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4169&local_id=10086284
거울 뉴런에 의한 모방과 공감 그리고 자아인식: 돈 들릴로의 󰡔바디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거울 뉴런에 의한 모방과 공감 그리고 자아인식: 돈 들릴로의 󰡔바디아티스트󰡕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수임(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726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돈 들릴로(Don DeLillo)의 󰡔바디아티스트󰡕(The Body Artist, 2001)를 중심으로 거울 뉴런(Mirror neuron)에 근거하여 인간의 모방 및 공감능력을 보다 실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과학적 사고에 대한 들릴로의 관심을 탐구하는 것이다. 거울 뉴런이란 동물이 특정 움직임을 수행할 때에나 다른 개체의 특정한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는 신경세포로 다른 동물의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한다는 의미에서 쓰인 표현이다. 그것은 관찰자 자신이 스스로 행동하듯이 느낀다는 뜻이다. 이러한 신경세포는 영장류 동물에서 직접 관찰되었고 인간은 거울 뉴런으로 인하여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 행위를 모방하고 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중요한 사실은 인간의 모방 및 공감능력이 신경과학의 토대 위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디아티스트󰡕는 2001년에 쓰여 졌으며 그 핵심내용은 바디아티스트이자 여주인공 36살의 로렌 하트케가 64세인 남편 레이 로블즈의 자살로 인한 내면의 트라우마를 행위예술로 재현해냄으로써 자신을 되찾는 다는 것이다. 사실상 로렌은 남편과의 일상생활에서 그에 대한 관심 보다 홀로 라디오를 듣거나, 차를 마시고, 신문을 읽고, 창밖의 새들을 지켜보는 등 자신만의 세계에 탐닉하는 모습을 보인다. 레이가 자살하던 날 아침에도 그녀는 평상시처럼 신문에서 눈을 떼지 않았고 레이는 집을 떠난다. 잠시 후 레이가 그의 첫 부인의 아파트에서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그 후 텍스트는 레이의 우울한 개인사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들을 제시한다.
    슬픔에 겨운 로렌은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을 더욱 용납하기 어려워 스스로를 자책하며 끔찍한 황폐함 속에 자신을 고립시킨다. 그리고 그녀는 의미 없이 반복되는 집안일에 몰두하거나 혹은 기계적인 시간의 흐름을 멍하니 응시하며 하루하루를 견딘다. 그러던 어느 날 로렌은 자신의 집 3층 침실에서 막 잠에서 깨어난 듯 속옷차림의 한 낯선 남자를 발견하는데 이상한 점은 그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집으로 들어왔는지 알 수 없고 더욱 놀라운 사실은 그가 죽기 전에 레이와 로렌이 나눴던 말과 생각을 그대로 재현한다는 것이다. 로렌은 그에게 미스터 터틀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남편의 목소리를 모방하는 그의 모습에서 죽은 남편을 연상하기 시작하며 그에게 친근감을 느낀다. 결국 로렌은 “바디-타임”이라는 타이틀의 공연을 진행하면서 그녀 자신을 미스터 터틀의 몸과 목소리로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내면의 상처를 회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떻게 󰡔바디아티스트󰡕에서 묘사되는 이런 모방행위들을 이해할 수 있을까?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모방행위를 어떤 근거 하에서 그리는 것인지 끝까지 어떠한 설명도 제시하지 않는다. 어찌되었든 󰡔바디아티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의구심이 해결되어야할 필요성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단초를 과학에 대한 들릴로의 오래된 관심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고 특히 ‘모방’과 ‘공감’의 본능인 거울 뉴런과 관계 지을 때, 낯설게만 느껴졌던 인물들의 모방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할 수 있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search human's ability of imitation and empathy in Don DeLillo's The Body Artist based on mirror neurons which are neurons that fire both when an animal acts and when the animal observes the same action performed by another. Thus, the neuron "mirrors" the behavior of the other, as though the observer were itself acting. Such neurons have been directly observed in primate species. Iacoboni has argued that mirror neurons are the neural basis of the human capacity for emotions such as empathy.
    The Body Artist written in 2001 examines the trauma of a 36-year-old body artist, Lauren Hartke, following the suicide of her husband, Rey Roble who is a 64-year-old film director. They have a sparse verbal exchange over breakfast before Rey leaves his house. Later that morning, Rey is found dead of a self-inflicted gunshot wound in his first wife's apartment. An obituary detailing the frequently ambiguous details of Rey's life ensues, where Rey's age is revealed, along with his history of depression and the fact that Lauren had been Rey's third wife.
    A bereaved Lauren becomes disconnected from the temporal world and from her own body and she spends the subsequent hours, days and weeks exploring this disconnection. One morning, Lauren hears a noise coming from the upper floor of the house. She goes upstairs finds a man sitting in one of the bedrooms. This ageless man, whom Lauren dubs Mr. Tuttle, is unclear about his origins; he articulates only in fragments that echo past conversations between Lauren and Rey previous to Rey's suicide. These echoes are so uncanny as to include body gestures and intonations, leading Lauren to see Mr. Tuttle as his husband. Lauren, after all, restores herself from the grieving life by performing 'Body-Time' which surprisingly covers her transformation into a masculinized Mr. Tuttle.
    How can we understand such acts of imitation described in The Body Artist? The writer doesn't explain anything. Accordingly,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its clue from DeLillo's long-time interest in science. Especially, mirror neurons only recently discovered are important for learning the actions of others by imitation and explaining also the neural basis of the human ability for feelings like empathy. When copying of an action is related to mirror neurons, it can be understandable.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udy tries to explore The Body Artist on the basis of mirror neur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돈 들릴로(Don DeLillo)의 󰡔바디아티스트󰡕(The Body Artist, 2001)를 중심으로 거울 뉴런(Mirror neuron)에 근거하여 인간의 모방 및 공감능력을 보다 실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과학적 사고에 대한 들릴로의 관심을 탐구하는 것이다. 거울 뉴런이란 동물이 특정 움직임을 수행할 때에나 다른 개체의 특정한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는 신경세포로 다른 동물의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한다는 의미에서 쓰인 표현이다. 그것은 관찰자 자신이 스스로 행동하듯이 느낀다는 뜻이다. 이러한 신경세포는 영장류 동물에서 직접 관찰되었고 인간은 거울 뉴런으로 인하여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 행위를 모방하고 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중요한 사실은 인간의 모방 및 공감능력이 신경과학의 토대 위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디아티스트󰡕는 2001년에 쓰여 졌으며 그 핵심내용은 바디아티스트이자 여주인공 36살의 로렌 하트케가 64세인 남편 레이 로블즈의 자살로 인한 내면의 트라우마를 행위예술로 재현해냄으로써 자신을 되찾는 다는 것이다. 사실상 로렌은 남편과의 일상생활에서 그에 대한 관심 보다 홀로 라디오를 듣거나, 차를 마시고, 신문을 읽고, 창밖의 새들을 지켜보는 등 자신만의 세계에 탐닉하는 모습을 보인다. 레이가 자살하던 날 아침에도 그녀는 평상시처럼 신문에서 눈을 떼지 않았고 레이는 집을 떠난다. 잠시 후 레이가 그의 첫 부인의 아파트에서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그 후 텍스트는 레이의 우울한 개인사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들을 제시한다.
    슬픔에 겨운 로렌은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을 더욱 용납하기 어려워 스스로를 자책하며 끔찍한 황폐함 속에 자신을 고립시킨다. 그리고 그녀는 의미 없이 반복되는 집안일에 몰두하거나 혹은 기계적인 시간의 흐름을 멍하니 응시하며 하루하루를 견딘다. 그러던 어느 날 로렌은 자신의 집 3층 침실에서 막 잠에서 깨어난 듯 속옷차림의 한 낯선 남자를 발견하는데 이상한 점은 그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집으로 들어왔는지 알 수 없고 더욱 놀라운 사실은 그가 죽기 전에 레이와 로렌이 나눴던 말과 생각을 그대로 재현한다는 것이다. 로렌은 그에게 미스터 터틀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남편의 목소리를 모방하는 그의 모습에서 죽은 남편을 연상하기 시작하며 그에게 친근감을 느낀다. 결국 로렌은 “바디-타임”이라는 타이틀의 공연을 진행하면서 그녀 자신을 미스터 터틀의 몸과 목소리로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내면의 상처를 회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떻게 󰡔바디아티스트󰡕에서 묘사되는 이런 모방행위들을 이해할 수 있을까?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모방행위를 어떤 근거 하에서 그리는 것인지 끝까지 어떠한 설명도 제시하지 않는다. 어찌되었든 󰡔바디아티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의구심이 해결되어야할 필요성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단초를 과학에 대한 들릴로의 오래된 관심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고 특히 ‘모방’과 ‘공감’의 본능인 거울 뉴런과 관계 지을 때, 낯설게만 느껴졌던 인물들의 모방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해외 학계에서 영미문학과 과학의 융합연구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과 비교할 때 국내에서는 이제야 상호조명을 시작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의 차별화를 꾀함으로써 들릴로의 작품뿐 아니라 영미문학 연구 범위의 지평을 확대시키는 작업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융합이 시대적 화두가 된 현실에서 본 연구결과는 ‘인간의 이해에 대한 과 학적 접근의 문학적 수용’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거울 뉴런의 역할을 대중가까이 이끌어 냄으로써 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3). 본 연구결과의 교육활성화 기여 측면에서는 ‘문학 읽기의 현재적 적실성’을 들 수 있다.
  • 색인어
  • 거울 뉴런, 모방, 공감, 바디아티스트, 돈 들릴로, 라마찬드란, 리촐라티, 신경과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