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해방 후 조련과 재일조선인의 귀환정책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해방후 해외한인의 귀환문제 연구 | 2002 년 인문사회분야지원한국근현대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석흥(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등재후보 (ISSN : 1228702815)
발행정보 2003년 08월 01일 / Vol.20 No.0 / pp. 27 ~ 54
발행처/학회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주저자 김인덕
저자수 1
초록
  • 국문
  • 지금까지 조련의 귀환정책을 살펴보았다. 재일조선인은 분명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배의 산물이다. 따라서 식민지하 조선인의 도일과 그 후의 삶에 대해 우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방 후 귀국하는 재일조선인은 바로 일제의 정책적 필요에 따른 산물이기 때문이다.
    일제는 일본 경제와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 따라 도일정책을 수립하여 조선인의 도일을 통제했다. 1922년 12월에는 여행증명제도가 철폐되고, 1923년에는 ‘도항증명제’가 실시되었으며, 1923년경부터 단체 모집이 허가되지 않다가 관동대지진 때의 파괴된 시가지를 복구하기 위해 ‘도항증명제’를 폐지했다. 1925년 10월부터는 도항저지가 정책적으로 실시되었고, 1928년 7월 조선총독부는 도일허가 조건을 까다롭게 했다. 그리고 1929년 재도일 증명서제로 보다 강화되었다. 이러한 도일정책은 1930년대 일시귀선증명서제도와 도항소개장 발급제?돈? 귀결되어, 도일을 원하는 조선인은 본적지나 주소지 소재 관할 경찰서장한테 도항소개장을 발급 받아야만 했다. 그리고 조선인은 전시동원체제가 되면서 강제연행되었다. 조선인은 강제연행되어 일본, 만주, 사할린, 남양군도, 남방지역으로 끌려갔던 것이다.
    이렇게 일본에 간 조선인은 1910년을 기점으로 늘어났고, 1920년에는 재류자의 숫자가 3만 명이 넘었다. 이들 도일한 조선인은 일본 전역에 거주했으며 거주 상황은 일본의 산업구조 및 노동조건과 관련을 갖고 있었다. 재일조선인의 대다수는 京都, 大阪, 神戶지역에 거주했다. 이들 지역에는 1920년 전후 조선인 마을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조선인이 모여 살았다. 조선인 마을은 조선인을 위한 해방구였다. 경기 변동에 직면하여 항상 먼저 희생이 되는 사람, 그들이 바로 도일한 조선인의 모습이었다. 최하층 노동자가 바로 재일조선인이었다.
    그런가 하면 1945년, 해방을 일본에서 맞은 조선인은 자연스럽게 귀환을 생각했다. 해방된 공간의 재일조선인에 의한 최고의 단체인 조련은 초기부터 귀환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강령에서 귀국동포의 편의와 질서를 도모했다. 그리고 제10회 확대중앙상임위원회에서는 징용노동자에 대한 귀국여비와 위문금품 지급을 결의하고, 중앙 질서 있는 행동을 호소하며, 구체적인 움직임으로 下關과 博多에 출장소 설치를 결정했다. 귀환자 수송계획을 세우고 사업을 진행할 때는 品川驛에 관동지방 수송연락사무소를 설치했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1945년 3월말 일본 전국의 탄광노동자 약 416,000명중에서 조선인 노동자는 33%에 달하는 약 135,000명이었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노동자의 귀환은 일본 석탄업계에는 큰 타격이었을 것이다. 1945년 10월 28일 현재 재일조선인 귀환자 총수는 176,015명, 조선에서 철수한 일본인은 군인 110,005명, 일반인 90,205명이었다. 미군정 참모 제2부 조사에 따르면, 1945년 8월 15일부터 1945년 12월 31일까지의 일본에서의 귀환자수는 510,459명이었다.
    전술했듯이 1945년 8월 15일 일본 국내에는 200만 이상의 재일조선인이 있었다. 1945년 8월부터 12월까지는 매월 수십만의 동포들이 해외에서 귀환하였다. 이들은 오랜 시간 조국을 떠나 있었기 때문에 생활 근거지가 없었으며, 주로 구호 물자를 배급받기 위해 도시 지역에 정착하였다. 해외 동포의 귀환이 거의 완료되는 1947년 9월 일본에서 온 귀환자 수는 1,862,678명, 중국 방면 및 기타 지역에 있던 귀환자 수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