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489&local_id=10086622
권력과 자기관련성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권력과 자기관련성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은경(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24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권력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관련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즉 권력이 도덕적 위선과 이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관계가 도덕적 정체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고권력이 도덕적 판단에서 자신과 관련된 상황에서 좀 더 결과주의적 판단을 한다는 것과 좀 더 도덕적 이중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나 이들 연구들은 권력이라는 요소가 점화되지 않은 일반인 집단을 포함하지 못해 권력 의 효과가 어떤 방향성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니다. 이에 본 연구는 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인 통제집단을 포함하여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저권력은 고권력에 비해 타인보다 자신에게 더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적으로 고권력이든 저권력이든 권력에 점화된 사람들이 일반사람들보다 비윤리적인 성향이 경계선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저권력집단이 일반 사람에 비해 자신에게 더 엄격한 도덕성을 보이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집단에서만 고권력자가 도덕적 위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고권력자가 오히려 타인보다 자신에게 엄격한 도덕적 모습을 보였다.
  • 영문
  •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moral hypocrisy and power,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power increases moral hypocrisy and moral ident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study 1, 3 power conditions (high power, low power, control) ✕ 2 self-relevance conditions(moral norm judging, actual moral behavior) were designed to test the effect of power on moral hypocrisy. In study 2, the three-way interaction of power conditions(high, low), self-relevance conditions(self, others), and moral identity (high, low) was explored. Results of study 1 showed whereas the low power group expressed more generous standard to others compared to the high power and the control groups, the high power group showed more unethical elf-interested behaviors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general morality of power priming groups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ether it is high power or low power, which does not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powerless show hypercrisy. Study 2 unveiled the moderating role of moral identity. In specific, the powerful showed moral hypocrisy in the group with low moral identity. However, the powerful were more strict to themselves than to others in the group with high moral ident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권력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관련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즉 권력이 도덕적 위선과 이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관계를 도덕적 정체성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고권력이 도덕적 판단에서 자신과 관련된 상황에서 좀 더 결과주의적 판단을 한다는 것과 좀 더 도덕적 이중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나 이들 연구들은 통제집단을 포함하지 못해 권력의 효과가 어떤 방향성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니다. 이에 본 연구는 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집단을 포함하여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저권력은 고권력에 비해 타인보다 자신에게 더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적으로 고권력이든 저권력이든 권력점화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비윤리적인 성향이 경계선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높아, 저권력집단이 일반 사람에 비해 자신에게 더 엄격한 도덕성을 보이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권력이 도덕적 이중성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집단에서만 고권력자가 도덕적 위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도덕적 정체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고권력자가 오히려 타인보다 자신에게 엄격한 모습을 보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 심리학에서는 무시되어 온 권력이라는 주제를 다룬 연구이다. 기존의 권력 연구 결과들은 모두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연구결과들이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권력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가 문화차를 연구하는 것은 아니나, 기존의 권력 연구 결과들이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동양권 샘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재확인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약간씩 나타나고 있는 권력에 대한 한국 연구를 이어간다는데 우선적인 학문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권력의 이중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어려운 상태이다. 예를 들면, 고권력자는 타인에게 엄격하고 자신에게는 관대하며, 저권력자는 그 반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이 저권력이 일반적인 상태인데 고권력감이 변화시키는 것인지, 혹은 반대로 저권력감이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고권력감과 저권력감이 모두 변하는 것인지는 알수가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통제집단을 포함하여 상기한 의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권력의 효과는 도덕적 정체성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덕적 정체성이 높을 경우, 권력은 오히려 타인보다 자신에게 엄격한 ‘높은 도덕성’을 강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도 새로운 발견점이라고 생각된다.
    연구 결과의 사회적 기여도 역시 적지 않다. 본 연구의 주제인 권력은 인간사회와 조직, 어디서나 존재한다. 하다못해 부모가 된다는 것도 막강한 권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권력이란 사람들이 비판적으로 바라보지만 집단 사회에서는 불가피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편만한 권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권력의 심리적 특성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기존의 대중서를 살펴보면, 대개 권력에 대한 서적들은 대개 권력을 얻는 방법과 권력구조의 특성, 권력의 부패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권력의 심리적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된다면, 자신도 모르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권력의 영향력에 대해 구체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권력이 인간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게 되면, 결국 권력의 부정적 효과는 줄이고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하는 방법을 도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연구결과 도덕적 정체성이 권력의 이중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CEO나 임원, 기관과 조직의 상위층들을 대상으로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정확한 권력의 효과를 파악하여 이를 이해시키는 것은 ‘권력’이라는 상황적 영향력을 벗어나 통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권력, 도덕적 판단, 자기관련성, 도덕적 이중성, 도덕적 정체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