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제중심학습(PBL)이 예비교사와 교사의 지식 획득, 문제해결 전략의 선택,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B00404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길양숙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이 문제중심의 학습방법(PBL) 을 사용하여 교육이론을 배울 때 현장의 문제를 보다 잘 해결하고, 문제와 관련한 교육이론을 보다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 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교사교육이 교육문제를 해결하는데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근거 있는지를 확인하고, 아울러 문제중심학습이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좁힐 수 있다면 어떤 이유에서 그러한지를 교사들의 의사결정과정과 이 과정에 교사들이 동원하는 지식 및 신념을 조사함으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1. 교사들이 교육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때(문제의 이해, 전략의 선택, 실행, 평가의 국면에서)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2. 교사들이 문제해결과정에 동원하는 지식, 신념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
    3. 교사들이 문제해결에 동원하는 지식과 신념의 원천은 무엇인가?(교사교육? 학생시절의 경험?
    현직 경험?)
    4. 문제중심의 학습을 경험한 교사가 문제와 관련된 지식을 강의식 교육방법에서보다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가?
    5. 문제중심의 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문제해결 능력은 증진되는가?
  • 기대효과
  • 이 연구목표가 의도한 대로 달성되면 다음의 다섯 가지로 학문과 교육실제, 그리고 사회발전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교사들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연구는 교사가 수업 전, 중, 후에 하는 사고과정 연구에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이 문제해결과정에 사용하는 지식과 신념을 밝히는 것은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의 "실제적 지식"을 알아내는 것이다. 교사들의 사고과정과 마찬가지로 실제적 지식은 교사연구 영역에서 최근에야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 자료들은 교사교육의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한 단서들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 자료는 의학교육에서 유용했던 방법이 교사교육에도 적용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효과가 있다고 밝혀지면 교사교육을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예비교사와 교사를 상대로 두 번 연구함으로써 교사들이 경험을 통해 어떻게 성장하는지도 짐작하게 될 것이다.
    넷째, 실험을 위해 개발해낸 문제중심 학습 자료는 문제중심의 교사교육방법이 여러 대학으로 확산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교사교육과정을 문제중심으로 구성하는 것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문제가 이론의 단순한 적용이 아니라 갈등하는 지식과 신념을 절충해야 하는 복잡한 일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교육과 교사를 경시하는 사회일반의 교육에 대한 인식을 단순한 흑백논리에서 가치분석의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문제중심의 학습을 통해 교육이론을 현장의 교육문제 해결에 보다 잘 적용할 수 있는지, 강의식 수업보다 문제해결 능력과 지식의 이해 및 기억을 높일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예비교사와 교사집단을 대상으로 이질집단 통제구룹 전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의 효과는 문제해결전략, 문제해결능력, 참고이론의 이해와 기억 정도를 사전 사후에 검사하여 비교하는 방법으로 조사한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 2반 각 30명, 현직교사 2반 각 20명이다. 실험을 위하여 사전 사후검사로 문제 1개씩을 준비한다. 문제는 4-5명으로 구성된 소집단이 3시간짜리 수업을 3-4주 동안 해결하도록 한다. 실험용 문제는 3개 세트로 구성한다. PBL자료는 문제와 문제가 발생한 맥락, 교육목적, 토론용 질문, 이론자료, 실제 사례, 사태 파악에 도움을 줄 전문가, 결과물(문제해결 제안서, 정책대안 등)에 대한 주문, 평가용 질문으로 구성된다. 평가는 전문가에 의한 결과물 평가, 참여자의 자평, 연구자의 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수집한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방법은 달라진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문제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는 소집단의 문제해결과정을 녹화와 녹음하고, 의사소통과정에 나타나는 문제해결의 단계별 전략들을 범주화 한다. 각 범주에 해당하는 행동들은 빈도와 백분위로 정리한다.
    교사들이 문제해결과정에 사용하는 지식과 신념은 의사소통과정에 나타나는 정당화 논리에서 추론한다. 이것을 범주화 하고 빈도를 구한다.
  • 한글키워드
  • 문제중심학습,문제해결전략,실제적 지식,교사교육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지식의 습득,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1개의 실험반(41명)과 1개의 비교반(63명)에게 처음 반학기는 기초개념의 수업을, 중간 고사 이후에는 2주에 한 번씩 문제해결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하였다. 지식의 획득정도는 중간고사를 사전검사로,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하여 그 차이를 t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의 변화정도는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날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8문항에 대한 자기보고의 형식을 빌어서 측정하였고, 실험 사전 사후의 문항별 점수 차이, 전체 점수의 차이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 학기 정도의 훈련, 문제 3-5개 정도의 훈련으로는 지식,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두번째 분석은 문제해결과정에서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문제해결전략 혹은 이 연구에서 정의한 대로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는 앞서 실험에 참여한 실험과 비교집단 외에도 100명의 교직수강자를 더 참여시키고, 아울러 대학원에석 공부하며 교직경력이 2년에서30년에 이르는 5명의 교사를 전문가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교직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그 특징을 찾아내었다. 이 문제는 질적연구, 기술적 연구의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해결과정을 관찰하고, 이들이 내린 진단-처방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학부 상급생이 코더로 참여하였고,이들과 연구자의 코딩의 일치도는 각각80%가 1명, 70%가 3명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와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특히 예비교사가 심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사는 진단과 처방에서 인과의 논리적 연결, 아이디어의 다양성,구체성, 맥략의 고려정도, 실천 가능성, 효율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의 필요한 자료가 부족했고, 표준해결방법이 없어 성취감, 문제해결능력의 평가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것들이 다음 연구의 성공을 위해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지적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problem based learning on knowledge acqui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one experimental group(41) and one control group(61). Concept teaching using direct instruction was done for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and group problem solving session was arranged once in every two weeks for the second half of the sememster. After each problem solving session, classroom discussion was arranged. Acquision of knowledge was assessed with mid-term examination as pre-test and final examination as post tes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ssessed with a self reported survey consisted of 8 items. T-test was used to test effects. The results was that the effects of PBL on knowledge acquision and problem solivng process was none and in some case negative.
    Next,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diagnosis and prescription on educational problems were examined. For this analysis, 100 more preservice teachers and five experienced teachers were recruited as subjects in addition to the on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asked to report their diagnosis and prescription on each problem. Four student coders classified causes and prescriptions made b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ach coder was agreeded with the researcher 80% in one case and 70% in three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n defining problems, specially the students. Secondl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ere different in terms of cause-effect connection, richness of ideas, concreteness of diagnosis and prescription, consideration of contexts, realizability, effectiveness. Thirdly, lack of appropriate readinging list , professional knowledge, and standardized problem solving process was the problem for the students to feel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measur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ose were considered to be the tasks to be solved for futher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지식의 습득,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1개의 실험반(41명)과 1개의 비교반(63명)에게 처음 반학기는 기초개념의 수업을, 중간 고사 이후에는 2주에 한 번씩 문제해결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하였다. 지식의 획득정도는 중간고사를 사전검사로,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하여 그 차이를 t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의 변화정도는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날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8문항에 대한 자기보고의 형식을 빌어서 측정하였고, 실험 사전 사후의 문항별 점수 차이, 전체 점수의 차이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 학기 정도의 훈련, 문제 3-5개 정도의 훈련으로는 지식,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두번째 분석은 문제해결과정에서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문제해결전략 혹은 이 연구에서 정의한 대로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는 앞서 실험에 참여한 실험과 비교집단 외에도 100명의 교직수강자를 더 참여시키고, 아울러 대학원에석 공부하며 교직경력이 2년에서30년에 이르는 5명의 교사를 전문가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교직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그 특징을 찾아내었다. 이 문제는 질적연구, 기술적 연구의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해결과정을 관찰하고, 이들이 내린 진단-처방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학부 상급생이 코더로 참여하였고,이들과 연구자의 코딩의 일치도는 각각80%가 1명, 70%가 3명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와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특히 예비교사가 심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사는 진단과 처방에서 인과의 논리적 연결, 아이디어의 다양성,구체성, 맥략의 고려정도, 실천 가능성, 효율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의 필요한 자료가 부족했고, 표준해결방법이 없어 성취감, 문제해결능력의 평가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것들이 다음 연구의 성공을 위해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지적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교육에서의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줄이는 방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의 한가지 모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은 하나의 강좌에서 부분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며, 보다 집중적인 코스, 혹은 교직과목 전체에서 실시하는 방안을 고안해야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려면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 토의하는 과정에 튜터를 배치하여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문제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지도, 예컨대, 다양한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최적의 진단과 처방은 무엇인지, 더 학습할 부분은 무엇인지, 다양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하고, 최적의 판단을 어떤 기준에서 해야할 것인지 논의하게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연습이 효과를 얻으려면 교육문제에 대한 표준화된 해결책을 어떤 식으로든 구하고 시작해야할 것이다. 그래야 성취감과 학습효과를 극대화화 할 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것들은 앞으로 연구해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실천을 위해서도 노력할 사전조건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비록 실험에서는 기대한 효과는 얻지 못하였으나 이런 점을 발견한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문제해결 능력, 지식, 예비교사, 교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