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9253&local_id=10095342
4차 산업혁명의 국제경제 및 글로벌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4차 산업혁명의 국제경제 및 글로벌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남수중(공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7S1A3A2066696
선정년도 2017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20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2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분석하였는바, 1년차 첫 번째 논문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논의가 자유주의 전략과 결탁한 기술담론에 불과하다는 비판적 시각을 정리하였으며, 두 번째 논문은 중국의 31개 성시 지역의 2003-2017년 연도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4차산업 대용변수인 ICT산업의 발전이 중국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이 발전한 지역이 더욱 빠르게 성장하였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세 번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을 ICT 생산부문과 ICT 이용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를 추정하였는바, ICT 생산부문 재화의 상대가격, ICT 이용부문에 투입되는 ICT 생산 재화의 비중, 경제 전체의 생산 간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되었다. 2년차 첫 번째 논문은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새로운 기술 혹은 생산과 소비에서의 패러다임을 함축하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워크 등의 이용 여부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한국 기업들이 특성에 따라 적응도를 추정하고 지리적 분포 및 산업들 간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주요 국가들의 해외투자 기업들이 본국으로 다시 돌아오는 리쇼어링 사례를 분석하는 동시에 거시분석 모형과 ICT 발전 변수를 결합하여 리쇼어링의 증가 원인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발전에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세 번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중관계를 분석하였는바, 중국의 기술굴기는 사실상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을 포함한 ‘중국제조2025’가 핵심이며, 미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한 것은 결국 4차 산업혁명의 영향임을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주장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1st paper of the first year outlined the critical view that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discussion was nothing more than a technical discourse in collusion with the liberal strategy, and the 2nd paper of the first year, based on the 2003-2017 yearly data of 31 provinces in China,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dustry, the surrogate vari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na's economic growth. It was confirmed empirically that it grew rapidly as well as more rapidly growing areas. In the third paper of the first yeat, ICT industr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ivided into ICT production and ICT use sectors and estimated the contribution of each industry to economic growth, the relative price of ICT production goods, the proportion of ICT production goods injected into ICT service sectors, and the long-term stabl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of the entire economy was differentiated from prior research. The first paper of the second year defined the use of new technologies represe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big data, Internet of Things, cloud computing, smart work, etc. that encapsulates paradigm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presented that Korean companies estimate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ndustries. The second paper of the second year analysed the case of remaking in major countries, while combining macro-analysis models with ICT development variables to establish empirically that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remaking is technological development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ird paper of the second year analyzed the U.S.-China relation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gued from an international political point of view that China's technological denouement was actually the core of the 'Chinese International Article 2025', which included industr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entered a new phase was ultimately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과제는 4차산업혁명의 영향을 분석하였는바, 1년차 첫번째 논문은 최근 4차산업혁명 논의가 자유주의 전략과 결탁한 기술담론에 불과하다는 비판적 시각을 정리하였으며, 두번째 논문은 중국의 31개 성시 지역의 2003-2017년 연도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4차산업 대용변수인 ICT산업의 발전이 중국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ICT산업이 발전한 지역이 더욱 빠르게 성장하였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세번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을 ICT 생산부문과 ICT 이용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를 추정하였는바, ICT 생산부문 재화의 상대가격, ICT 이용부문에 투입되는 ICT 생산 재화의 비중, 경제 전체의 생산 간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되었다. 2년차 첫번째 논문은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새로운 기술 혹은 생산과 소비에서의 패러다임을 함축하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워크 등의 이용 여부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한국 기업들이 특성에 따라 적응도를 추정하고 지리적 분포 및 산업들 간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두번째 논문은 주요 국가들의 리쇼어링 사례를 분석하는 동시에 거시분석 모형과 ICT 발전 변수를 결합하여 리쇼어링의 증가 원인이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발전에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세번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중관계를 분석하였는바,중국의 기술굴기는 사실상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을 포함한 ‘중국제조2025’가 핵심이며, 미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한 것은 결국 4차 산업혁명의 영향임을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주장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는 4차 산업혁명의 국제경제 및 글로벌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이기 때문에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가 높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가치 이외에도 정부 차원의 비젼 제시와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 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 관련 과학기술적 사안들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국제금융, 국제경제, 그리고 국제관계학 등 다양한 학문들간 융합에도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ICT)산업, 리쇼어링, 미중 관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