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부도기업 정상화 과정에 대한 조직론적 접근 - 연결망과 제도주의론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경제위기 이후 부도 기업의 소멸 및 회생 과정에 대한 경제사회학적 연구: 한국과 미국 기업 비교연구 | 2004 년 선도연구자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찬웅(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한국사회학 - 등재 (ISSN : 1225-0120)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6년 04월 01일 / Vol.40 No.2 / pp. 149 ~ 188
발행처/학회 한국사회학회
주저자 박찬웅
저자수 1
초록
  • 국문
  • 경제위기이후 급증한 기업부도는 기업에 대한 조직사회학 연구에 중요한 사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기업부도가 조직 실패 분석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부도기업의 처리 과정과 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 조직 이론 중에서 조직간 관계에 대한 연결망 이론과 제도적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제도주의적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조직 이론의 적용을 확대하고자 한다.
    국내외 부도 기업 연구들은 주로 부도 예측에 초점을 두었고, 부도 처리 과정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예외적으로 부도 처리 과정을 분석한 연구들은 개별 기업의 재정 변수만을 분석했다. 이는 부도 처리 과정에 대한 조직관계나 제도적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 연구는 부도기업의 조직관계의 특성과 제도적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 기업의 개별적 변수 뿐 아니라, 2) 해당 기업의 기업집단 소속 여부, 주거래은행의 거래 부도기업수와 같은 관계적 변수, 3) 부도시점과 ?옜姸╂㎟#? 시점과의 관계와 부도 시점 전국 부도업체수와 같은 환경적 변수가 부도 기업 정상화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부도 기업의 정상화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자본, 자산과 같은 개별 조직 속성 이외에 시장과 제도적 환경 변수라는 것을 보여준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