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러시아어에서 텍스트-문화적 관용구의 구성과 재구성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통의 구성적 역동성과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의 다차원성 | 2005 년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기웅(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등재 (ISSN : 1229-1188)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6년 06월 01일 / Vol.22 No.0 / pp. 175 ~ 207
발행처/학회 한국러시아문학회
주저자 백경희
저자수 1
초록
  • 국문
  • 백경희 논문 한글 초록

    본 논문은 텍스트-문화적 관용구가 지니는 의사소통적 역할과 의미의 문제를 언어 주체의 사회-문화적 입지와 관련하여 인지적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관용적 표현은 소통의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공간을 통해 수직적으로 의미-통사적 고정성을 토대로 재생되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수평적으로는 소통의 다차원적 공간 속에서 종종 새롭게 재구성 되는데, 때로는 초기의 구성성분의 의미적 비유적 독창성을 부활시키기도 하고, 고정된 통사적 틀을 일정 부분 가감을 허락하는, 즉 변화와 고정의 상반된 특성이 공존하는 언어 요소이다. 고유한 문?엔오? 특성을 담은 관용구는 통사적으로 고정성과 재생산성을 기반으로 하여 화자와 청자의 의식 속에 미리 준비된 비유적 의미 구조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언어적 표현의 함축성과 효율성, 경제성의 원칙에도 부합하므로 의사소통의 효율적 도구로서 부족함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문화적 관용구들 구성적 측면의 전통적 논의에서 벗어나 담화자들이 공유하는 지식과 심리적 일관성, 개념화 과정에서 작용하는 인지적 기제(환유, 은유, 관습적 지식, 영상작용과 개념의 추상화를 통한 동기 부여), 비유체계의 기저에 깔려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소통 과정의 인지적 측면에서도 관습적 고정적 표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난다면 그것은 이전보다 선별적으로 인식되며 주의를 끌 수 있다. 따라서 화자가 관용구의 구성적 측면의 고정성을 탈피하여 관용구에 통사적 변화를 주거나, 통사적 변화를 주지 않더라도 맥락에 의존하여 청자의 기대에 어긋나는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였을 때 청자는 즉각 반응하는데 이것은 청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계획된 의도적 실수이며 소통을 위한 효과적 전략이다. 흥미로운 것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텍스트-문화적 관용구가 이러한 의도적 재?르옌웰? 거치더라도 본원적 텍스트는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담화자들의 의식 속에 남아서 새로운 텍스트의 의미 추론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기존의 다양한 텍스트들과 상호 교류하는 <텍스트-사이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담화자들은 텍스트-문화적 관용구의 재구성을 통해 언어-문화적인 공간을 적극적인 소통의 장으로 활용한다. 이것은 시간과 공간을 축으로 하는 수많은 언어-문화 공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체와 객체의 소통을 쌍방향적이고 상호교류적인 것으로 만들며, 더 나아가 언어 주체들, 특히 소극적인 객체를 적극적으로 소통에 참여하도록 자극하여 또 ‘하나의 주체’로서 교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율적인 소통의 전략이 되는 것이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