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3481&local_id=10086487
태그 클라우드 기반 독일어 음향어의 동의어 의미관계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태그 클라우드 기반 독일어 음향어의 동의어 의미관계 분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송석희(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548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는 Duden 온라인 사전이 인터넷 상으로 제공하고 있는 핵심어-문맥어 결합 스크린인 태그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독일어 음향 동의어들 간에 의미적 연관성을 다룬다. 특히 동의관계에 있는 독일어 음향어들 Geräusch, Laut, Stimme, Ton, Klang 사례를 들어서 의미적 관계를 분석한다. 이때 의미적 관계란 첫째, 이들 음향 동의어 사이에 즉 비교 핵심어들 간의 문맥어 공유 개수를 근거로 측정하는 동의성 정도, 둘째, 비교 핵심어들이 서로 간에 상대의 문맥어로 출현하는 쌍방 상하관계, 셋째, 비교 핵심어 간에 일방적인 상하관계, 넷째, 비교 핵심어들이 상대의 문맥어에 전혀 나타나지 않은 무위관계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Stimme-Ton, Laut-Stimme, Ton-Geräusch”쌍들이 가장 동의적이고(3등급), “Laut-Klang, Ton-Klang, Laut-Ton, Laut-Geräusch, Klang-Geräusch”관계가 그다음으로 동의적이며(2등급),“Stimme-Geräusch”(1등급), “Stimme-Klang”(0등급) 순으로 드러난다. 그 밖에 의미적 관계로서 “Stimme-Ton, Ton-Geräusch, Laut-Klang, Laut-Ton, Stimme-Geräusch”(50%, 10 비교 쌍 중 5)의 대다수 비교 음향어들은 서로 간에 문맥어에 출현하지 않는 무위관계를 보이고, “Laut-Stimme, Laut-Geräusch, Stimme-Klang”(30%, 10 비교 쌍 중 3)들은 상하위관계의 상/하위어, 나머지 “Ton-Klang, Klang-Geräusch”(20%, 10 비교 쌍 중 2)들은 서로 쌍방 상하관계의 동 상/하위어들로 나타난다.
  • 영문
  • This research work handles the synonymous relation, namley synonymy of German sound vocabulary by means of the Tag Cloud from Duden online dictionary. From the synonymy that arises among the synonyms, for example ‘Geräusch, Laut, Stimme, Ton, Klang’ of the general sound words, we understand in this work firstly the synonymity, that is to say, the synonymical grade or the synonymity grade between the synonyms, secondly the co-hyper-/hyponymy, thirdly the hyper-/hyponymy, and finally the relation of the non-ranking. Based on the word cloud of Duden on the internet, the synonymity between the involved keywords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their shared context words. The co-hyper-/hyponymy enters into force if the comparing keywords occur each other in the mutual context words, and the hyper-/hyponymy emerges in case a keyword appears in the context words of partner of comparison, but inversely impossible. The relation of the non-ranking stands provided the comparing keywords do not happen in the competing context words mutually.
    As a result, “Stimme-Ton, Laut-Stimme, Ton-Geräusch” are the most synonymous (Grade 3) in all comparing pairs of the German sound words, “Laut-Klang, Ton-Klang, Laut-Ton, Laut-Geräusch, Klang-Geräusch” moderate (Grade 2), “Stimme-Geräusch” low (Grad 1), and “Stimme-Klang” is the least synonymous (Grade 0).
    In Addition, the relation of the non-ranking (Stimme-Ton, Ton-Geräusch, Laut-Klang, Laut-Ton, Stimme-Geräusch) occupies mostly (50%, 5 of 10 comparison pairs), behind that (30%, 3 von 10) the hyper-/hyponymy (Laut-Stimme, Laut-Geräusch, Stimme-Klang), and residually (20%, 2 von 10) the relation of co-hyper-/hyponymy (Ton-Klang, Klang-Geräus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과제는 독일 Duden 온라인 사전이 인터넷 상으로 제공하는 태그 클라우드 Tag-Cloud, Schlagwortwolke를 이용하여 독일어의 포괄적인 의미의 음을 나타내는 어휘, 즉 음향어 Geräusch 및 이것의 동의어들 Klang, Ton, Laut, Stimme을 사례로 들어서 이들 간의 문맥적 친밀도를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 연구가 방법론으로 사용한 태그 클라우드는 핵심어 Schlagwort가 문장에서 함께 출현하는 어휘들, 일명 문맥어 Kontextwort들을 화면에 보여주는 핵심어-문맥어 결합 화면이다. 화면 한 가운데에 가장 눈에 띠게 큰 글씨로 핵심어를 놓고 이 핵심어 주변에 상대적으로 작은 글씨크기로 문맥어들이 마치 구름처럼 떠 있다. 문맥어들 중 글씨크기가 클수록 핵심어와의 결합력이 강함을, 즉 공기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본 과제에서는 앞서 사례로 든 독일어 음향 동의어들을 핵심어로 삼아서 이들의 태그 클라우드 화면상 보이는 문맥어들을 비교하여 다음을 연구하였다:

    ■핵심어들로 등장하는 음향어 동의어들 간의 동의성 등급: 기준은 핵심어들 간에 공유하는 문맥어의 개수, 공유수이다. 즉 동의어 간에 공유 문맥어의 수인 공유도가 높을수록 동의성 정도가 높고 적을수록 동의성 정도가 낮다. 결국, 동의어 간에 문맥어 공유 개수를 토대로 하여 동의성 정도가 높을수록 가장 가까운 동의어이고 동의성 정도가 낮을수록 가장 먼 동의어가 된다.
    ■핵심어나 문맥어로 나타나는 음향 동의어들 간의 상하관계: 한 핵심어가 비교대상 동의어/핵심어의 문맥어로 나타나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 경우
    ■음향 동의어들 간의 쌍방 상하관계: 두 비교 핵심어 동의어가 서로의 문맥어로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음향 동의어들 간의 무위관계: 각 비교 상대 핵심어들이 서로의 문맥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다수 사전들이 동의어로 제시하는 음향어들 Laut, Stimme, Ton, Klang, Geräusch이지만 Duden 태그 클라우드 기반으로 고찰했을 경우 이들 사이에 동의성 정도에서 차이가 드러난다(이때 숫자가 높을수록 높은 정도를 표시함). 이를테면 Stimme-Ton, Laut-Stimme, Ton-Geräusch 간에는 3 등급의 가장 높은 동의성 정도를 보이고 그 다음 한 단계 낮은 동의관계 Laut-Klang, Ton-Klang, Laut-Ton, Laut-Geräusch, Klang-Geräusch는 2 등급, Stimme-Geräusch는 1 등급, Stimme-Klang이 0 등급으로서 가장 낮은 동의성 정도를 보인다.
    한편, 핵심어-문맥어 연관관계들로서 Ton-Klang, Klang-Geräusch는 쌍방 상하관계의 동위, Laut-Stimme, Laut-Geräusch, Stimme-Klang은 상하, 그리고 서로 간에 문맥어 출현이 없는 무위관계가 수적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는 Stimme-Ton, Ton-Geräusch, Laut-Klang, Laut-Ton, Stimme-Geräusch로 나타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과제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Laut, Stimme, Ton, Klang, Geräusch가 음향 동의어들이지만 이들 간에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등급으로 그 동의성 정도에서 차이가 남을 태그 클라우드 기법으로 확인하였다(숫자가 높은 것이 높은 동의성을 뜻한다):
    • Stimme-Ton, Laut-Stimme, Ton-Geräusch는 가장 동의적이다(3 등급)
    • Laut-Klang, Ton-Klang, Laut-Ton, Laut-Geräusch, Klang-Geräusch는 중간 정도이다(2 등급)
    • Stimme-Geräusch이 위의 음향 동의어들 보다 낮은 동의성이다(1 등급)
    • Stimme-Klangs는 가장 낮은 동의성 단계이다(0 등급)
    둘째, Laut, Stimme, Ton, Klang, Geräusch가 음향 동의어들이지만 이들 간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적, 즉 문맥적 연관관계가 있음을 태그 클라우드 기반으로 알 수 있었다:
    • 대부분(50%, 비교 음향 동의어 10쌍 중 5)이 서로 문맥어에 포함되지 않는 관계로서 무위관계 [Stimme-Ton, Ton-Geräusch, Laut-Klang, Laut-Ton, Stimme-Geräusch]를 보인다.
    • 그다음(30%, 10쌍 중 3)으로는 일방으로 상대 핵심어의 문맥어에 출현하는 상하관계 [Laut-Stimme, Laut-Geräusch, Stimme-Klang]
    • 그 밖에(20%, 10쌍 중 2) 서로 쌍방 간에 문맥어에 출현하는 동위관계 [Ton-Klang, Klang-Geräusch]를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서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첫째, 연구결과가 언어학의 의미기술에서 문맥 배제의 맹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혹은 현행 의미론에서 특히 어휘의미란 문맥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순수 형식적 의미의 의미기술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의어들일지라도 전후 문맥어들의 공유여부에 의하여 동의성 정도에서 차이가 남을 규명한 것이므로 이러한 통상의 의미론적 관점에 새로운 시각을 던진다. 둘째, 동의어 간에 혹은 반의어 간에 유사성 정도 망 network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현행의 의미관계망 사전들이 제공하는 연관어휘들의 망에 더 세분화되고 정밀화된, 즉 문맥어 공유도에 근거한 그들 간에 유사도까지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서 사회적 기여도는 제 4차 산업혁명시대라는 현재의 디지털 정보 기계시대에 맞는 기법을 사용한다는 데 있다. 태그 클라우드 어휘의 선택, 즉 기계적 어휘결합 정보들 중 가장 현저한, 가장 눈에 들어오는, 이른바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보의 선택은 현 사회적 언어사용 경향, 말하자면 스마트기기 사용자들이 하는 사회적으로 익숙한 디지털 언어 정보의 선택과 맥을 같이 한다. 이점에서 디지털 데이터 기법에 근거한 본 연구결과는 제 4 시대적 언어 사회활동을 이끄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태그 클라우드, 음향어, 핵심어, 문맥어, 동의어, 동의관계, 동의성 정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