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359&local_id=10086267
한국 실험영화 장르 형성과정 및 존재방식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실험영화 장르 형성과정 및 존재방식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종한(세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444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1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 실험영화 장르 형성과정 및 존재방식 연구

    고대 실크로드는 단순한 길의 이름만이 아니라, 동과 서가 교류하고 투쟁 또는 화합했던 시간 속 일종의 개념이다. 마찬가지로 실험영화란 하나의 영화 장르만을 통칭하는 것이 아닌 실험적 정신을 함유하고 있는 모든 영화적 실천과 동시대적 비전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관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성을 대표하는 영화라는 매체와 즉흥성과 일회성을 대표하는 퍼포먼스 형식이 만나는 지형을 초창기 한국 실험영화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먼저 현재까지 분명한 족적을 남기며 진행되고 있는 한국 실험영화의 장르 성격과 시간실험 양상을 서구 실험영화 이론들을 통해 규명해 보고, 현대적 예술행위의 실험적 실천으로써 퍼포먼스가 그 장르 형성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종류와 부류들의 퍼포먼스가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에 차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초창기 한국 실험영화를 관통하는 장르성의 정체를 파악해 보고, 한국 초기 실험영화의 주요 형식 실험의 하나로써 퍼포먼스를 제시한다. 나아가 한국 실험영화의 존재방식과 장르 형식표현 양상에도 퍼포먼스 형식이 큰 기여를 했음을 대상 작품들의 심층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출발로써 실험영화의 장르 성격을 탐구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통해 그 장르성과 실험성 그리고 아방가르드 성을 구별해낸다. 피터 울른의 두 가지 아방가르드 영화 계열 이론을 받아들여 유럽식 모더니즘 계열의 유형과 북미식 구조주의 실험영화로 나누어, 초기 한국 실험영화들을 대응시켜 그 장르 생태계를 구체화 시킨다. 이를 통해 한국 실험영화의 정의와 범주를 규정하고, 그 실험의 기저인 시간실험을 탐구한다. 주 연구 방법론으로는 실험영화 이론가들의 장르에 관한 논의와 함께 랑시에르 미학적 체제의 분할불가론과 베르그송, 들뢰즈의 시간개념 논의를 따른다. 연구 대상 시기와 작품들을 역사적, 선형적으로 줄 세우고 분할하는 방식이 아닌, 하나의 동일한 무대 위에 올려 어떠한 작품이 현재 전경으로 순환하며 두드러지는지를 살펴보는 방식이다. 이는 하나의 장르로서 실험영화, 아방가르드 영화는 늘 현재 진행형으로 역사적 과거와 시간적 현재의 구별이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초기 한국 실험영화에 차용된 퍼포먼스 형식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영화의 주요 형식 실험 양상을 대표하는 비내러티브, 전복성 그리고 확장영화 형식을 고찰해 한국 실험영화의 형식 실험 유형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그리고 양대 퍼포먼스 종류인 시네마 퍼포먼스와 퍼포먼스 시네마 형식을 살펴 초기 한국 실험영화의 분류 기준으로 삼는다.

    주 문제의식은 첫 번째,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을 그 장르성과 실험성을 바탕으로 장르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초기 한국 실험영화 시기를 설정하고 그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발굴해 내어, 작품들의 장르성과 시간실험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로, 각 실험영화에서 퍼포먼스 형식 실험이 어떠한 양상으로 차용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전술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 각 작품에 차용된 퍼포먼스의 형식 미학을 탐구해 그 의의와 의미를 찾아낸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은 각각 그 내용과 형식 그리고 시간 실험 유형에 따라서 유럽식 모더니즘 계열과 북미식 구조영화 계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차용된 퍼포먼스의 역할과 의미에 따라서 1) 시네마 퍼포먼스 2) 퍼포먼스 시네마로 구분된다. 전자는 연쇄극(Kino-Drama) : <의리적 구토>, 절대영화, 순수영화 : <카이두 클럽>, 라이브 시네마 : <변사 무성영화> 등의 작품이 있으며 후자로는 영화시(Cine-Poem) : <손>, <춘몽>, <또 다른 방> 언더그라운드 시네마 : <1/24초의 의미>, <병사의 제전> 초현실주의 : <아침과 저녁사이>가 있다. 위의 작품들을 통해 퍼포먼스 형식이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장르를 형성하고 제도화하며 창작열을 높이는 데 대단히 주요한 형식적 기저였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한다. 앙리 포시용은 예술 장르의 진행을 실험단계(Experimental), 고전단계(Classic), 세련화단계(refinement) 그리고 바로크단계(Baroque)로 나누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검토한 1919에서 1979의 초기 한국 실험영화는 다양한 시간, 장르 그리고 퍼포먼스 형식을 실험하는 단계였다고 결론짓는다. 결국 초기 한국 실험영화는 고대로부터 행해진 그림자극인 <만석중놀이> 등의 빛에 대한 DNA와 판소리, 마당놀이 등을 통해 형성된 퍼포먼스 연행 DNA가 서구적 영화기술과 실험미학을 필두로 하는 실험영화 개념이 만나 그 뿌리를 형성하며 장르의 기초를 다졌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한계를 갖고 있다. 첫째, 퍼포먼스에서 필수적인 공간개념까지 연구를 확대하지 못했다. 둘째, 실험영화가 점유하고 있는 영화 장에서의 위치와 사회, 문화적 권력관계까지 연구 범위를 넓히지 못했다. 세 번째로 동시대 이루어진 비디오 작품들의 성취까지 아우르지 못했다. 이점들은 향후 후속연구에서 본 연구와 더불어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 영문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Presence Method of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

    The ancient Silk Road is not just a name for a simple road, but a kind of concept in a time when East and West interchange, struggle or harmonize. Likewise, experimental film is a concept and idea that encompasses all the cinematic practices and the temporal vision that contain experimental spirit, not just one film genre.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terrain where the film, representing the recordability, and the performance form representing the improvisation and the one-time performance meet, through the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First of all, I tri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and time experiment of Korean experimental film, which has been going on with a clear footprint to date, through Western experimental film theories, and how perform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genre as experimental practice of modern art act Look at what kind and class of performances were borrowed by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makers. Through this, we will grasp the identity of the genre that penetrates the early experimental film in Korea and present the form of performance as one of the main experimental concepts of early experimental film in Korea. In addi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performance form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way of presenting Korean experimental films and the expression of genre form.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tailed study, I define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Korean experimental film and explore the time experiment which is the basis of the experiment. In order to explor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film, it distinguishes genre, experiment, and avant - garde from previous studies. It accepts two theories of avant-garde film theory of Peter Ullen and divides it into the type of European modernism and the experimental film of North American structuralism, and embodies the genre ecosystem by responding to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follows the discussion of Ransiere and Bergson with several avant-garde theorists. It is a way to look at what works stand out in the foreground by putting them on one and the same stage rather than dividing and dividing the time and works of study in a historical and linear way. This is a genre, as experimental films and avant-garde films are always ongo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is meaningless. Finally,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form borrowed from the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it examines the non-narrative, subversive, and extended movie types that represent the major experimental forms of experimental films, . The two types of performances, cinema performance and performance cinema type, are used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s.

    The main problem consciousness is to identify the types of the first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works and position them as appropriate experimental film genres. For this purpose, we first set up the period of early Korean experimental movie, and find out the corresponding works and analyze the genre and time experiment type of works. Secondly, we will focus on how the performance type experiment is borrowed from each experimental film. The two types of media performance mentioned above are explored in the form aesthe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works can be classified into European modernism series and North American structural film series according to their content, format and time experiment type. 1) Cinema Performance 2) Performance Cinema Respectively. The former has works such as Kino-Drama: The Righteous Voodoo, Absolute Film, Pure Film: Kaedu Club, Cinema Performance: The Celestial Film, and Cine-Poem: There are <Hand>, <Chunmoon>, <Another Room> Underground Cinema: <1/24 second meaning, <Soldier's Festival> Surrealism: <Between morning and evening>. Through the above works, I clearly confirm that the performance form was a very important formal basis for forming and institutionalizing the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 and for raising the level of creative work. Henri Poshi's work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ic, Refinement, and Baroque. Based on this analysis, the early Korean experiments (1919 ~ 1979) The film concludes that it was a stage of experimenting with various times, genres and performance styles. Ultimately, the early Korean experimental film is composed of DNA, pansori, and yard play, which is a picture stimulus that has been performed from ancient times. It can be generalized that it forms the basis of the genre.

    However, this paper has thre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I did not expand my research from performance to essential space concepts. Secondly, I could not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experimental film in the film. It did not cover the achievement of the third generation of video works. Advantages will continue with this study in future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대 실크로드는 단순한 길의 이름만이 아니라, 동과 서가 교류하고 투쟁 또는 화합했던 시간 속 일종의 개념이다. 마찬가지로 실험영화란 하나의 영화 장르만을 통칭하는 것이 아닌 실험적 정신을 함유하고 있는 모든 영화적 실천과 동시대적 비전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관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초 계획했던 연구주제를 더욱 세밀화해 기록성을 대표하는 영화라는 매체와 즉흥성과 일회성을 대표하는 퍼포먼스 형식이 만나는 지형을 초창기 한국 실험영화를 통해 살펴보려 했다. 먼저 현재까지 분명한 족적을 남기며 진행되고 있는 한국 실험영화의 장르 성격과 시간실험 양상을 서구 실험영화 이론들을 통해 규명해 보고, 현대적 예술행위의 실험적 실천으로써 퍼포먼스가 그 장르 형성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종류와 부류들의 퍼포먼스가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에 차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초창기 한국 실험영화를 관통하는 장르성의 정체를 파악해 보고, 한국 초기 실험영화의 주요 형식 실험의 하나로써 퍼포먼스를 제시한다. 나아가 한국 실험영화의 존재방식과 장르 형식표현 양상에도 퍼포먼스 형식이 큰 기여를 했음을 대상 작품들의 심층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출발로써 실험영화의 장르 성격을 탐구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통해 그 장르성과 실험성 그리고 아방가르드 성을 구별해낸다. 피터 울른의 두 가지 아방가르드 영화 계열 이론을 받아들여 유럽식 모더니즘 계열의 유형과 북미식 구조주의 실험영화로 나누어, 초기 한국 실험영화들을 대응시켜 그 장르 생태계를 구체화 시킨다. 이를 통해 한국 실험영화의 정의와 범주를 규정하고, 그 실험의 기저인 시간실험을 탐구한다. 주 연구 방법론으로는 실험영화 이론가들의 장르에 관한 논의와 함께 랑시에르 미학적 체제의 분할불가론과 베르그송, 들뢰즈의 시간개념 논의를 따른다. 연구 대상 시기와 작품들을 역사적, 선형적으로 줄 세우고 분할하는 방식이 아닌, 하나의 동일한 무대 위에 올려 어떠한 작품이 현재 전경으로 순환하며 두드러지는지를 살펴보는 방식이다. 이는 하나의 장르로서 실험영화, 아방가르드 영화는 늘 현재 진행형으로 역사적 과거와 시간적 현재의 구별이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초기 한국 실험영화에 차용된 퍼포먼스 형식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영화의 주요 형식 실험 양상을 대표하는 비내러티브, 전복성 그리고 확장영화 형식을 고찰해 한국 실험영화의 형식 실험 유형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그리고 양대 퍼포먼스 종류인 시네마 퍼포먼스와 퍼포먼스 시네마 형식을 살펴 초기 한국 실험영화의 분류 기준으로 삼는다.

    주 문제의식은 첫 번째,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을 그 장르성과 실험성을 바탕으로 장르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초기 한국 실험영화 시기를 설정하고 그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발굴해 내어, 작품들의 장르성과 시간실험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로, 각 실험영화에서 퍼포먼스 형식 실험이 어떠한 양상으로 차용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전술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 각 작품에 차용된 퍼포먼스의 형식 미학을 탐구해 그 의의와 의미를 찾아낸다.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은 각각 그 내용과 형식 그리고 시간 실험 유형에 따라서 유럽식 모더니즘 계열과 북미식 구조영화 계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차용된 퍼포먼스의 역할과 의미에 따라서 1) 시네마 퍼포먼스 2) 퍼포먼스 시네마로 구분된다. 전자는 연쇄극(Kino-Drama) : <의리적 구토>, 절대영화, 순수영화 : <카이두 클럽>, 라이브 시네마 : <변사 무성영화> 등의 작품이 있으며 후자로는 영화시(Cine-Poem) : <손>, <춘몽>, <또 다른 방> 언더그라운드 시네마 : <1/24초의 의미>, <병사의 제전> 초현실주의 : <아침과 저녁사이>가 있다. 위의 작품들을 통해 퍼포먼스 형식이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장르를 형성하고 제도화하며 창작열을 높이는 데 대단히 주요한 형식적 기저였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한다. 앙리 포시용은 예술 장르의 진행을 실험단계(Experimental), 고전단계(Classic), 세련화단계(refinement) 그리고 바로크단계(Baroque)로 나누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검토한 1919에서 1979의 초기 한국 실험영화는 다양한 시간, 장르 그리고 퍼포먼스 형식을 실험하는 단계였다고 결론짓는다. 결국 초기 한국 실험영화는 고대로부터 행해진 그림자극인 <만석중놀이> 등의 빛에 대한 DNA와 판소리, 마당놀이 등을 통해 형성된 퍼포먼스 연행 DNA가 서구적 영화기술과 실험미학을 필두로 하는 실험영화 개념이 만나 그 뿌리를 형성하며 장르의 기초를 다졌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진행 중인 영화 장르의 하나로서 한국 실험영화는 늘 변화하고 있는 생산적, 상징적,해석적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동체는 한국이라는 시간성과 역사성 그리고 공간성과 이데올로기를 공유하고 있다. 생산을 맡은 실험영화 작가와 수용을 맡은 실험영화 관객들 모두, 한국 실험영화의 장르 형성과 제도화에 암묵적 혹은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초기 한국 실험영화 공동체는 여타 주류 영화들과 구별되는 길을 걸어왔으며 다양한 형식적 실험과 주제적 확장을 보이는 작품들을 내어 놓고 있다. 또한 실험영화 상영회와 동호회 그리고 해외 실험영화 작가, 작품들과의 교류 등을 발판으로 한국 영화라는 커다란 무대에서 한국 실험영화라는 이름을 호명하며 두드러지는 전경을 만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 연구결과로,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은 각각 그 내용과 형식 그리고 시간 실험 유형에 따라서 유럽식 모더니즘 계열과 북미식 구조영화 계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차용된 퍼포먼스의 역할과 의미에 따라서 1) 시네마 퍼포먼스 2) 퍼포먼스 시네마로 구분된다. 전자는 연쇄극 : <의리적 구토>, 절대영화, 순수영화 : <카이두 클럽>, 라이브 시네마 : <변사 무성영화> 등의 작품이 있으며 후자로는 영화시 : <손>, <춘몽>, <또 다른 방> 언더그라운드 시네마 : <1/24초의 의미>, <병사의 제전> 초현실주의 : <아침과 저녁사이>이 있다. 이처럼 퍼포먼스 형식이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장르를 형성하고 제도화하며 창작열을 높이는 데 대단히 주요한 형식적 기저였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한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은 <나는 트럭이다>와 <코리안 알파벳>의 경우와 같이 퍼포먼스로 형식적 특수성을 설명할 수 없는 작품들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아방가르드 영화의 등장은 대략 모더니즘의 득세와 상통한다. 기존의 내러티브와 구조로 그릴 수 없는 이미지들을 그리고자 하는 노력이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의 사회 그리고 불안정한 사회를 반영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의 노력이 아방가르드 영화를 등장시켰다. 그렇다면 한국의 경우 왜 어떻게 아방가르드 영화가 등장하게 되었는가를 오늘, 여기에서, 우리는 질문해야한다. 60년대 김구림의 ‘제4집단’의 경우 60년대라는 한국 전후가 복구되고 독재와 자본주의가 급속도록 팽창하는 시대를 관통하는 새로운 영화문법이 필요했다고 할 수 있다. <카이두 클럽>의 경우도 여대생으로 구성된 아방가르드 영화 집단이 그들의 목소리를 드러낼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영화와 사회를 그려낼 수 있는 단체와 영화가 필요해 카이두와 상영회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문법이 움틀 수 있는 조건이 맞아야 아방가르드 영화 혹은 실험영화가 잉태된다.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장르 연구도 이러한 입장에서 기술되어야 한다. 도전과 응전 그리고 뚫림과 막힘의 변주가 곧 초기 한국 실험영화 작품들의 등장 이유이기 때문이다.

    -활용계획

    가. 학문적 기여

    현재까지 한국 실험영화에 관한 전문연구는 손꼽을 정도다. 아시아 영화 강국으로서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실험영화제인 서울국제실험영화제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로서 대단히 부끄러운 수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천한 토대에 단비 같은 연구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아무도 관심 가져 주지 않지만 굳건한 뿌리로 명맥을 단단히 해오고 있는 한국 실험영화가 이번 연구로 인해 통시적, 공시적으로 잘 정리, 분석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며 영문 번역 작업을 거쳐 한국 실험영화를 본격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해외 A&HCI급 저널에 투고할 예정이다.

    나. 사회적 기여

    ‘족구왕’, ‘귀향’ 등 다양성 영화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시기다. 상업영화에만 몰려있던 관심이 조금은 다양성 영화로 이행중인 듯하다. 한국 실험영화는 순수예술 영화로서 향후 많은 시네필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임이 명약관화하다. 이들에게 한국 실험영화가 걸어온 길과 서구와의 차별성 등을 전달해줄 수 있는 그리고 식견 높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다.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활용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해 향후 영화유관학회 등의 학술대회와 영화제 프로그램들에 접목되도록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를 시발로 한국 실험영화에 관한 전문서적을 집필할 예정이라 본인이 제직 중인 대학의 제자들은 물론 향후 일반 영화학과 학생들에게도 한국 실험영화에 관해 관심과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한국 실험영화, 퍼포먼스, 시간실험, 장르성, 시네마 퍼포먼스, 퍼포먼스 시네마, 확장영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