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패션 디자인에서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개발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Killer application 사례 개발을 위 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41-G00061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12월 01일 ~ 200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재정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감성공학 + 컴퓨터 + 통신 + 첨단소재 + 디자인 + 패션』 이 혼합된 웨어러블 컴퓨터 패션, SF영화 속에서 또는 상상 속에서만 보아왔던 미래패션은 이미 현실로 우리에게 다가올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상당부분은 진행되고 실용화 되는 것도 있다. 흔히 웨어러블 컴퓨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와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컴퓨터가 하나의 의복으로 통합되지 않은 이상, 착용과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은 해결될 수 없는 문제다. 따라서 입는 컴퓨터와 패션을 통합시키려는 노력은 당연한 추세라 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터와 착용자와의 물리적인 거리를 좁혀야 하며, 단순히 몸에 부착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의상과 일치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그리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것은 시나리오 기반의 기계중심이 아닌 인간중심의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실용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맞춤형 형식의 웨어러블 컴퓨터와 디자인의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패션디자인에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을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Killer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PC산업의 붕괴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등장
    ○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은 의학, 섬유, 기계 등의 타 분야와 연계하여 응용 제품 개발 시 업무의 효율성 및 부가가치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보이지 않는 컴퓨터((The invisible computer)의 개념을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컴퓨팅기기가 눈에 띄지 않으면서도 서로 호환성을 갖고 운용되며 사람과 상호 작용한다. 가령 크기가 나노미터 정도로 아주 작은 컴퓨팅기기가 장착된 옷은 사람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와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고 인체에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옷을 입은 사람이 집안, 자동차, 사무실 등과 같은 환경에서 돌아다니면 그 옷 자체가 노드가 된다.
    ○ 일상생활에서의 편의성과 쾌적성 제공을 위해서는 연령, 성별·직업·패션·라이프스타일·기후·문화 등과 같은 개인별 특성과 주변 환경에 따라 인체와 가장 밀접한 생활환경을 가지는 의복·시계·안경·반지·신발 등과 같은 액세서리 형태를 가져야 한다.
    ◈ 시나리오 기반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개발
    - 기능성과 패션성 부가
    ○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한 패션 상품으로서 가방이나 의복을 개발하여 구매 잠재력이 있는 틴에이저를 통한 시장을 형성하면 획기적인 상품으로의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 패션에 있어서도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 안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고려한 하이테크를 담고 있는 제품이 각광받을 것이다.
    ○ 인간과 하드웨어와 의복의 완벽한 결합을 추구하기 위한 시나리오 사례 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컴퓨터 발전 방향을 모색 할 수 있다.
    ◈ 스마트 소재를 활용한 플렉시블 하드웨어 개발 사례 연구 방향 제시
    ○ 웨어러블 컴퓨터는 사용자의 의식이나 주목을 독점하지 않기 위해서 얇고 가벼우며 접거나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필요하다.
    ◈ 웨어러블 컴퓨터의 발전요인
    ○ 수요측면 :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와 PC보다 쉽고 저렴한 정보기기를 원하는 잠재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다.
    ○ 공급측면 : PC 보급 포화로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기대가 높으며 유무선 인터넷, ASP, M-Commerce 등의 활성화로 웨어러블 컴퓨터 발전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 기술측면 : 기술 융합화 추세에 따라 기존의 성능 및 가격 중심에서 기능 및 패션제품 형태 중심으로 웨어러블 컴퓨터가 발전하고 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인간의 오감 메커니즘을 이용한 정보입력과 표현이 가능한 차세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 국내의 웨어러블 컴퓨터 발전 방향
    ○ IT 강국으로써 차세대 IT 적용 분야를 발굴하기 위한 웨어러블 커뮤니티 구축이 필요하고, 신도시에 적합한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 및 웨어러블 컴퓨터 환경의 접목이 필요하다.
    ○ 섬유 및 패션 산업과 콤포넌트 산업(메모리, TFT, 휴대폰, 컴퓨터 산업)이 접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서비스 상품 및 새로운 미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입지를 구축하도록 웨어러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신 IT 분야를 구축하여야 한다.
    ◈ 디자인을 통한 삶의 질 향상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은 개인, 기업, 사회의 모든 주체가 업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삶의 질과 생활의 여유, 그리고 의미를 높이는 다양한 가치에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 주는 사회 구현을 실현할 수 있다.
    ○ 어떠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도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인간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으로 발전된다면, 21세기에 맞이하게 될 디지털 문화는 보다 따뜻하고 풍요로운 삶이 될 것이 틀림없다.
  • 연구요약
  • ◈ step 1.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웨어러블 컴퓨터와의 관계 연구 분석
    ○ 유비쿼터스 실현에 필요한 관련 기술 조사
    ○ 세계 각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례 조사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응용 연구 분야 조사 분류

    ◈ step 2. 웨어러블 컴퓨터의 요소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동향 조사 분석
    ○ 웨어러블 컴퓨터 출현 배경 및 필요성 연구
    ○ 웨어러블 컴퓨터 특징 및 다양한 관점 분석
    ○ 웨어러블 컴퓨터 요소기술 및 구성요소 연구
    ○ 웨어러블 컴퓨터의 개발 진행 현황 및 애플리케이션 분류

    ◈ step 3.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는 방법에 따른『Wearable』의 의미 연구
    ○ 사람의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이용 분류
    ○ 휴대 방법에 따라 다양한 사물에 대한 연구
    ○ 사물의 특성에 맞게 컴퓨터 구현

    ◈ step 4. 물리적인 거리축약에 따른 새로운 디자인 요소 연구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요소 추출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의 특징 및 배경과 내용 추출
    ○ 시나리오 중심의 디자인 사례 개발 연구

    ◈ step 5. 특화된 업무 수행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연구
    ○ 보이지 않는 컴퓨터의 개념을 적용한 시나리오 개발

    ◈ step 6.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접근 형태에 따른 개발 방법론 연구
    ○ 착용자와 사용자의 관점에서 추출 가능한 요소 연구
    ○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인터렉션 디자인과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 step 7. 패션 디자인에서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개발
    ○ 웨어러블 컴퓨터 프로세스와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접목

    ◈ step 8. 착용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의류로서의 요건 연구
    ○ 웨어러블 컴퓨터 소재의 필요조건 분석
    ○ 스마트 소재를 활용한 웨어러블 컴퓨터 적용 사례 개발
    ○ 인체동작과 캄퓨팅 기기 부착에 따른 착용성 연구 개발

    ◈ step 9. 웨어러블 컴퓨터의 사용성 평가
    ○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사용성 평가 도구 지침 개발
  • 한글키워드
  • 착용성,플렉시블 하드웨어,스마트 소재,배경,시나리오,인터페이스 디자인,인터렉션 디자인,디자인 요건,내용. 사례연구,디자인 프로세스,패션,웨어러블 컴퓨터,유비쿼터스 컴퓨팅,휴먼 컴퓨터 인터렉션,웨어러블 네트워크,네트워크 체계,사용성
  • 영문키워드
  • Ubiquitous Computing,Wearable Computer,Fashion,Context,Killer application,Interaction Design,Interface Design,WWAN,WLAN,WPAN,BAN,Wearable Network,Usability,Wearability,Flexible Hardware,Smart Fabric,HCI,scenario,Design requisites,Content,Design proces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웨어러블 컴퓨터란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항상 편하게 착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웨어러블 테크놀러지를 말한다. 현재 패션에서 웨어러블 컴퓨터가 내포하는 중요성은 단순히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 의복』이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감성공학+컴퓨터+IT+스마트소재+패션』이 융합된 새로운 학문의 시각으로 풀어나가야 함에 있다. 하지만 선행되고 있는 연구 프로세스는 제품디자인 중심 혹은 착용성과 장식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않은 편중된 연구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기능성과 장식성이 부여된 맞춤 형식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프로세스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접근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프로세스 개발을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웨어러블 컴퓨터 프로토타입을 공략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구축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둘째, H/W를 스펙화 하여 단순히 몸에 부착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의상과 일체화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위함이다. 셋째, 구축된 디자인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에 있어 실무적 지침을 제공한다. 넷째, 검증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하나의 노드 역할을 할 수 있는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를 활성화 하고, PC의 붕괴 현상에 대비하여 용도별로 특화된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경쟁 환경을 강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인 기획, 디자이닝, 생산의 3단계를 기본 축으로 하여 특성 상 타 분야 프로세스와 컨버전스화 하는 방법으로 구축하였다. 응용 가능성이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제품디자인, 인터렉션 디자인의 프로세스 방법론을 분석하여 이를 세분화 하고 패션 프로세스에 융합시킴으로써 패션의 눈으로 접근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프로토타입을 얻을 수 있다. 특히 B안은 웨어러블 컴퓨터라는 패션 디자이너의 하드 드라이빙에서 오는 디자인 영감 구현의 어려움, 발상의 흔들림, 패션적 흥미의 소멸 등의 문제점이 노정되어 이를 수정 보완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스 B안이 만들어졌다.
    킬러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프로세스의 단계 별 접근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축약 할 수 있다. 첫째, 사람의 행동과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는 방법에 따른 『Wearable』의 의미를 I/O Device로 구분함으로써 패션 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컴퓨터와 의복과의 물리적인 거리축약에 따른 새로운 패션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의 특징 및 배경과 내용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특화된 업무 수행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을 바탕으로 기능과 디자인적 효율성을 고려한 접근 방법 8가지를 정의 내렸다. 넷째, 디자인 과정을 확대하여 기술적 관점을 감성으로 풀어나가는 이미크 뷰(Emic View)의 접근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복합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다섯째, 브레드 보드(Bread Board) 작업을 통하여 인체동작과 컴퓨터 기기의 부착에 따른 사용성과 착용성 분석을 시행, 이를 위한 도구 지침 개발을 표준화 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접근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테크놀러지를 수용하는『New Sensualist』소비자들을 위해 웨어러블 테크놀러지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시각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영문
  • The wearable computer is a kind of the wearable technology which is always worn comfortably while the user is moving,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s purpose of using and circumstances. The present importance of the wearable computer in fashion does not simply lie in its status as "smart clothing with new functions,"but in the fact that we should deal with it in ubiquitous environments from a new academic perspective fused with "emotional engineering + computers + IT + smart materials + fash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product design or leaned upon those methodologies that do not give rise to sufficient recognition of wearability and deco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sign process of custom-made wearable computers assigned functionality and decoration appropriate to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In this respect, we try to carry out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ller applications by developing a design process of wearable computers approaching in the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im to construct and present in the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a process that can capture a prototype wearable computer. Second, we try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integrate H/W with the costume to escape from the concept of simple attachment to the body by specifying H/W. Third, based on the constructed design process, we examine the adequacy of the process by applying various killer applications, and present practical instructions in the wearable computer design. Fourth, we aim to activate UFCs (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s) that can seve as a node in ubiquitous environments,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for the market of wearable computers specialized by utility in preparation for the breakdown of PCs.
    For its properties, this study constructs the design process of wearable computers in the way to make convergence with processes in other fields taking as its bases planning, designing, and production, which belong to fashion design processes. Analyzing applicable process methodologies of digital contents, product design, interaction design, we ramify and incorporate them with fashion processes to attain a prototype with new concepts accessible in the eyes of fashion.
    The contents of the stepwise access to the process with killer ap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ve points. First, we examine the necessity of a fashion design approach by distinguishing by I/O devices the meanings of "wearable"in accordance with the human behavior and the ways of carrying a computer. Second, we extract new elements of fashion design from the redu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computers and clothing, and based on this,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backgrounds, and contents of the wearable computer design. Third, based on the user-oriented methodology of scenario development for specialized performance, we define 8 ways of approach in terms of functions and design efficiency. Fourth, we try to combine different areas through an Emic View approach that works out technological viewpoints with emotion by extending design processes. Fifth, through "Bread Board" work we analyze usability and wearability in accordance with human body movements and computer attachment, and try to standardize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guidelines for this.
    As such, the study of the design process of wearable computers approaching in the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in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wearable technologies for "New Sensualist"customers who accept new lifestyles and technolog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웨어러블 컴퓨터란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항상 편하게 착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웨어러블 테크놀러지를 말한다. 현재 패션에서 웨어러블 컴퓨터가 내포하는 중요성은 단순히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 의복』이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감성공학+컴퓨터+IT+스마트소재+패션』이 융합된 새로운 학문의 시각으로 풀어나가야 함에 있다. 하지만 선행되고 있는 연구 프로세스는 제품디자인 중심 혹은 착용성과 장식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않은 편중된 연구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기능성과 장식성이 부여된 맞춤 형식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프로세스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접근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프로세스 개발을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웨어러블 컴퓨터 프로토타입을 공략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구축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둘째, H/W를 스펙화 하여 단순히 몸에 부착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의상과 일체화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위함이다. 셋째, 구축된 디자인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에 있어 실무적 지침을 제공한다. 넷째, 검증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하나의 노드 역할을 할 수 있는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를 활성화 하고, PC의 붕괴 현상에 대비하여 용도별로 특화된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경쟁 환경을 강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인 기획, 디자이닝, 생산의 3단계를 기본 축으로 하여 특성 상 타 분야 프로세스와 컨버전스화 하는 방법으로 구축하였다. 응용 가능성이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제품디자인, 인터렉션 디자인의 프로세스 방법론을 분석하여 이를 세분화 하고 패션 프로세스에 융합시킴으로써 패션의 눈으로 접근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프로토타입을 얻을 수 있다.
    특히 B안은 웨어러블 컴퓨터라는 패션 디자이너의 하드 드라이빙에서 오는 디자인 영감 구현의 어려움, 발상의 흔들림, 패션적 흥미의 소멸 등의 문제점이 노정되어 이를 수정 보완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스 B안이 만들어졌다.

    킬러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프로세스의 단계 별 접근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축약 할 수 있다. 첫째, 사람의 행동과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는 방법에 따른 『Wearable』의 의미를 I/O Device로 구분함으로써 패션 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컴퓨터와 의복과의 물리적인 거리축약에 따른 새로운 패션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의 특징 및 배경과 내용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특화된 업무 수행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을 바탕으로 기능과 디자인적 효율성을 고려한 접근 방법 8가지를 정의 내렸다. 넷째, 디자인 과정을 확대하여 기술적 관점을 감성으로 풀어나가는 이미크 뷰(Emic View)의 접근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복합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다섯째, 브레드 보드(Bread Board) 작업을 통하여 인체동작과 컴퓨터 기기의 부착에 따른 사용성과 착용성 분석을 시행, 이를 위한 도구 지침 개발을 표준화 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접근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테크놀러지를 수용하는『New Sensualist』소비자들을 위해 웨어러블 테크놀러지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시각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미래는 책상 위를 차지하는 하나의 커다란 기기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원하는 일을 각각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컴퓨터가 출현하게 될 것이다. 이에 웨어러블컴퓨터는 첨단기술과 패션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우리 생활에 임베디드(Embedded) 되어진 현실적인 제품으로서 향후 탁월한 시장성과 전망이 있다.
    - 디자인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있어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은 개인, 기업, 사회의 모든 주체가 업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삶의 질과 생활의 여유, 그리고 의미를 높이는 다양한 가치에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 주는 사회 구현을 실현할 수 있다.
    - 디지털 문화의 시대에 인간이 지니고 있는 기능적, 경제적, 미적, 상징적, 만족감은 과거 아날로그 시대에 느꼈던 디자인에 대한 만족감과는 다른 특성을 갖게 될 것이다.
     -컴퓨터를 포함하여 디지털 기술로 제어되는 수많은 제품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예술, 문화 산업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기술은 아주 자연스럽게 우리의 삶 속에 융합되기 시작하였다.
     -어떠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도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인간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으로 발전된다면, 21세기에 맞이하게 될 디지털 문화는 보다 따뜻하고 풍요로운 삶이 될 것이다.

     -보이지 않는 컴퓨터((invisible computer)의 개념을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침이 될것 이다.
     -웨어러블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형식은 기존의 정보기기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체와 의복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형식의 다양한 형태 연구여야 하므로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다.
     -H/W를 스펙화하여 단순히 몸에 부착한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의상과 일체화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이므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의 발전 방향과 일치한다.
     -특화된 기능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을 바탕으로 기능과 디자인적 효율성을 고려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여 접근 용이성에 도움을 준다.
     -A안은 기술중심의 디자인, B안은 패션어블 중심의 디자인을 풀어 나갈 때 지침이 되는 프로세스 모형을 도출하여 각 분야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쉽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맞춤형식의 프로세스 접근 방법이다.

     -사용성 및 착용성 플랫폼 개발을 통해 인체동작과 컴퓨터 기기의 부착에 따른 문제점을 보안함으로써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토타입 연구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
     -구축된 사용성 및 착용성 플랫폼 개발을 바탕으로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 발굴 및 실무적 지침을 제공한다.
     -사용성 및 착용성 표준화와 패션디자인 조형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최적화 디자인 플랫폼 개발을 이룰 수 있다.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위한 표준화된 사용성 및 착용성 플랫폼 연구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인간 중심적인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능성 모색을 추구할 수 있다.
     -사용성 및 착용성 플랫폼 핵심연구를 통해 국제 경쟁의 우위 선점이 가능하므로 선진국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고히 하기 이전에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하여 차세대 국가수출전략 산업화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 -PC의 붕괴 현상에 대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할 수 있는 특화된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경쟁 환경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인간요소를 반영하는 중요한 방향 즉 『패션시장의 동향』과 『양 시장에 관한 소비자의 새로운 수요』 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터의 의류로서의 요건』연구 가속화 계기가 될것 이다.
     -통합된 디자인(Integrated Design (Art, Design, & Technology))연구로서, 컨버젼스 학문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으로 인해 개인, 기업, 사회의 모든 주체가 업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삶의 질과 생활의 여유, 그리고 의미를 높이는 다양한 가치에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 주는 사회 구현을 실현한다.
    - 패션디자인 시각에서 접근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테크놀러지를 수용하는『New Sensualist』소비자들을 위해 웨어러블 테크놀러지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시각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색인어
  •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킬러 애플리케이션,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지털 컨버젼스. 컨텍스&컨텐츠, 사용자의 상황, 사용자의 목적, 사용자 중심 디자인,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HCI, 착용성 & 사용성, 특화된 디자인,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 이미크 뷰(Emic View),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셋, 컨텐츠 디자인 프로세스,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웨어러블 테크놀러지, 감성 디자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