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664&local_id=10086383
청소년의 중요 심리사회적 흡연 유발 요인과 효과적인 금연 활동 연구: 메타분석과 시장 세분화 기법의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소년의 중요 심리사회적 흡연 유발 요인과 효과적인 금연 활동 연구: 메타분석과 시장 세분화 기법의 적용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정석(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634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 과제는 청소년 대상의 흡연 예방과 금연 유도 전략(예. 금연 광고)이 우리나라의 흡연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과제의 목적은 총 3개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흡연 예방과 금연 유도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연구 1)에서 국내 청소년 흡연 행동을 연구한 총 16편의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심리적 요인 중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요인 중 친구의 흡연 여부가 국내 청소년 흡연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자기 효능감이란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예. 기말 시험에서의 좋은 성적)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자신에게 있다고 확신하는 정도를 말한다. 두 번째 연구(연구 2)에서 청소년 흡연 폐해의 고위험 지역(A도)의 중고교에 재학 중인 총 61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자기 효능감, 친구의 흡연 여부, 인구통계적 특성(예. 연령), 경제적 특성(예. 경제적 수준), 흡연에 대한 인식(예. 지각된 흡연의 신체적 폐해)과 흡연 실태(예. 흡연 여부) 및 기존의 흡연 예방과 금연 유도 활동의 지각된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시장 세분화 기법을 적용해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A도 청소년 담배 소비 집단(비흡연 청소년 포함)은 2개의 변인(자기 효능감과 친구의 흡연 여부)을 기반으로 총 4개의 세분 집단(자기 효능감 중/모두 흡연 친구 없음, 자기 효능감 저/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자기 효능감 고/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자기 효능감 중/모두 흡연 친구 있음)으로 구분되었다. 변량분석(ANOVA)과 카이제곱(χ2)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 집단의 다양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마지막 연구(연구 3)에서 연구 2에서 확인된 총 4개 세분 집단 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흡연 예방과 금연 유도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서 4명의 마케팅 또는 광고 관련 실무자와 5명의 지역 청소년 보건 사업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총 3회의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아래의 연구 논문은 본 연구 과제의 세부 결과를 제공한다.

    강정석, 임사라 (2017). 청소년의 효과적인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메타분석과 시장 세분화 기법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41(1), 75-107.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suggests that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e.g., anti-smoking advertising) for adolescents can be helpful to reduce the smoking rates in Korea. Hence, the goal of the research project is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Korean adolescents by conducting three studies. In the first study (Study 1),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6 previous studies which had investigated Korean adolescent smok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among psychological factors and friends’ smoking among social factors had the greatest effect on Korean adolescent smoking behavior. The self-efficacy is here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n adolescent is confident in his/her own ability to achieve his/her intended results in his/her daily life (e.g., good grades in his/her final examinations). In the second study (Study 2), a survey with 619 student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he region which is at a high risk of harmful effects of adolescent smoking (Providence A) was conducted. The self-efficacy, friends’ smok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g., age), economic characteristics (e.g., economic level), perception of smoking (e.g., perceived physical harmfulness of smoking), actual state of smoking (e.g., smoking statu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previous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by using a questionnaire. After applying the market segmentation technique to the data obtained from the adolescents, the adolescent cigarette consumption groups (non-smoking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groups) in Province A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4 segments (Middle self-efficacy/None has smoking friends, Low self-efficacy/Majority has smoking friends, High self-efficacy/Majority has smoking friends, Middle self-efficacy/All have smoking friends) based on two variables (self-efficacy and friends’ smoking). The differences in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identified after conducting ANOVA tests and χ2 tests. In the last study (Study 3), three F.G.I.(Focus Group Interview)’s with 4 practitioners related to marketing or advertising and 5 practitioners related to community adolescent health services were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each of the 4 segments identified from Study 2. The following research paper provides the detail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

    Kang, J., & Lim, S. (2017). A study on developing effective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strategies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Applying meta-analysis and market segmentation technique. Social Science Studies, 41(1), 75-107.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 과제의 목적은 국내의 높은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서 사회적 마케팅(social marketing) 기법을 활용해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흡연 예방 활동과 금연 유도 활동의 방향(4P Mix)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3개의 하위 연구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청소년 흡연과 관련된 총 16편의 국내 선행연구를 취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1). 메타분석 결과, 국내 청소년의 흡연 행동(흡연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흡연 유발 동기 요인은 자기 효능감이며 사회적 흡연 유발 동기 요인은 친구 흡연 여부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을 통해 밝힌 국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흡연 유발 동기 요인(자기 효능감, 친구 흡연 여부)을 기준으로 청소년 담배 소비 집단(잠재 흡연자 포함)을 세분화하기 위해서 청소년 흡연 폐해의 고위험 지역(A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A도에 소재한 총 17개 중고교에 재학 중인 총 619명의 청소년으로부터 취합한 자료를 시장 세분화 기법을 활용해서 분석한 결과, A도 청소년의 담배 소비 집단은 총 4개의 세분 집단(중간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모두가 흡연 친구 없음, 낮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중간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모두가 흡연 친구 있음)으로 나누어졌다. 이후 각 세분 집단의 다양한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경제적 특성, 흡연 인식 및 실태, 기존의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의 효과성 평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4개의 세분 집단은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각 세분 집단의 이질적인 특성에 적합한 A도 청소년 대상의 흡연 예방 활동과 금연 유도 활동의 방향을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 3을 진행하였다. 연구 3에서는 마케팅 또는 광고 전문가(총 4명)와 A도의 청소년 보건 관련 실무자(총 5명)를 대상으로 F.G.I.(총 3회)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F.G.I. 결과를 근거로 A도의 총 4개 청소년 담배 소비 세분 집단 별로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흡연 예방 활동과 금연 유도 활동 방향을 4P Mix 형태(product, price, place, promotion)로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는 A도 청소년 담배 소비 집단의 총 4개 세분 집단 별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흡연 예방 활동과 금연 유도 활동의 방향을 4P Mix(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형태로 제안한 것이다. 각 세분 집단의 특성에 따라 제안된 흡연 예방 활동과 금연 유도 활동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분 집단 1(중간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모두가 흡연 친구 없음, 전체의 43.8%)에게는 흡연 폐해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흡연 예방 교육 프로그램(예. 교내 금연 UCC 제작 경진대회) 운영이 적합하다. 세분 집단 2(낮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전체의 8.6%)의 경우, 친구의 흡연 권유를 거절할 때 필요한 자기 효능감 향상 교육 프로그램 시행이 요구된다. 세분 집단 3(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전체의 23.0%)에게는 금연 동기 유발 프로그램(예. 감연 성공에 대한 물질적 보상 제공)이 효율적이며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세분 집단 4(중간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가짐/모두가 흡연 친구 있음, 전체의 24.7%)의 경우, 흡연자의 부정적 이미지를 소구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예. 금연 웹툰) 시행이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인 4P Mix 내용의 확인은 아래 논문을 통해 가능하다.

    강정석, 임사라 (2017). 청소년의 효과적인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메타분석과 시장 세분화 기법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41(1), 75-107.

    이상에서 기술한 본 연구 과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방법으로 실무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본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물인 강정석과 임사라(2017)의 연구 출력물을 A도에 소재한 총 15개 위센터에 안내문(본 연구 과제의 결과에 대한 개별 위센터 단위의 설명회 개최 및 신청 방법)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고자 한다. 해당 우편을 수령한 위센터 중 본 연구 과제의 결과 설명회 개최를 희망하는 모든 위센터를 대상으로 연구책임자의 주관 하에 본 연구 과제의 결과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청소년 흡연, 심리적 흡연 유발 요인, 사회적 흡연 유발 요인, 메타분석, 시장 세분화, 금연 전략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