use of the transparency index.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ses the accounting transparency index which includes all of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accounting transparency, so that the total effort on accounting transparency of domestic listed companies has an influence on the capital marke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exist in the capital market depend on the accoun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m level is verified through the influence on the financial analyst who is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user of the capital marke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 상장기업의 투명성이 재무분석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회계정보 생산 및 전달측면에서 회계투명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결정적인 요인을 추출하여 모든 한국 상장기업의 투명성을 객관적이고, 전체적으로 측정한 회계투명성 지수와 재무분석가 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를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로서, 이들의 특성이 자본시장의 정보위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회계투명성 지수와 재무분석가의 수, 이익예측오차 및 예측분산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명한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을 분석하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명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정보위험도가 낮은 기업이기 때문에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투명한 기업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오차 및 예측분산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투명성 수준이 높은 기업을 분석하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는 비교적 정확하고, 재무분석가들의 정보해석의 이질성이 낮기 때문에 예측분산도 역시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회계투명성지수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표적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의 특성을 사용하여 검증함으로써, 투명성지수의 유용성과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투명성 지수 활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회계투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모두 포괄하여 측정한 회계투명성지수를 사용함으로써, 국내 상장 기업들의 회계투명성에 대한 총체적인 노력이 자본시장에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본시장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기업차원에서 제공하는 회계정보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검증했다는 차원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회계투명성지수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표적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의 특성을 사용하여 검증함으로써, 투명성지수의 유용성과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투명성 지수 활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회계 및 공시정보의 질적 측면과 회계 및 공시정보를 생산하고 측정하는 제도적 측면에서 의무공시품질과 자진공시품질 및 해당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제도를 모두 포괄하여 측정한 회계투명성지수와 재무분석가의 예측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기업이 생산하는 회계정보의 품질에 대한 개별적 속성이 재무분석가의 예측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개념의 투명성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상장 기업들의 회계투명성에 대한 총체적인 노력이 자본시장에서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업의 회계투명성이 외부정보이용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자본시장에서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들은 기업차원에서 제공하는 회계정보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인 재무분석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검증했다는 차원에서 의미 있는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스위스 IMD(국제경영개발원)와 WEF(세계경제포럼)는 매년 각국의 회계투명성을 평가해 발표하는데, 2015년 IMD의 회계 투명성 평가에서 한국은 61개국 중 60위를 기록하였고, WEF 조사에선 140개국 중 72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한국 기업의 회계 투명성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업 투명성이 국제신인도나 국가경쟁력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지적되면서 투명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기업의 투명성은 개념이 추상적이며 연구자마다 정의가 일관적이지 않고 측정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합의된 투명성의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기가 어려웠다. 최근에 이루어졌던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는, 전체 장사에 대한 순위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마다 평가기준이 달라 연도별 비교가 어려워 일관된 관점에서 기업을 평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본 연구에서 측정하는 회계투명성 지수는 전체 현재 유가증권 상장사(KOSPI)에 대한 순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관점에서 투명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같은 출처의 통계자료를 가지고 각 연도별로 일관된 기준으로 측정하고 있어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측정자의 주관적 평가를 최대한 배제하고, 누구나 접근가능한 공시(public)자료만을 포함함으로써 어떠한 기업을 평가하더라도 타당하고 보편적이며, 사회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투명성 기준이라는 데서 의의가 있다. 또한 투명성지수는 유가증권 상장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매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점수이므로, 향후 한국기업의 투명성 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들은 한국 자본시장의 투명성의 제고를 위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 색인어
  • 회계 투명성, 재무분석가의 특성, 재무분석가의 수, 예측오차, 예측분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