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통과의례와 젠더: 몇 가지 이론적 고찰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과의례에서 젠더 문제에 관한 연구 | 2006 년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윤성(한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종교문화비평 (ISSN : 1739-0540)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9년 09월 01일 / Vol.0 No.16 / pp. 202 ~ 240
발행처/학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주저자 김윤성
저자수 1
초록
  • 국문
  • 통과의례는 개인이 삶의 단계들을 거치며 특정한 정체성들을 획득하고 사회에 통합되게 하며, 사회는 통과의례를 통해 그 구성원들을 재생산한다. 본 논문은 통과의례가 지닌 젠더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통과의례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고전적인 통과의례 이론들을 검토한다. 반 게넵은 분리, 전이, 통합이라는 통과의례 3단계 구조를 밝히고, 전이단계의 임계적 상태를 강조함으로써 통과의례에 관한 기능주의 이론을 확립했다. 터너는 전이단계의 임계성에 대한 통찰을 심화하는 한편, 이를 넓은 사회문화적 차원의 논의로 확대시켰다. 특히 그가 전이단계의 또 다른 특질로 제시한 코뮤니타스 개념은 의례연구와 문화연구의 유용한 분석틀이 되어왔다. 엘리아데는 상징주의 입장에서 의례를 성스러움의 현현과 관련지어 시원적 사건이 재연되는 성스러운 드라마로 이해하였으며, 통과의례란 입문자가 비일상적 시간과 공간 속에서 우주적 성스러움에 합치되는 계기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고전적 통과의례 이론들에 대한 비판을 검토한다. 바이넘은 반 게넵과 터너의 임계성 개념이 여성의 삶을 포괄하지 못하며, 또한 터너의 코뮤니타스 개념은 명백하게 남성 엘리트 중심적인 한계를 지닌다고 비판했다. 링컨은 의례를 성스러운 우주와 관련짓는 엘리아데의 낭만적 시각이 권력과 이데올로기라는 의례의 또 다른 측면을 간과했다고 비판하면서, 통과의례란 여성에게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덧씌우고 그 틀에 들어맞는 여성을 주조해냄으로써 기존 지배 질서를 유지 재생산하는 기제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전례나 통과의례를 대신해, 여성의 삶과 경험에 근거한 새로운 통과의례를 창출하려 해온 실험들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의례 일반 및 통과의례에 관련된 젠더 문제에 대한 논의의 중요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thesis probes the possibility of gender-balanced theories of the rite of passage. The rite of passage makes individuals acquire specific identities and be 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And the society maintains itself by reproducing its members through the rite of passage. Scholars of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such as Arnold van Gennep, Victor Turner, and Mircea Eliade have variously theorized the rite of passage. However, can their theories endure the test of gender problematics? To answer the question, I examine three topics. First, the three-staged structures of the rite of passage presented by van Gennep and Eliade. I also contrast them with Bruce Lincoln’s unique three-staged structure of the rite of passage. Here, I elucidate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ose structures. Second, Turner’s concept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Following the criticism on Turner by Caroline Walker Bynum, I point out the androcentrism in Turner’s concepts. Third, I compare Eliade’s cosm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acred in the rite of passage with Lincoln’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socio-political aspects of the rite of passage. Here, I show how Lincoln overcomes his previous gender-neutral fallacy by parting from his mentor Eliade’s romanticism. As conclusions, I reaffirm why the theories of the rite of passage should be re-examined in the light of gender problematics and suggest the need to compare and analyze diverse rites of passage to rectify the classical theories.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