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Articles View
Articles Detailed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학술논문]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This is the information that experts who participate in DB construction project of KRM have added input .
Journal |
敎育學硏究
(ISSN : 1225-4150)
|
ᅟPublication History |
2001-03-01
/
Vol.39
No.1
/ pp. 95 ~ 123
|
Publisher/ᅟInstitute |
한국교육학회 |
Primary Author |
김아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인영
(한국교육개발원)
|
Index terms
|
교육심리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 난이도 선호
|
Connection link
|
Source:
RISS
|
-
Abstract(Main language)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상황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귀인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이론적 구성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요인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상황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귀인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이론적 구성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61개의 문항들을 제작하였다. 예비시행과 본시행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명명할 수 있는 3개의 요인이 산출되었으며, 28개의 문항(자신감 8문항, 자기조절효능감 10문항, 과제난이도 선호 10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별되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인간 상관분석 결과는 두 척도에서 상응되는 구인들간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인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보다 학업성취도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상황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보다 유용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A105845094)
-
Abstracts of Meta authors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자료는 연구의 핵심이 되는 통역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척도를 구성하는 데 근거로 사용되었다. 또한, 본 자료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모델은 연구의 기본 가설 기준과 연구의 1차년도 설문조사 분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자료는 연구의 핵심이 되는 통역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척도를 구성하는 데 근거로 사용되었다. 또한, 본 자료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모델은 연구의 기본 가설 기준과 연구의 1차년도 설문조사 분석 시 비교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
Part abstract(different languag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self-efficacy scale fo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four subcomponents of academic self-efficacy construct were identified, i.e.,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self-efficacy scale fo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four subcomponents of academic self-efficacy construct were identified, i.e.,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causal attribution for success and failure. Sixty-one preliminary items that represented the four subcomponents were constructed to construe four subscales and administered to 395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area. Analysis of the preliminary data indicated that causal attribution factor should not be considered valid to represent academic self-efficacy, which resulted in three subscales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main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m 291 students of two other high schools.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that represented corresponding subscale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indices of the three subscales were satisfactory.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and academic self-efficacy scores were computed. The results lend an evidence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can be used as a valid instrument fo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
TOC
-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검사실시
2. 측정도구
3. 분석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학업적 자기효능감 예비척도에 대한 분석 결과
2.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본 시행 ...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검사실시
2. 측정도구
3. 분석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학업적 자기효능감 예비척도에 대한 분석 결과
2.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본 시행 결과
3. 학업적 자기효능감,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간의 상호상관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학업적 자기효능감 최종척도 문항들의 문항-총점간 상관, 문항제거시 내적 합치도 및 척도의 내적 합치도 계수 α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A105845094)
-
Examination field of requesting this research issues( The ranking of possible field is up to 3rd place)
-
1Ranking :
인문학
>
통역번역학
>
통역번역
>
통역번역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articles
-
This document, it does not allow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it does not allow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