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3006&local_id=10086937
소비자의 사적연금에 대한 심리적 의미 파악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통제감 획득 동기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비자의 사적연금에 대한 심리적 의미 파악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통제감 획득 동기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경미(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587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은퇴세대의 주요 소득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강성호 2011). 하지만, 아직 선진국에 비하여 사적연금 가입률은 미약하고 소비자 인식도 미흡하여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KDI 2014).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이 외부대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는 보완적 통제 이론(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을 바탕으로, 은퇴 후 삶에 경제적 자족을 도와주는 사적연금 제도가 소비자들의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하는 심리적 기능을 한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실험에서는 미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삶에 대한 통제감을 획득하는 동기가 활성화 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적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적연금이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한다는 본 연구의 기본 전제를 삶에 대한 통제감 획득이 시급한 개인들 (즉, 자아 존중감이 낮은 소비자들)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사적연금 가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화를 바탕으로 사적연금이 소비자들에게 의미하는 것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영문
  •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has grown in recent years (Kang 2011). However, many consumers still do not recognize this importance and have not set up their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s (IRA), making it a critical task for the government to encourage more people to set up their IRAs and save more for retirement. Building on 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 this research proposes t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has a psychological function of enhancing a sense of control over life and suggests that highlighting this psychological function may be an effective way to encourage people to save more for retirement. Specifically, the first study finds that people evaluate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ore favorably when they want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over life (vs. when they do not have such desires). The second study further tests the proposition t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enhances people’s sense of control over life by investigating self-esteem as a moderator: it demonstrates that people with greater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e.g., people with low self-esteem) evaluate saving for retirement more favorably when their desire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is activated, while this effect attenuates among people with less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people with high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eek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w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eans to consumers and offers novel approaches to encourage consumers to save more for retir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은퇴세대의 주요 소득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강성호 2011). 하지만, 아직 선진국에 비하여 사적연금 가입률은 미약하고 소비자 인식도 미흡하여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KDI 2014).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이 외부대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는 보완적 통제 이론(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을 바탕으로, 은퇴 후 삶에 경제적 자족을 도와주는 사적연금 제도가 소비자들의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하는 심리적 기능을 한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실험에서는 미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삶에 대한 통제감을 획득하는 동기가 활성화 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적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적연금이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한다는 본 연구의 기본 전제를 삶에 대한 통제감 획득이 시급한 개인들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사적연금 가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이 같은 발견은 사적연금을 활성화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통제감 회복이라는 사적연금의 심리적 기능을 밝힘으로써 유관기관에서 사적연금을 장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부에서 국민들의 사적연금을 장려할 때 사적연금의 통제감 회복 측면을 강조한 광고 메시지(“연금 가입을 통해 당신의 노후를 당신 마음대로”)는 국민들의 사적연금 가입 및 저축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메시지는 연금 수익률과 같은 금융개념이 생소한 소비자들에게도 소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범용적인 사적연금 장려 캠페인을 가능케 한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사적연금을 광고할 때 사적연금의 통제감 회복 기능을 강조해 소비자들이 사적연금에 보다 더 많이 가입하도록 하고 있다.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국민들의 사적연금을 촉진할 때 사적연금의 심리적 기능인 통제감 회복 기능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다가오는 세대들이 은퇴 후 경제적으로 보다 안정된 삶을 영위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사적연금, 통제감, 보완적 통제감 이론, 자아존중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