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metaDataId=4b76f6dc124878410112487a47c6007a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의 번역주석 제9권(원서 25권-27권)
이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의 번역주석 )의 '연구성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공동연구원 김태완
송인성(부산대학교)
정천구(부산대학교)
제작기관 한국학술진흥재단
발행처 미상
언어 한국어,영어
색인어 선문염송, 염송설화, 염송,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 진각혜심, 혜심, 각운, 한국선불교, 화두, 간화선, 고려불교
  • 주기(비고)
  • 발행일,발행처미상 : 알수없음
  • 주초록(메인언어)
  • 번역·주석한 텍스트는 한국 선불교(禪佛敎)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로 꼽히는 <선문염송(禪門拈頌)>과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의 회본(會本)이다. 진각국사 혜심(慧諶)이 편찬한 <선문염송>은 옛 화두(話頭) 1463칙(則)과 이에 대한 여러 선사들의 염(拈)·송(頌)·상당거화(上堂擧話) 등 중요한 말들을 모아서 30권으로 집성한 것이다. <염송설화>는 혜심의 제자인 각운(覺雲)이 <선문염송>의 화두 1463칙과 염·송·상당거화 전체를 빠뜨림 없이 모두 주석한 완전한 주석서로서, <선문염송>과 마찬가지로 30권 5책이다. 역주에 사용한 텍스트의 판본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한국불교전서> 제5책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인데, 이 회본(會本)은 고려대장경 보유판 <선문염송집>과 1686년 간행한 묘향산(妙香山) 선정암(禪定庵) 판 <선문염송설화>(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를 합친 것이다. 번역은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 30권 전체를 빠짐 없이 번역하고, 번역문 아래에는 원문을 첨부하여 대조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가능한 상세한 주석을 붙여서 이해를 도왔고, 마지막에는 텍스트에 대한 해제(解題)와 등장하는 인물의 인명사전을 첨부하였다. 각권 앞에는 상세한 목차를 두어서 찾아보기의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인용문을 번역하는 경우 어디까지가 인용문인지를 그 인용된 원문을 찾아서 확인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기존 번역의 많은 오류를 바로 잡았다.
  • 부초록(다른언어)
  • The original text translated and annotated in this work is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in Korean Seon(Zen) Buddhism.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 is comprised of two parts, The Seonmun-Nyeomsong, An Explanatory Notes Of The Seonmun-Nyeomsong. The Seonmun-Nyeomsong compiled by Jingak-Hesim(眞覺慧諶), the Most Reverend Pries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高麗), is the book which has 1463 phrases of kongan(公案) or huadoo(話頭) and references, comments, songs, criticisms, reviews about those phrases. The Explanatory Notes Of The Seonmun-Nyeomsong written by Buddhist priest Gakwoon(覺雲), a disciple of Jingak-Hesim, is the whole interpretation of The Seonmun-Nyeomsong. In this work we have translated Chinese into Korean and annotated all of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 to get to about 5000-page manuscript.
  • 목차
  • 역주(譯註)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9권 목차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25권

    달마(達磨) 제12세 복주(福州) 설봉산(雪峯山) 의존(義存) 선사(禪師)의 제자
    소주(韶州) 운문산(雲門山) 문언(文偃) 선사(禪師) : 1069칙 - 1104칙.
    복주(福州) 장경(長慶) 혜릉(慧稜) 선사(禪師) : 1105칙 - 1117칙.
    항주(杭州) 용책사(龍冊寺) 도부순덕(道怤順德) 선사(禪師) : 1118칙 - 1127칙.
    명주(明州) 취암(翠嵓) 영참(令參) 선사(禪師) : 1128칙 - 1129칙.
    대원부(大原孚) 상좌(上座) : 1130칙 - 1134칙.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26권

    달마(達磨) 제12세 복주(福州) 설봉산(雪峯山) 의존(義存) 선사의 제자
    복주(福州) 고산(鼓山) 신안국사(神晏國師) : 1135칙 - 1137칙.
    복주(福州) 안국명진(安國明眞) 대사(大師) : 1138칙.
    아호(鵝湖) 화상(和尙) : 1139칙.

    달마 제12세 무주(撫州) 조산본적(曹山本寂) 선사의 제자
    형주(衡州) 육왕산(育王山) 홍통(弘通) 선사 : 1140칙.
    무주(撫州) 금봉(金峯) 종지(從志) 선사 : 1141칙 - 1147칙.
    무주(撫州) 조산(曹山) 혜하료오(慧霞了悟) 선사 : 1148칙.
    무주(撫州) 하옥산(荷玉山) 현오광혜(玄悟光慧) 선사 : 1149칙.
    촉천(蜀川) 서선(西禪) 선사 : 1150칙.
    양주(襄州) 녹문산(鹿門山) 화엄원(華嚴院) 처진(處眞) 선사 : 1151칙.

    달마 제12세 위부(魏府) 흥화존장(興化存獎) 선사의 제자
    여주(汝州) 보응혜옹(寶應慧顒) 선사 : 1152칙 - 1162칙.

    달마 제12세 진주(鎭州) 보수소(寶壽沼) 화상(和尙)의 제자
    진주(鎭州) 제이세보수(第二世寶壽) 화상 : 1163칙 - 1164칙.
    여주(汝州) 서원사명(西院思明) 선사 : 1165칙.

    달마 제12세 담주(潭州) 곡산장(谷山藏) 선사의 제자
    신라(新羅) 박암(泊嵓) 화상 : 1166칙 - 1168칙.
    신라(新羅) 대령(大嶺) 화상 : 1169칙.

    달마 제12세 홍주(洪州) 운거도응(雲居道膺) 선사의 제자
    신라(新羅) 운주(雲住) 화상 : 1170칙.
    홍주(洪州) 운거산(雲居山) 도간(道簡) 선사 : 1171칙 - 1172칙.
    홍주(洪州) 봉서산(鳳捿山) 동안비(同安丕) 선사 : 1173칙.
    노산(盧山) 귀종담권(歸宗澹權) 선사 : 1174칙.
    홍주(洪州) 봉서산(鳳捿山) 동안상찰(同安常察) 선사 : 1175칙 - 1179칙.
    동안지(同安志) 선사 : 1180칙.

    달마 제12세 균주(筠州) 구봉도건(九峯道虔) 선사의 제자
    길주(吉州) 화산(禾山) 징원무단(澄源無段) 선사 : 1181칙.
    홍주(洪州) 늑담명(泐潭明) 선사 : 1182칙.

    달마 제12세 무주(撫州) 소산(疎山) 광인(匡仁) 선사의 제자
    수주(隨州) 호국(護國) 수징정과(守澄淨果) 대사(大師) : 1183칙 - 1186칙.
    안주(安州) 대안산(大安山) 성(省) 선사 : 1187칙.

    달마 제12세 균주(筠州) 동산(洞山) 사건(師虔) 선사의 제자
    양주(襄州) 석문산(石門山) 헌온(獻蘊) 선사 : 1188칙 - 1189칙.
    양주(襄州) 만동산(萬銅山) 광덕의(廣德義) 선사 : 1190칙 - 1191칙.

    달마 제12세 원주(袁州) 앙산(仰山) 남탑광용(南塔光湧) 선사의 제자
    영주(郢州) 파초산(芭蕉山) 혜정(慧情) 선사 : 1192칙 - 1193칙.

    달마 제12세 원주(袁州) 앙산(仰山) 서탑광목(西塔光穆) 선사의 제자
    길주(吉州) 자복여보(資福如寶) 선사 : 1194칙 - 1196칙.

    달마 제12세 고안(高安) 백수(白水) 본인(本仁) 선사의 제자
    경조(京兆) 중운지휘(重雲智暉) 선사 : 1197칙.

    달마 제12세 대광산(大光山) 거회(居誨) 선사의 제자
    경조(京兆) 백운선장(白雲善藏) 선사 : 1198칙.

    달마 제12세 담주(潭州) 용아산(龍牙山) 거둔(居遁) 선사의 제자
    담주(潭州) 보자(報慈) 장서광화(藏嶼匡化) 대사(大師) : 1199칙.

    달마 제12세 악주(鄂州) 암두전활(嵓頭全大+歲) 선사의 제자
    복주(福州) 나산(羅山) 도한(道閑) 선사 : 1200칙 - 1202칙.

    달마 제12세 원주(袁州) 반룡산(盤龍山) 가문(可文) 선사의 제자
    원주(袁州) 목평산(木平山) 선도(善道) 선사 : 1203칙.

    달마 제12세 풍주(灃州) 낙포산(落浦山) 원안(元安) 선사의 제자
    경조(京兆) 영안원(永安院) 선정(善靜) 선사 : 1204칙 - 1205칙.
    청봉산(靑峰山) 전초(傳楚) 선사 : 1206칙.

    달마 제13세 복주(福州) 현사사비(玄沙師備) 선사의 제자
    장주(漳州) 나한원(羅漢院) 계침(桂琛) 선사 : 1207칙 - 1210칙.
    복주(福州) 와룡산(臥龍山) 안국원(安國院) 혜구(慧球) 선사 : 1211칙.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27권

    달마 제13세 봉상부(鳳翔府) 청봉전초(靑峰傳楚) 선사의 제자
    익주(益州) 정중사(淨衆寺) 귀신(歸信) 선사 : 1212칙.

    달마 제13세 양주(襄州) 석문산(石門山) 선사의 제자
    양주(襄州) 석문산(石門山) 혜철(慧徹) 선사 : 1213칙.

    달마 제13세 봉상부(鳳翔府) 자릉(紫陵) 광일정각(匡一定覺) 대사의 제자
    병주(幷州) 광복도은(廣福道隱) 선사 : 1214칙.

    달마 제13세 복주(福州) 장경혜릉(長慶慧稜) 선사의 제자
    천주(泉州) 초경원(招慶院) 도광(道匡) 선사 : 1215칙.
    복주(福州) 보자(報慈) 광운혜각(光雲慧覺) 선사 : 1216칙.
    천주(泉州) (太傅)(太傅) 왕연빈(王延彬) : 1217칙 - 1218칙.

    달마 제13세 소주(韶州) 운문산(雲門山) 문언(文偃) 선사의 제자
    악주(岳州) 파릉(巴陵) 신개호감(新開顥鑒) 선사 : 1219칙 - 1223칙.
    서천(西川) 향림원(香林阮) 징원(澄遠) 선사 : 1224칙 - 1227칙.
    정주(鼎州) 덕산(德山) 연밀원명(緣密圓明) 선사 : 1228칙.
    양주(襄州) 동산수초(洞山守初) 선사 : 1229칙 - 1233칙.
    금릉(金陵) 봉선심(奉先深) 선사 : 1234칙.
    금릉(金陵) 청량명(淸涼明) 선사[위와 합해서 한 화두를 이룸] : 1234칙.
    소주(韶州) 백운산(白雲山) 자상실성(子祥實性) 선사 : 1235칙.
    요주(饒州) 천복승고(薦福承古) 선사 : 1236칙 - 1237칙.
    기주(蘄州) 북선(北禪) 적오공(寂悟空) 선사 : 1238칙.
    영주(郢州) 조횡산(趙橫山) 유(柔) 선사 : 1239칙.
    수주(隨州) 지문(智門) 사관명교(師寬明敎) 선사 : 1240칙 - 1243칙.

    달마 제13세 천주(泉州) 수룡산(睡龍山) 도부(道溥) 선사의 제자
    장주(漳州) 보복청활(保福淸豁) 선사 : 1244칙 - 1245칙.

    달마 제13세 여주(汝州) 보응혜옹(寶應慧顒) 선사의 제자
    여주(汝州) 풍혈연소(風穴延昭) 선사 : 1246칙 - 1261칙.
    영교(潁橋) 안철호(安鐵胡) : 1262칙.

    달마 제13세 영주(郢州) 파초산(芭蕉山) 혜정(慧情) 선사의 제자
    파초산(芭蕉山) 계철(繼徹) 선사 : 1263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