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603&local_id=10086079
한국어-아랍어 번역 교육을 위한 번역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아랍어 번역 교육을 위한 번역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곽순례(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51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아랍어 번역을 교육할 때 번역 평가기준 제시를 목표로 한다. 초급, 중급 단계에 있는 학습자들은 한국어-아랍어 번역을 아랍어-한국어 번역보다 어렵게 생각한다. 이는 아랍어가 문법 의존도가 높은 언어이고, 한국어-아랍어 번역이 아랍어-한국어 보다 더 많은 문법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번역 오류를 문법을 비롯한 형식 오류와 의미 오류로 분류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오류의 심각성 정도를 5단계로 차등화 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후 100점 총점에서 각 항목별 오류 점수를 합산하여 감점하는 방법으로 번역을 평가하여 총점에 따라 번역이 잘 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번역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평가 기준에 따라 5명의 평가자가 3차례 모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오류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고, 문법과 의미의 오류에 대한 심각성에 대해 주관적인 의견이 많이 반영되는 점이 발견되었다. 평가에 대한 객관성 담보를 위해 동일한 번역문에 대해 평가자의 평가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객관성을 유지할 기준을 보강하였고, 특히 문법사항을 중요성에 따라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기준에 예시하여 동일 오류에 동일한 평가 점수를 주도록 만들었다. 오류에 대한 감점 평가 방법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이도가 있는 구문의 잘된 번역에 대해 가점 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학생들의 학습 욕구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한국어-아랍어 번역에 대한 번역 평가 기준 항목을 조사하였다. 둘째, 평가 기준 항목에 의거한 복수 평가자의 모의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번역 능력 평가뿐만 아니라 아랍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n evaluation standard for translations in the classroom for Korean-Arabic translation.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tend to consider Korean-Arabic translation more difficult than Arabic-Korean translation. This could be because Arabic relies on grammar to a much larger extent than Korean, and thus Korean-Arabic translation requires much more grammatical knowledge than translation in the other direction.
    A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to classify translation errors into form-related and meaning-related errors, with these errors further classified into five levels of magnitude to enable qualitative evaluation. The error scores gained in this manner were subtracted from a total of 100 points to produce a translation evaluation method that could measure the quality of a translation.
    Five evaluators conducted three sets of mock evaluation session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s for classifying errors were not clear, and that many subjective opinions ended up being included when measuring the severity of an error. To strengthen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evaluations made by multiple evaluators were compared for an identical translation text, after which error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and specific examples provided for each category, thus narrowing the gap between different evaluators for an identical error. An additional element of evaluation was incorporated to complement this error-subtraction system, where evaluators could award additional points for portions when they felt the translator had done well despite the portion being difficult, which also helped to motivate learner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rst, investigate translation evaluation criteria for learner translators in the Korean-Arabic direction; second,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s of multiple evaluators based on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hird, establish the basic framework upon which learners could be provided with quantified, objective and scientific evaluation results; and fourt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 to improve not only translation ability but also Arabic communication skil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아랍어 학습 번역의 평가 항목이나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기 위하여 학부 아랍어 학습자에게 모의 번역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정 수준의 아랍어 학습 인원이 충분하지 않아, 객관적인 결과를 담보할 만한 수량의 번역 샘플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번역대학원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모의 번역을 실시하였다. 평가 텍스트는 문화적 요소가 포함된 서술문 형식의 실용문 텍스트로 한정하였고, 번역 방향은 한국어-아랍어로 진행하였다. 한국어 120-130 단어 분량의 텍스트로 50분 동안 번역을 실시하였다.
    평가는 원문 텍스트의 단어 수 대비 오류 수를 나타내는 평가지수(TQI : translation quality index)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총점제로 구성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오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오류가 전체 번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하여 영향의 심각 정도를 1점, 2점, 3점, 4점, 5점으로 차등화하여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100점 총점에서 각 항목별 오류 점수를 합산하여 감점하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총점이 작을수록 번역은 만족스럽지 못한 번역이다.
    오류의 유형별 분류로는 의미의 모호함, 의미의 부분적 손실, 의미의 전반적 손실, 의미의 명백한 일관성 결여 등과 같은 의미의 오류가 있고, 철자 오류, 오타, 적절하지 않은 구두점, 문단 나누기 등과 같은 의미 이외의 오류가 있으며, 텍스트의 정보의 정확성, 텍스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 가독성 등과 같이 전체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가 있다.
    평가 항목으로는 텍스트의 의미를 왜곡 없이 명확하게 전체적 의미를 전달하는지, 번역이 논리와 용어의 일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텍스트의 완결성에 40점을 배정하였다. 오역, 지나친 직역이나 의역, 의미 왜곡, 근거 없는 내용의 누락이나 첨가를 평가하는 번역 오류에 30점을 배정하였고, 문법 오류, 도착어의 자연스러움을 평가하는 언어 오류에 30점을 배정하였다.
    객관적인 평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학부에서 아랍어를 교수하고 있는 5명을 평가자로 참여시켰고 준비된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번역 평가를 정량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정성적인 직관적인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텍스트의 완결성은 논리 및 용어 일관성에서 감점이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번역 오류는 단어 의미 오역에서 감점이 가장 많이 일어났다. 언어 오류는 표현 오류가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평가자 간의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오류에 대해 평가자 간의 점수 차이가 큰 경우가 있어 이를 보완할 객관적인 기준 정립이 필요하였고, 구와 문장 수준의 오역은 평가의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들어 있어 평가 분류가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었다. 언어 오류는 오류를 보는 평가자의 견해가 달라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였다.
    마련한 평가 기준에 의거 평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드러난 오류만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우며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항목을 만드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의미 오역으로 일어난 오류를 어휘, 문법 등 그 원인을 파악하여 세부적인 항목으로 만들어 평가기준에 예시한다. 이는 평가자가 객관적이고 용이하게 평가하는데 도움을 준다. 오류 원인의 항목으로는 명사-형용사 수식구의 일치, 연결형의 구성, 동명사 구, 동사의 시제, 상태문의 이해와 활용, 완료 동사의 활용, 미완료 동사의 활용, laysa와 kāna 보조 동사의 활용과 용법, 감탄문과 명령문의 이해와 활용, 조건문의 이해와 활용 등이 있다. 그리고 총점에서 오류 점수를 감점하는 평가방법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이도가 높은 어휘, 문법사항, 의미를 잘 번역한 경우 가점을 준다. 이는 학생들에게 학습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한국어-아랍어 학습 번역에 대한 평가 기준이 교육적으로 또한 실무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제시된 평가 기준을 단지 아랍어 학습 번역 능력 및 아랍어 언어 능력 평가에만 활용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자신들의 문제점들을 집중적으로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전문 번역사들의 실무 번역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아랍어 번역 시장의 번역 품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계획에 따라 성실히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한국어-아랍어 학습 번역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한국어-아랍어 학습 번역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구체적이고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교수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주관적이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던 한국어-아랍어 학습 번역의 평가에 객관적 기준을 부여하게 되어 평가의 공정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ST(원천어 텍스트)의 단어 수 대비 오류 수를 나타내는 평가지수(TQI : translation quality index)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오류의 심각성 정도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여 학습자들에게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번역 오류를 줄여 나가고 번역 능력을 향상시켜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아랍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
    본 연구는 아랍어 번역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가 평가, 동료 평가, 교수자 평가, 전문가 평가 등 다양한 평가 의견을 포함하여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이렇게 제시된 평가 기준을 번역 평가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적 문제점과 번역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하게 된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부족한 언어적 취약점들을 개선하고 학습자에게 높은 번역 평가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인 한국어-아랍어 번역의 평가 기준을 아랍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한국어-아랍어 전문 번역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번역의 오류를 범주 별로 정량적으로 분류하고 오류의 심각성을 구분하여 정성적으로 번역을 평가하는 방법은 학습 번역과 전문 번역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한국어-아랍어 전문 번역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시대적으로 번역 시장에서 아랍어 번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수요의 급증과 더불어 객관적이고 공정한 번역 결과물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 번역 품질의 기준이었던 충실성과 가독성의 평가만으로 번역 품질을 평가해서는 시장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전문 번역 품질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 기준이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가 전문 번역 품질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번역학, 교육학 발전에 기여
    1960년대 이후 번역학이 언어학의 하부 학문이 아닌 독자적인 학문 체계를 갖추고 발전되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언어학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번역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번역 교육 분야는 번역학의 주류인 순수 번역학이 아닌 응용 번역학으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더디게 발전되어왔다. 최근 국내 동향으로는 통번역대학원뿐만 아니라 학부에도 통번역학과가 개설되어 번역 교육을 비롯한 번역 비평, 번역 도구등과 같은 응용 번역학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번역 교육 관련 번역학과 번역을 활용한 교육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사회적 기여
    유럽, 북미 등 번역의 역사가 비교적 오래된 국가들에서는 이미 오역 또는 질 낮은 번역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였다. 이에 반하여 한국에서는 번역 품질 평가에 대해 공공 번역에서 조차 공식적인 장치가 아직까지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 많은 한국 문화 콘텐츠가 세계의 언어로 번역되어 공급되고 있다. 간단한 문화 콘텐츠 번역 품질이 국가 이미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연한 사실이다. 훌륭한 내용의 문화 콘텐츠 재료가 오역이나 낮은 수준으로 번역된다면 문화 콘텐츠 독자는 해당 문화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다. 아랍 국가에서 한류와 의료관광으로 인해 많은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콘텐츠들이 아랍어로 번역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한국어-아랍어 번역 평가 기준을 제시된다면 번역 주관 기관에서 번역 품질을 쉽게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아랍어 콘텐츠 번역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국가 이미지를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국가수준의 번역 품질 평가 도구를 마련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번역, 교육, 평가, 학습 번역, 번역 교육, 번역 평가, 의사소통능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