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2943&local_id=10001837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200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홍재(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9
선정년도 200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2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에서도 급변하는 행정환경 하에서 지속적인 정부경쟁력 창출을 위해 지식관리가 중요한 관리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지식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식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조직내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들간의 연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식관리 및 지식관리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기반요인들의 규명․검증, 둘째, 지식관리 기반요인과 지식관리 프로세스간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각각의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제시, 셋째,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규명을 통한 인과모형(K4P Model)의 개발․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정부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식관리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고찰을 통한 문헌연구와 사례 비교분석, 그리고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서론에 이은 제2장은 지식관리와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 및 그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지식관리 및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기존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사례 비교분석의 장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는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사례들간의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지식관리실천에 있어서의 핵심성공요인(CSF)은 물론 정부부처내에서 정부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운영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과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실증적 분석의 장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기반요인과 지식관리 프로세스 및 정부성과간의 관계를 가설검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제5장은 이상에서 언급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 비교분석 및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부내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과 정부성과간의 연계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부분으로 이상의 논의를 종합․요약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기여와 한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식관리 프로세스에의 영향요인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각각의 지식관리 기반요소들은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차별적인 영향이란 변수간 상대적 영향의 정도뿐만 아니라 지식창출, 축적, 공유, 활용에의 영향요인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지식기반 요인들이 각각의 지식관리프로세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별로 각기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업무프로세스와 정보기술의 경우에는 지식의 창출과 축적, 공유 및 활용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이러한 차별성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비전과 전략 및 기관장의 리더십은 지식의 창출과 축적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평가 및 보상의 경우에는 지식의 축적, 공유, 활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은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에의 영향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인적요인의 경우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는 지식활용에, 지식컨텐츠는 지식축적 프로세스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일괄적으로 규정․제시한 것과는 차별되는 것이며, 지식관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지식관리 추진과정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정부성과 향상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거의 대부분의 지식관리 프로세스 활동들이 정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이 정부성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방법론적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식축적의 경우 다른 프로세스보다 정부성과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Governmental Performance

    The specific aim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s to find the core basic factors for effective operating of knowledge management. Second is to offer some measures to improve the all of process by examining the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Third is to set up the K4P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with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and to work out the operating strategies that can maximize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effectively, this paper conducted the theoretical study, the case study, and the positive method analysis.

    The analytic framework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two followed to the Introduction Chapter talks about the theoretical study and analysi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operation and performance. Chapter three is consisted of case study. Chapter four conducted a positive analysis throughout the survey to the civil servants in 15 central administrative offices. Chapter five introduces measures to operate successfully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and to make this system be connected with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using the results of a theoretical study, a case study, and a positive analysis. Chapter six, as a conclusion, summarizes all of discussions and describes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brief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ypothesis, each one of basic factors has an differential affection by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An differential affection means that it is very different not only the relative affection among variables but the influential factors in knowledge creating, accumulating, sharing and utilizing. That is, all of basic factor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n the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but each different factor influences in each process. These differences are clearly showed in all of 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the work process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hypothesis about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al performances throughout the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it is founded that the most of process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It means tha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y using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e very important devices for improving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Especially,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has the greatest affection in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relative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에서도 급변하는 행정환경 하에서 지속적인 정부경쟁력 창출을 위해 지식관리가 중요한 관리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지식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식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조직내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들간의 연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식관리 및 지식관리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기반요인들의 규명․검증, 둘째, 지식관리 기반요인과 지식관리 프로세스간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각각의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제시, 셋째,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규명을 통한 인과모형(K4P Model)의 개발․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정부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식관리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고찰을 통한 문헌연구와 사례 비교분석, 그리고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서론에 이은 제2장은 지식관리와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 및 그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지식관리 및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기존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사례 비교분석의 장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는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사례들간의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지식관리실천에 있어서의 핵심성공요인(CSF)은 물론 정부부처내에서 정부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운영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과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실증적 분석의 장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기반요인과 지식관리 프로세스 및 정부성과간의 관계를 가설검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제5장은 이상에서 언급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 비교분석 및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부내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과 정부성과간의 연계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부분으로 이상의 논의를 종합․요약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기여와 한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식관리 프로세스에의 영향요인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각각의 지식관리 기반요소들은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차별적인 영향이란 변수간 상대적 영향의 정도뿐만 아니라 지식창출, 축적, 공유, 활용에의 영향요인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지식기반 요인들이 각각의 지식관리프로세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별로 각기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업무프로세스와 정보기술의 경우에는 지식의 창출과 축적, 공유 및 활용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이러한 차별성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비전과 전략 및 기관장의 리더십은 지식의 창출과 축적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평가 및 보상의 경우에는 지식의 축적, 공유, 활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은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에의 영향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인적요인의 경우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는 지식활용에, 지식컨텐츠는 지식축적 프로세스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일괄적으로 규정․제시한 것과는 차별되는 것이며, 지식관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지식관리 추진과정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정부성과 향상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거의 대부분의 지식관리 프로세스 활동들이 정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이 정부성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방법론적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식축적의 경우 다른 프로세스보다 정부성과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식관리 프로세스에의 영향요인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각각의 지식관리 기반요소들은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차별적인 영향이란 변수간 상대적 영향의 정도뿐만 아니라 지식창출, 축적, 공유, 활용에의 영향요인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지식기반 요인들이 각각의 지식관리프로세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별로 각기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업무프로세스와 정보기술의 경우에는 지식의 창출과 축적, 공유 및 활용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이러한 차별성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비전과 전략 및 기관장의 리더십은 지식의 창출과 축적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평가 및 보상의 경우에는 지식의 축적, 공유, 활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은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에의 영향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인적요인의 경우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는 지식활용에, 지식컨텐츠는 지식축적 프로세스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일괄적으로 규정․제시한 것과는 차별되는 것이며, 지식관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지식관리 추진과정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일괄적으로 규정․제시한 것과는 차별되는 것이며, 지식관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관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지식관리, 지식행정, 정부성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