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범어 漢譯에서 다라니 음역의 특수성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역& #40;漢譯& #41; 불전의 음역어 조사 연구 | 2005 년 인문사회분야지원토대연구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승석(동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인도철학 - 등재 (ISSN : 1226-3220)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7년 02월 01일 / Vol.22 No.0 / pp. 197 ~ 227
발행처/학회 인도철학회
주저자 변순미
저자수 1
초록
  • 국문
  • 한역 불전의 역경 과정에서 음역은 불가피하게 나타나는데, 어느 것을 기준으로 음역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 현장은 ‘五種不?’의 정칙을 세웠다. 그리고 道安도 ‘五失本?三不易’의 이론을 정립했다. 이러한 정칙은 현장 이후 불교 경전의 번역 과정에서 그대로 고수되지는 않았지만, 다라니 부분은 그대로 지켜졌다.
    이는 다라니 음역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인의 언어 습관상 나타나는 ‘全譯-縮譯-復合譯’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의문자인 한자로 표음문자인 범어를 음역하면서 가차 방법인 半切과 범어의 특성이 잘 나타난 자음결합(和會聲), 그리고 장단음과 관련된 四聲은 일반 음역어에서보다도 다라니에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반 음역어와 다라니 음역의 차이점을 통하여 표음문자의 특성이 잘 살아 있는 다라니의 의미 해석 가능성을 구현해 본다.
  • 영문
  • Translation is putting a text expressed in a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Because the two languages are different in lexical meaning, grammatical structure, metrics, etc.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ranslate an original text perfectly. In translating a language to another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is copying the pronunciation of the original language in case the original meaning cannot be translated to the target language.
    Thus, we can guess how difficult it would b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recorded in Sanskrit, which belongs to the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s, into Chinese language, which belongs to the Sino-Tibetan family of languages, considering that the linguistic systems of two languages are to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Furthermore,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which contain profound religious doctrines, a major concern must have been not just transferring Sanskrit to Chinese but conveying the deep meanings of Buddhist teachings, laws and theories faithfully to the original texts.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to the Chinese language, transliteration was inevitable and, concerning the criteria for transliteration, Hyeonjang established the rules of five kinds of non-translation. Doan also established the of five kinds of non-lose the original text and three kinds of non-exchange. The rules had been applied to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 since Hyunjang. This means that the dh?ra??I Transliteration did not go through the processes of whole translation(reduced translation) composite translation. What is more, in transliterating Sanskrit that is a phonogram into Chinese that is an ideogram, Banjeol(反切), a method of borrowing foreign words, consonant combinatio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Sanskrit well, and the four tones related to long and short sounds are remarkable in dh?ra??I compared to other transliterations. 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transliterations and the dh?ra?? transliterati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dh?ra?? that preser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gram.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