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3613&local_id=10086252
M. 샌델 정의의 사례중심토론수업의 인성교육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M. 샌델 정의의 사례중심토론수업의 인성교육방안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금교영(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757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1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성교육방안을 여러 방향으로 강구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M. 샌델의 정의 학습에서 그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샌델의 정의는 축약해서 “옳은 것 행하기”(Doing The right Thing)라 할 수 있다. 샌델의 정의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을 크게 수용하여 전개하고 있는 최신의 이론이며, 정의를 찾되 ‘상황적 사량을 충분히 하여 가장 옳은 것을 찾아서 그것을 행하라’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어떤 사례를 가져와서 그 사례에서 가장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토론으로 찾아보는 지적 학습과 그 옳은 것을 실천코자 하는 의지 학습을 수행할 때, 『샌델의 하버드 명강의』(2011)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인성교육이 잘 되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현대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그 상황에서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그 옳은 것을 행하는 의지 실천력을 기르는 것이 바로 인성교육이며, 이런 교육은 수업시간에 샌델의 정의를 찾고 그 정의를 실천하려는 사례중심토론수업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2017년 1학기 모 대학교에 개설되고 있는 【공학윤리】 두 반 대상으로 샌델 정의의 학습을 공학적 사례의 집단토론방식으로 진행해 보고, 그 다음 설문지를 통한 학습의 결과를 조사・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로 그 학습이 하나의 인성교육방안이 되며, 또한 다른 여타의 교육방안에 못지않게 효과 있는 인성방안교육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Although we can look for personality education­plan in various ways, I am going to do this in the learning of M. Sandel's justice. Sandel's justice might briefly be said to "doing the right thing". Sandel's theory of justice is the latest theory that accepts Aristotle's theory of virtue and is developing, and it is said a theory that is used to find out a justice, namely find out the most right thing by doing situational thought and do it.
    In class, when students learn to look at what is the most right thing in a case and learn to bring up an will to do the right thing in practice, as mentioned in Sandel's Harvard Lecture(2011) a personalty­education can well be executed. Because in solving modern complex social problems, it is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brings up the ability to find out what is right in a situation and brings up the practical ability to do what is right, and such a personality education as an instruction to find out Sandel's justice in class and to do what is the most right thing might be the most effective in a case­discussion class.
    In 2 classes 【Engineering Ethics】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at any an university. I conducted the learning of Sandel's justice by a group discussion in engineering case,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a result of the learning through a survey. The result were generally positive. Namely it was confirmed that a learning of Sandel's justice might be one of personality education­plans, and might be as effective as any other personality education­pla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를 통해서 ‘샌델 정의의 사례중심토론수업이 충분히 인성교육방안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효과 있는 인성교육방안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샌델 정의 학습의 프로그램’을 PPT로 작성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수업을 실제로 진행해 보았다. 이를테면 수업시간에 제시된 사례를 토대로 학생들이 집단토론하면서 샌델의 정의를 찾아보고 실천하려는 학습시간을 가져 보았다. 이런 학습시간을 가지는 가운데 학생들의 심성이 은연중 교양되고 분별력이 길러지고 의지가 돈독히 되는 등 인성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는지 해명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샌델의 정의를 학생들에게 이해시켰다. 그 다음 사회문제로 이슈화된 사례를 찾아서 4명으로 구성된 팀의 학생들이 무엇이 문제인지 찾아보고, 또 샌델의 정의에 의거해 그 문제 해결책을 찾는 시간을 토론으로 가졌다. 이것을 2017년도 1학기에 연구자가 담당하는【공학윤리】수업시간을 이용하였다. 이를테면 ①‘정의란 가치가 필요한가?’의 테마로 인간의 발전적 삶을 위해 정의 가치가 필요치 않은지 반문해보도록 하였다. ② 그 다음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결국 샌델의 정의가 보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했다. ③ 수업시간에 샌델의 정의에 대한 사고훈련과정이 필요한데, 이 사고훈련은 사례중심의 실례를 들어 토론하는 수업으로 진행하고자 했다. ④ 다음은 수업시간에 샌델 정의의 실천을 훈련해보도록 한다. ⑤ 실천훈련 할 때, 어떤 사례를 실제로 고민하면서 이해당사자(stakeholder)로서‘옳은 것 행하기’가 무엇인지 찾는 시간과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욕의 시간을 가지도록 했다.
    다음으로 【공학윤리】수업시간에 학생들이 행한‘샌델 정의의 사례중심토론수업’의 결과를 조사 ․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샌델 정의의 사례중심토론수업’이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실재로 효과 있는지 연구하였다. 이것을 대략적으로 기술하자면, 정의를 학생들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여러 문항을 만들어 다각도로 조사하였고, 샌델의 정의를 학생들이 얼마만큼 이해하는지 조사하였고, 수업시간에 행한 샌델의 정의에 대한 사고훈련이 예컨대 상황에 따른 약속지킴의 결정, 물품수수의 상황에 따른 평가 상이, 소비자의 건강 ․ 안전과 회사의 영리도모 사이의 형평판단 등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는지를 학생들에게 설문지 돌려서 조사해 보았다.
    그 조사결과로 수업에서‘사례중심 샌델 정의의 학습’이 정의를 알게 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샌델 정의인“옳은 것 행하기”를 나중에 공학적 실행 때 찾아볼 의향을 묻는 설문과 나중의 공학적 실행 때 샌델의 정의를 실천해 볼 의향을 묻는 설문에는 꽤 긍정적 대답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법・제도나 윤리・도덕보다‘정의를 얼마나 선호하며, 그 정의를 찾는 수업방법에 만족 하느냐’의 설문이 있었는데, 정의를 선호한다는 대답이 각각 42%, 51%가 나왔고, 정의를 찾는 수업방법의 만족도는 ‘80%이상과 60% 내외의 영역’에 각 강좌 별로 81%와 87%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샌델의 정의 학습이 학생들에게 높은 만족을 주었으며, 또 정의의 문제해결 방식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 설문은 샌델의 정의를 학습한 후 그 정의를 실제 삶에서 실천해보려는 의지를 점검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는 샌델의 정의 수업 후 학생들이 정의를 실제 삶에서 실천해 보려는 의지가 백분율로 표현컨대 70%는 채워져 있다고 평가되었다. 마지막 8-10문항은 학생이 금전적 이익과 정의가 당면해 있을 때라든가 결혼상대자에 대한 부모들의 의견이 충돌할 때 등과 같은 어떤 문제 상황에 놓여있는 때, 샌델 정의를 찾아 실천할 것인지 조사하는 설문인데, 그 결과는 전자도 후자도 거의 70%이상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
    위의 설문분석들을 두고 볼 때, 사례중심의 샌델 정의 학습이 정의를 알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고, 수업에서 샌델의 정의 즉, “옳은 것 행하기”를 실제 예를 가지고 토론하는 가운데 학생들이 스스로 그 정의를 실천해보려는 마음이 상당히 생겼다 하며, 여러 이해충돌의 상황에서도 샌델 정의의 가치를 쫓아 살아보고자 하는 마음을 크게 다잡았다고 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샌델 정의를 어떤 사례의 상황에서 찾아보고 그리고 그 정의 즉,‘그 상황에서 옳은 것 행하기’를 실천할 때, 그 개인은 인성이 잘 교양되어지는 등 인성교육이 잘 이뤄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샌델 정의를 사례중심의 집단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또 하나의 인성교육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다른 여타의 교육방안 못지않게 효과적인 인성방안교육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015년 반포된 인성교육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국내 초중고등학교는 인성교육을 시행하게 되었고, 또 교육부는 인성교육프로그램 인증해주는 제도를 통해서 인성교육에 관심 많은 학자나 교육자가 인성교육프로그램을 많이 개발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부응하여 연구자는 샌델 교수의 정의를 학생들이 찾아보고 그 정의를 실천하는 훈련의 시간 동안에 인성 양성되는 것이 인성교육으로 효과 있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 연구의 연장선에서 하나의 인성교육방안을 강구해내고, 그 방안에 토대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하나의 PPT학습자료로 만들어 보았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수에게 이익이 되면 소수의 희생을 감수하면서도 어떤 정책을 수립·시행하는데, 이런 공리주의적 처리는 자칫 소수의 고귀한 가치를 훼손시키든가 절멸시킨다. 그래서 의무윤리 관점에서 소수의 기본권이나 생존권은 다수의 경제적 이익보다 우선으로 존중해야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고를 집단토론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공유하고 그런 사고를 실천하려는 의지를 불태우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바로 교육적으로 인성이 양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샌델의 정의 즉, “Doing The Right Thing”을 집단토론 수업 통해서 찾고 그것을 실천하려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 될 수 있었다.
    실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 교육부의 인증을 얻기 위해 인성교육프로그램 인증 신청하는 이가 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여러 인성교육방안을 찾아볼 것이다. 예컨대‘양서의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방안’, ‘신앙생활을 통한 인성교육방안’, ‘예술감상을 통한 인성교육방안’, ‘대화·소통을 통한 인성교육방안’등을 찾아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지만, 샌델의 정의를 집단토론수업을 통해 찾아보고 그것을 실천해 보려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또 하나의 인성교육방안임을 알고 그 방안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알다시피 상기의 ‘양서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방안’은 학생들이 수업시간 전에 양서를 독서해 와서 독후감의 발표나 그 책의 어떤 주제를 발표하는 식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함으로 사전 수업준비의 어려움으로 그 방안으로 인성교육하기가 쉽지 않고,‘신앙생활을 통한 인성교육방안’은 학교에서 행하는 인성교육의 방안으로 실행하기에 예상할 수 있는 여러 어려움이 있고, ‘예술감상을 통한 인성교육방안’은 영화감상, 미술감상, 음악감상, 연극감상 등을 행할 수 있는 제반여건의 마련이 쉽지 않고, 그리고‘대화·소통을 통한 인성교육방안’도 상담이나 일상생활이 아닌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방안으로는 적당치 않다. 그러나 연구자가 연구했던“샌델의 정의 학습을 통한 인성교육방안”은 당해 학교의 특별한 지원 없이도 인성교육 할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여러 흥미로운 사례중심으로 수없이 많이 작성할 수 있게 해주리라 확인하게 되었고, 따라서 현재 국내 인성교육에 사용될 프로그램의 제작에 프레임을 제공해주리라 확신하게 되었다.
  • 색인어
  • 정의, 인성교육, 인성교육방안, 인성교육진흥법, 마이클 샌델, 인성교육프로그램, 존 롤즈, 공리주의 정의, 의무윤리 정의, 공정이론의 정의, 옳은 것 행하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