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플립조이즈와 비오는 클리브랜드에 나타난 탈장소의 미학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Flipzoids와 Cleveland Raining에 나타난 탈장소의 미학 | 2006 년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기현주(인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현대영미드라마 - 등재 (ISSN : 1226-3397)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9년 08월 01일 / Vol.22 No.2 / pp. 5 ~ 38
발행처/학회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주저자 기현주
저자수 1
초록
  • 국문
  • 필리핀계 미국인 랄프 페나(Ralph Pena)의 ?플립조이즈?(Flipzoids)와 한국계 미국인 성 노(Sung Rno)의 ?비오는 클리브랜드?(Cleveland Raining)는 사실주의적 전통에서 벗어나 등장인물들의 무의식적인 내면이나 심층적인 의식을 전경화함으로써 사실주의 극이 내포하고 있는 절대적인 질서를 모호하게 한다. 특히 두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의 심리에 대한 비사실적 접근은 이들이 처해있는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대신 이들의 강렬한 정서 상태를 강조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인 차원의 공포감이나 악몽을 부각시키는 ?플립조이즈?와 ?비오는 클리브랜드?는 전통적인 사실주의 극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현존하는 사회를 단지 있는 그대로 재현하지 않는다. 이보다는 정치, 사회적 맥락을 일면 반영하기는 하지만, 이들 극에서는 그 이상의 창조적 세계를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두 극에서 그려지는 아시아 디아스포라의 악몽 같은 심리세계가 완전히 탈정치화된 미적 가치만을 내포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등장인물들의 무의식적이고 잠재의식적인 내면세계는 현재 그들이 놓여있는 탈장소 상황과 관련된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배경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이 두 작품에서 구현되는 탈장소의 미학은 정치적 의미가 제거된 철저한 미적체계를 가리키기보다는 강력한 정치성이나 이데올로기를 함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립조이즈?와 ?비오는 클리브랜드?에서 나타나는 미학과 정치와의 관련성은 이 극들을 관통하고 있는 독특한 극작 기법을 통해서 볼 수 있다. 두 극의 특징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고국을 떠난 행위로 형성된 고향과 분리되었다는 의식과 미국에서 새로운 고향도 만들 수 없다는 탈장소의 미학으로 요약된다. 이는 주류의 사회에서 이미 자신들에게 할당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제한된 삶의 틀을 허물고자 했던 랄프 페나와 성 노의 작가의식이 미학적으로 구현된 것이라 하겠다. 두 작가는 백인 지배사회에서 소수인종으로서의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존재 양식이 중심에서 벗어나 있고, 타자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포착하고 이를 시적으로 강렬하게 환기시키기 위해 비언어적인 극요소, 비사실적인 무대 기법과 서정적인 무대공간을 사용한다. 또한 두 극에서는 일정한 이야기가 사실주의적 방식으로 전달되기보다는 주인공들의 고국과의 분리,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야기된 여러 현실적이고도 감정적인 문제들과 이 모든 문제들이 배태된 시점인 고향을 떠난 일 등이 단편적이고 삽화적인 이야기를 통해 드러난다. 여기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표현양식인 언어는 등장인물들의 탈장소 의식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처럼 고향과 떨어져 있고, 미국의 주류사회로부터도 소외되고 고립된 아시아 디아스포라의 탈장소 상황이 미학적으로 구현된 예술세계를 통해 묘사된다. 이에 더하여 아시아 디아스포라가 고향을 고집스럽게 상기하거나 ‘지금 이곳’을 고향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행위 그리고 새로운 고향을 찾아 이동하는 행위는 이들을 사회의 변방에 위치시키려는 주류집단에 대한 강력한 저항을 내포한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f life of Asian diaspora who are displaced from home in Ralph Pena's Flipzoids and Sung Rno's Cleveland Raining. Specifically it aims to explore the aesthetics of displacement which are embodied in Asian diaspora's constant struggle to imagine and seek home expressed through unrealistic theatrical structure, dramatic devices, dramatic form, and languages. In Flipzoids, the sea replaced by a big water basin emphasizes the alienation of Filipino diaspora from the US mainstream and their disconnection from the Philippines. Although Aying can revive her home while she touches the sea, Redford who is 1.5 generation, cannot configure any kind of home. His sense of displacement becomes palpable when he aspires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a narrow public toilet. Like Redford, who does not have cultural basis for forming a sense of home, Jimmy and Mari in Cleveland Raining, who live in a remote house in Ohio, try to find home. However, for them, there is not any form of home. This sense of displacement is represented in the theatrical space in which there are not any specific props except a Volkswagen, a vehicle for moving.
    Asian diaspora's being displaced from home in the two plays is also highlighted through language issues. For diaspora who left their homeland and adopted a new home, bilingualism is necessary. However, they find that English cannot be a medium by which they express their internal selves. Neither do they know their native language, which might help them to configure home. As a result, their languages cannot exert power but become fragmentary.
    Both Filipino diaspora and Korean diaspora represent their being displaced from home through remembering or imagining of home or leaving the present home. Redford in Flipzoids constantly imagines a space which he can belong; on the other hand, Jimmy prepares to leave the present home during the play by converting a Volkswagen into a floating car in the water and starts to travel at the end. These vigorous actions signify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U.S. mainstream society which excludes racial minorities. They do not conceptualize the U.S. as their new home. Therefore their persistent pursuit of home and acceptance of displacement as their mode of life imply the political significance.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