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549&local_id=10086671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와 감사품질과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와 감사품질과의 관계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기은선(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460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은 감사계획의 수립, 실사, 외부조회, 현장감사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되나, 기존의 감사보고서에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구체적 언급 없이 감사의견만 공시되어 투자자들이 감사인의 감사수행방법이나 감사충실성 등 감사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4년 5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 개정을 통해 감사보고서에 외부감사 참여인원 수, 감사내용 및 소요시간 등 외부감사 실시내용을 기재한 서류를 첨부하여 공시하도록 의무화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보고서의 필수첨부서류 중 하나로 새롭게 추가된,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정보가 감사품질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감독기관이나 시장참여자들이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정보를 감사품질의 판단지표로 활용함에 있어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감법 개정으로 2014년부터 기업들이 추가로 공시해야 하는 외부감사 관련 정보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하나는 감사참여자의 인적구성으로, 외부감사 참여자의 직급별/업무별 감사소요시간과 총감사소요시간을 공시하여야 한다. 또 다른 하나는 감사절차의 구성으로, 전체 감사일정 중 전반감사계획과 현장감사, 실사, 외부조회에 각각 며칠씩을 투입하였는지 공시하여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 의무화가 투자자를 비롯한 기업의 이해관계자들로 하여금 해당 기업의 감사품질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재무제표 정보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감독원은 향후 심사감리 대상 선정에 외부감사 실시내용을 선정기준으로 활용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는 감사참여자의 인적구성이나 감사수행방법의 차이에 따라 감사품질에 체계적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그러나 회계법인이나 파트너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들은 그 동안 많았지만(DeAngelo 1981; Becker et al. 1998; Balsam et al. 2003; Krishnan 2003; Chi and Chin 2011; Zerni 2012; Gul et al. 2013; 배길수 등 2014), 감사수행방법의 차이에 따른 감사품질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자료 부족으로 드물었다.
    특히, 외부감사 실시내용 공시가 의무화된 2014년은 신국제감사기준(New ISA)이 일괄 적용된 최초 연도라는 점에서 또 다른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존의 감사기준이 회계부정(fraud)의 적발수단으로 거래 중심의 현장 감사를 중시하였다면 신국제감사기준은 그 상위단계인 적절한 감사계획의 수립을 강조한다. 기업규모가 커짐에 따라 기업의 모든 거래를 현장 감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현대의 회계감사는 감사계획 단계에서 일단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위험이 높은 항목들을 선별한 후, 중점감사항목을 위주로 시간과 인원투입을 집중하는 하향식(top-down) 접근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감사인이 감사계획 수립에 충분한 시간을 투입하면 기업과 기업을 둘러싼 기업환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위험이 높은 항목들을 더 잘 발견해낼 수 있기 때문에 감사품질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신국제감사기준은 적절한 감사계획의 수립 그 자체뿐 아니라 감사계획 수립단계에서 핵심감사팀원의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파트너를 비롯하여 감사경험이 많은 업무팀원들이 회사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자신의 견해를 공유하는 것은 감사경험이 부족한 업무팀원들이 자신에게 배정된 특정 분야의 중요한 왜곡표시 위험을 더 잘 이해하고 적절한 후속감사절차를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신국제감사기준에서 강조하는 것처럼 감사인이 전반계획에 많은 노력을 쏟을수록 감사품질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는지, 그 과정에서 파트너의 적극적 참여가 도움이 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14년 상장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감사계획과 감사품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감사인이 감사계획에 기대수준보다 높은 시간노력을 쏟을 때 감사품질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계획 단계에서 파트너의 시간투입비중은 감사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영문
  • The auditor’s opinion is derived through a complex process such as establishing an audit plan, due diligence, external inquiry, and on-site audit (Rho 2016). However, existing audit reports disclosed only audit opinions without specific details. For this reason, it is often pointed out that the information is insufficient for investo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audit reports. In May 2014, The Korea government amended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hereafter, the “External Audit Act”) to require the auditor to disclose detailed audit execution data in an audit report. In particular, since 2014 the auditor should disclose two types of audit execution data. One is the personnel composition of audit engagement team. The other is the composition of audit procedure. The auditor should disclose detailed audit hour data subdivided by auditor’s rank and audit process.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expects that the disclosure of detailed audit execution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the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financial statements. It also plans to use the disclosed information to select the subject of audit review. The above discussion assumes that there is a systematic difference in the audit quality depending on how the audit engagement team is structured and how the auditor allocates audit hours to each audit proces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firms or engagement partners on audit quality (DeAngelo 1981; Becker et al. 1998; Balsam et al. 2003; Krishnan 2003; Chi and Chin 2011; Zerni 2012; Gul et al. 2014; Bae et al. 2014; Choi et al. 2016), but few studies examined whether audit quality is influenced by the assignment of audit resources. We expect our study to fill this gap.
    The year 2014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at it is not only the first year to adopt the New International Standards on Auditing (hereafter, “New ISA”) in Korea, but also disclosure of detailed audit execution data became mandatory. One of the key features of New ISA is a top-down risk based approach, which focuses audit resources on the key risk factors identified in the planning phase. If the auditor spend sufficient time on the planning, he or she will be able to better identify key audit risks,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finding accounting frauds or errors on financial statements (New ISA §300 Para. 2; Blokdijk et al. 2006). Furthermore, the New ISA emphasizes the involvement of key engagement team members in the planning phase (New ISA §300 Para. 5). The involvement of the engagement partner and other key members in the audit planning facilitates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mong team members, thereby enhanc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lanning process (New ISA §300 Para. A4; Bell et al. 2008).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eals with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e examine how an appropriate audit planning can affect audit quality based on the disclosure of external audit execution data. Second, we investigate whether the involvement of engagement partner in the planning phase is a useful information to the capital market.
    To address these two research questions, we use 1,194 firm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KSE) and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KOSDAQ) in 2014. We use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of audit quality (Becker et al. 1998; DeFond and Subramayam 1998; Carey and Simnett 2006). We fin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bnormal audit planning ratio. It suggests that if the auditor puts sufficient time into the planning phase, audit quality improv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olicy pursued by the New ISA, which emphasizes an appropriate audit planning in order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finding material misstatement (New ISA §300 Para. 2). Meanwhile, the proportion of partner time (as a fraction of total audit hours) dose not significantly affect this positive relation between abnormal audit planning ratio and audit quality.
    We make several contributions to prior literature. First, we respond to calls for more research on the audit process (DeFond and Zhang 2014). In Korea, total audit hours have been disclosed since 2001, but detailed audit hours information subdivided by auditor’s rank or audit process was not provided. Due to the data limitations,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conducted very limitedly through inside data of one or two accounting firms or experimental settings (Davidson and Gist 1998; Blokdijk et al. 2006; Sohn et al. 2006). Our large-sample archival evidence complements the prior researches that rely on the experimental setting. Second, we focus on the role of audit planning in improving audit quality. The outstanding feature of New ISA is the emphasis on the top-down risk based approach. This approach emphasizes the audit planning phase, at which the auditor identifies key risky items that may contain potential misstatement. However,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to examine whether the auditor’s commitment to the planning phase leads to an increase in audit quality, and whether the active involvement of experienced engagement partner is helpful in this process. Our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role of audit planning,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auditing standards and practices. Third, our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which disclosure items may be useful for market participants (including regulators) when assessing a firm’s audit qua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New International Standards on Auditing adopts a top-down risk based approach. It emphasizes an appropriate audit planning and the involvement of key engagement team members in the planning phase. We examine how additional audit efforts to the planning are related to audit quality.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abnormal audit planning ratio and audit quality varies with the extent of the involvement of engagement partner. We use a total of 1,194 listed companies that disclosed detailed audit hour data for audit team members in 2014. We employ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Abnormal audit planning ratio is measu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udit planning ratio and expected audit planning ratio. We find that abnormal audit planning ratio is negatively related to discretionary accruals. It implies that the sufficient time commitment to the audit planning can enhance audit quality. However, the proportion of partner time (as a fraction of total audit hours) does not affect this relation significantly. Thes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how the assignment of audit resources can affect audit qualit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감사인이 감사계획에 기대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일 때 감사품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계획 단계에서 파트너 참여는 감사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 공헌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는 감사인이 감사계획에 투입하는 상대적 시간비중이 높을수록 감사품질이 높아지는지, 감사계획과 감사품질간 양(+)의 관계가 감사참여자의 인적구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보여준다. 신국제감사기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전통적인 거래중심접근법에서 하향식 위험중심법(top-down risk based approach)으로의 전환이다. 하향식 위험중심법 하에서는 경영전략, 경영진의 특성 등 기업의 사업위험 전반을 검토한 후 발생 가능한 재무정보의 왜곡가능성을 파악하는 감사계획단계가 중시된다. 하지만 감사계획에 쏟는 감사인의 노력이 감사품질 제고로 연결되는지, 이 과정에서 풍부한 감사경험을 갖춘 파트너의 적극적 참여가 도움이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이제까지 전무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감사 실무에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감사계획과 핵심업무팀원의 참여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보다 체계적인 해석의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시장참여자나 감독당국이 기업이 공시한 감사실시내용을 바탕으로 그 기업의 감사품질을 판단할 때 특히 관심을 기울여 검토해야 할 항목이 무엇인지에 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감독원은 외부감사실시내용 작성과 관련된 주의사항을 발표하면서 외부감사실시내용을 향후 심사감리 대상 선정에 고려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논의에는 감사실시내용을 통해 시장에 전달되는 공시정보가 감사품질과 체계적 관련성을 가질 것이라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외부감사실시 공시내용을 기초로 감독당국이 심사감리 대상을 선정하거나 시장참여자들이 그 기업의 감사충실성을 평가할 때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지에 관해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감사계획, 감사절차, 파트너 투입시간, 감사품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