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653&local_id=10086125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 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 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 개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윤희(신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55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과정에서 수업비평을 활용하여 반성적 모의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성교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비평 및 모의수업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준거 및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여 모형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모형 시안은 예비유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총 16주간 적용하였으며, 적용과정을 분석하여 수정·보완한 뒤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제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은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자간 상호신뢰와 존중의 수평적 관계와 수업을 보는 상대적 다양성 존중을 기본관점으로 하며,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과 전문적 정체성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내용 및 운영방식에 있어서는 수업비평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강의, 대상수업 분석, 수업비평 공동체의 모의수업 실행, 비평적 글쓰기, 비평적 글쓰기의 공유 및 출판 등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develop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model on class critique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o develop this model, the theoretical ground for a model was found on the basis of a review on class critique, simulated instruction. Then, model draft were investigated and was consisted of basic viewpoints and purpos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operating system. 28 pre-service teachers had been participated in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model on class critique for 16 weeks. It showed that the model could improve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The final model is ba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and respect between pre - 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based o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is model aims to cultivate the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nt and methodology, this model utilized video transcription and discussion, critical writing, and critical discourse to preserve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과정에서 수업비평을 활용하여 반성적 모의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성교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비평 및 모의수업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준거 및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여 모형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모형 시안은 예비유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총 16주간 적용하였으며, 적용과정을 분석하여 수정·보완한 뒤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제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은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자간 상호신뢰와 존중의 수평적 관계와 수업을 보는 상대적 다양성 존중을 기본관점으로 하며,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과 전문적 정체성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내용 및 운영방식에 있어서는 수업비평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강의, 대상수업 분석, 수업비평 공동체의 모의수업 실행, 비평적 글쓰기, 비평적 글쓰기의 공유 및 출판 등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된 최종 모형에 대한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의 기본관점은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자가 상호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수평적 관계를 전제로 하며, 수업을 보는 상대적 다양성을 존중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모형에서는 예비유아교사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업비평 공동체를 구성한 운영방식을 활용하였으며, 모형의 내용에 있어서도 수업비평에 대한 개념 이해, 대상수업 분석을 통한 수업비평의 실제와 방법이해, 현장교사의 비평문 사례 공유 등을 반영하여 수업을 보는 상대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둘째, 본 모형의 목적은 모의수업에 대한 비평을 통해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도록 하며, 반성적 사고가 지향하는 방향을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 확립하는데 두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동료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에 대한 비평문 쓰기에서 단순히 동료 예비유아교사의 수업현상만을 비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존 수업 경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수업 비평에 포함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수업에 대한 관점이나 교사상을 정립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모형 적용의 초기의 대상수업 분석이나 모의수업에 대한 대화나누기 과정에서는 수업에 대한 단편적인 인상이나 느낌을 제시하는 수준의 수업 비평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비평적 글쓰기 과정에까지 지속되는 예비유아교사들도 나타났다. 따라서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에는 ‘모의수업에 대한 대화나누기’를 통한 낮은 수준의 비평에서부터 후기에는 다양한 주체의 관점에서 수업을 평가하고 해석할 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다양한 대안까지 모색해볼 수 있는 다양한 사고의 확장이 일어날 수 심도깊은 수준의 비평까지 확장해갈 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모형 운영이 요구된다.
    셋째, 본 모형의 운영방식은 강의, 대상수업 분석, 모의수업에 대한 대화나누기, 수업비평문쓰기, 수업비평문 출판하기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운영방식은 수업비평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업비평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것은 수업 비평은 생산적이고 열린 대화를 통해 공동체 모두가 수업을 보는 교육적 안목을 함께 성장시키는 문화 속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을 계획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실행 후 비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공동체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나갈 수 있었다. 특히 본 모형에서 활용한 수업비평문 쓰기 및 공유하기의 운영방식은 수업을 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작용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가 실행한 모의수업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심도있게 촉진시켜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업동영상의 공유와 관련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업동영상과 수업 비평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본 모형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수업비평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수업비평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반성적 저널, 소감 말하기 등에는 익숙했지만 연구 초기에는 비평이라는 단어 자체도 낯설어하였으며, 모형 시안 적용과정에서도 수업비평문 작성의 실제를 도울 수 있는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모형에서는 ‘대상수업 분석’을 통한 현장교사 수업비평문 공유, 수업비평의 방법 및 절차 경험의 내용을 구성하여 수업비평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최종 모형을 구안하였다. 따라서 본 모형을 적용하는데 있어 비평을 접근하는 데 있어 이론적이고 개념적이기 보다는 실제적인 현장의 모습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본 모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비평의 동반자로서 수업관찰자, 비평자,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교사교육자는 예비유아교사들과 수평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수업 탐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제안자,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모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신과 다른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관찰을 통해 서로 반성적인 대화를 나누고 수업을 비평하는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색인어
  • 반성적 모의수업 예비유아교사 수업비평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