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486&local_id=10086067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초기 읽기 능력 발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초기 읽기 능력 발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영아(청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22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초기 읽기 발달 수준과 양상을 알아보고, 또한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3개교에서 206명의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이해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관련 변인으로서 철자지식, 음소인식, 어휘지식, 단어해독, 듣기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읽기 능력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해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와 같은 표준화된 읽기 검사 도구, 국가수준학업성취도와 선행연구의 문항을 참조하였다. 개발된 읽기 능력 검사 도구는 개별검사와 단체검사의 2가지 방식으로 2016년 10월~2017년 2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의 방법으로 먼저 읽기 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을 계산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일원배치분산(ANOVA)을 이용하여 학년별, 학교별, 읽기 수준별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읽기 능력의 여러 변인들 간의 상호연관성과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5학년과 6학년보다 4학년과 5학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4학년에서 읽기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음소인식과 단어해독 검사의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음절구조가 복잡하고 소리-철자가 관계가 복잡한 단어나 문항들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어 읽기 발달은 음절구조와 소리-철자관계의 난이도에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별 읽기 능력 분석에서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이 적고 시작 연령이 늦은 학교의 읽기 능력이 보다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였다. 넷째, 읽기 이해 수준별 집단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모든 세부 요인에서 하위 집단과 다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읽기 이해는 모든 세부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듣기이해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읽기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음성 언어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중다회귀분석에서 읽기 이해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듣기이해였으며, 이어 어휘지식, 철자인식, 단어해독, 음소인식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발달과 관계하여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xtent and pattern of reading development in Korean elementary school learners of English.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the performances of 206 grades 4 to 6 students on various reading measures, including letter naming, phonemic awareness, vocabulary knowledge, word decoding,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participants were drawn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ree different regions (i.e., metropolitan city, middle-size city, and rural area) in order to g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ading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Reading measures were adapted or modifi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standardized measures of reading such as DIBELS,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and Woodcock Reading Mastery Test;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previous studies which investigated student performances on sub-components of reading. The final measures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either in groups or individually from October 2016 to February 2017. Data analyses comprised of calculating descriptive statistics (e.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results from the measures, comparing participant performances on all measures across grades, schools, and reading ability groups using ANOVA, calculating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other variables, and identifying predictors of student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 performances increased across the grades on all measures with sharper increases between grade 4 and grade 5, which might indicat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necessary foundation from early on. Second, an in-depth analysis of student performances on phonemic awareness and word decoding indicated that correct response rates for the items had to do with syllable structures of target words and the complexity of spelling-sound relationships within the words. It was thus surmised that the overall pattern of word reading development could be similar to that of L1 English speakers identified in previous L1 reading research.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performances across the three schools. In particular, student performance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school B where there was a larger number of late starters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students without private English tutoring. Forth, when divided into three ability groups by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high achievers displayed better performances on all measures than low achievers, and low achieving groups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two groups. Fifth, a correlation analysis identifie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other variables. Student listening comprehension was most strongly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which confirms the significant role of oral language in reading development. Six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listening comprehens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followed by oral vocabulary, letter naming, word decoding, and phonemic awar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d with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초기 읽기 발달 수준과 양상을 알아보고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3개교에서 206명의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이해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관련 변인으로서 철자지식, 음소인식, 어휘지식, 단어해독, 듣기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읽기 능력 검사 도구는 DIBELS,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Woodcock Reading Mastery Test와 같이 표준화된 읽기 검사 도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선행연구의 문항을 추출하여 개발하였으며, 개별검사와 단체검사의 2가지 방식으로 2016년 10월~2017년 2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의 방법으로는 읽기 검사 결과에 대한 기술통계, 학년별, 학교별, 읽기 수준별 집단의 비교를 위한 일원배치분산(ANOVA), 읽기 이해 및 관련 변인간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5학년과 6학년보다 4학년과 5학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4학년에서 읽기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년별 읽기 발달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음소인식과 단어해독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음절구조가 복잡하고 소리-철자가 관계가 복잡한 단어나 문항들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어 읽기 발달은 음절구조와 소리-철자관계의 난이도에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별 읽기 능력 분석에서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이 적고 시작 연령이 늦은 학교일수록 낮은 읽기 수행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읽기 이해 수준별 집단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모든 세부 요인에서 하위 집단과 다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읽기 이해는 모든 세부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듣기이해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 읽기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음성 언어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중다회귀분석에서도 읽기 이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듣기이해였으며, 이어 어휘지식, 철자인식, 단어해독, 음소인식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발달과 관계하여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5학년과 6학년보다 4학년과 5학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4학년에서 읽기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음소인식과 단어해독 검사의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음절구조가 복잡하고 소리-철자가 관계가 복잡한 단어나 문항들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어 읽기 발달은 음절구조와 소리-철자관계의 난이도에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별 읽기 능력 분석에서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이 적고 시작 연령이 늦은 학교의 읽기 능력이 보다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였다. 넷째, 읽기 이해 수준별 집단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모든 세부 요인에서 하위 집단과 다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읽기 이해는 모든 세부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듣기이해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읽기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음성 언어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중다회귀분석에서 읽기 이해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듣기이해였으며, 이어 어휘지식, 철자인식, 단어해독, 음소인식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발달과 관계하여 다음과 같이 이론적, 교육적, 정책적 기대효과 및 활용을 제안하였다.

    가. 학문적 기대 효과
    읽기 능력의 세부 요인별로 초등학교 4-6학습자들의 수행을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읽기 이해에의 영향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초기 읽기 능력의 발달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읽기 수준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 간의 차이를 요인별로 분석함으로써, 읽기 이해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각 변인별 수행 특성을 밝혔으며, 이는 영어 읽기 부진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읽기 검사 도구를 통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세부 요인별 읽기 능력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영어 모국어 학습자의 읽기 발달에 비추어 한국인 초기 영어 학습자들의 읽기 발달 정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 교육적 기대 효과 및 활용
    본 연구에서 밝힌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초기 읽기 능력 발달 수준에 비추어 영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는 학년별 읽기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특히, 3-4학년군에서 다루어지는 파닉스 교육의 적정성, 5-6학년군에서 다루는 읽기 이해 내용의 적정성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영어 읽기 부진을 예방하고 적극적인 보정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도 참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 정책적 기대 효과 및 활용
    영어교육에서 가장 큰 현안 중의 하나는 지역 간, 계층 간의 영어 격차 문제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교육의 인적, 물적 자원이 부족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영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단어해독이나 철자인식을 돕기 위한 파닉스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영어도서관 구축 등과 같은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영어 읽기 발달, 초등학교 영어학습자, 초기 읽기, 읽기 이해 영향 변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