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여성 노동자인가, 노동하는 바바인가?: 러시아 내전기(1918~1921년) 페트로그라드 지역 공장의 남성 우월주의와 여성 노동자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성 노동자인가, 노동하는 바바& #40;бaбa& #41;인가?: 러시아 내전기& #40;1918~1921년& #41; 페트로그라드 지역 공장의 남성 우월주의와 여성 노동자 | 2006 년 우수논문지원사업 | 류한수(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서양사론
발행정보 2005년 06월 01일 / No.85 / pp. 153 ~ 182
발행처/학회 한국서양사학회
주저자 류한수
저자수 1
초록
  • 영문
  •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forms of patriarchal authority persisted, in spite of Bolshevik slogans about women’s liberation, by looking at the specific position of women on the shop floor and their relations with factory committees, trade unions and other labour institutions in Petrograd in the early years of Soviet rule. During the Civil War the proportion of female workers in factory workforce grew more and more, and yet many women workers tended to be unruly on the shop floor. Such a phenomenon provoked the apprehensions about their slack labour discipline and the criticism for their “backwardness.” In practice, however, the recalcitrance of female workers had something to do with male-chauvinism prevailing in male workers and the formal institutions in factories. The persisting male-chauvinism stripped women workers of chances to be represented in the formal institutions such as general meeting of workers, factory committees, and organs of trade unions. As a result the female workers remained vulnerable to the abuses on the part of male counterparts or supervisory personnel.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women workers suffer the unfair treatment on the factory floor, they chose not to appeal to the formal channels in factories but to defy the authority of shop floor, supervisory personnel for themselves. Therefore, the unruliness of women workers on the shop floor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the manifestation of their “backwardness”, but as a sort of their self-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male-chauvinism prevailing amongst male workforce and the formal organs in industrial enterprises.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