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京師大學堂 學科制度의 設立 過程과 ‘文學’의 位相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아시아 근대지식의 형성에서 문학과 매체의 역할과 성격 | 2004 년 중점연구소지원(구학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기형(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중국문학 - 등재 (ISSN : 1226-2943)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8년 08월 01일 / Vol.56 No.0 / pp. 319 ~ 346
발행처/학회 한국중국어문학회
주저자 류준필
저자수 1
초록
  • 국문
  • 1898년의 『籌議京師大學堂章程』(梁啓超)은 “中西幷重”을 표방하면서 문학과를 포함하는 10개의 學科로 지식 체계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문학의 함의는 中西의 접점 혹은 절충지대에 놓이는 것이었다. 文學은 詞章과 外國語(文) 사이에서 동요하는 개념이었다. 1902년의 『欽定京師大學堂章程』은 일본의 학제를 본떠서, ‘政治科, 文學科, 格致科, 農業科, 工藝科, 商務科, 醫術科’ 등 7개의 분과로 학문 영역을 구분하였다. 문학과에는 ‘經學ㆍ史學ㆍ理學ㆍ諸子學ㆍ掌故學’이 포함되었으므로, 여기서 文學은 中(國)學과 유사한 개념이었다. 1904년의 『奏定大學堂章程』에서는 文學科가 經學科와 文學科로 다시 나누어졌고, 文學科는 ‘中國史學, 萬國史學, 中外地理學, 中國文學, 英國文學, 法國문학, 俄國문학, 德國문학, 日本문학.’ 등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처음 ‘中國文學’이 독자적 지식으로 등장하였고, 그 내용은 전통 詞章(學)과 동일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林傳甲의 『中國文學史』가 서술되었다. 이렇듯 ‘중국문학’이라는 지식이 대학 제도 속에 그 기반을 마련하면서부터 문학의 의미는 詞章學과 등치될 만큼 비교적 명확해졌다. 중국문학사의 기본 구도까지 내포하고 있었던 터라, 이후로는 ‘中國文學’의 내포적 함의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초점이 되었다. 계통과 지향을 달리하는 전통 文論의 인식 방법을 두고 논쟁이 촉발되기 시작한 것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였다. 이후 신문화운동을 거쳐 胡適 등 북경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근대적 문학연구를 제도적으로 정착하였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