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A00220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경화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교육적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학교교육에서 교과학습의 성패를 좌우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필요한 정보를 얻고, 문명인으로 삶을 영휘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문식성 지도 활동을 탐색하고 현장에 적용가능한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로써 고등문식성과 타교과학습의 토대가 되는 기초문식성을 향상시키고, 읽기 부진과 쓰기 부진을 예방하고, 기초학력 부진을 지도하는 자료를 제공하고, 국어교육과정 지도 내용 설정과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개발 및 문자 지도를 위한 워크북 제작 등 체계적인 문자 지도의 지침과 방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기대효과
    (1)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요소의 상세화로 체계적인 문자 지도가 가능해진다.
    (2) 초기문자 지도 모델을 제시해준다.
    (3) 기초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국어교육과정 지도 내용, 국어교과서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기초문식성 분야 연구의 활성화
    2. 활용 방안
    (1) 기초문식성 수준의 평가 기준 자료로 활용
    (2)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및 워크북 개발 자료로 활용
    (3) 국어학습 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조기교정 프로그램으로 활용
    (4) 교사 연수 자료로 활용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교육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학교 교육에서 국어학습과 타교과학습의 성패를 좌우하고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필요한 정보를 얻고 문명인으로 삶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과 요소를 체계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문식성 지도 활동을 탐색하고 현장에 적용가능한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1) 기초문식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실태 파악, (2)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의 체계화, (3) 기초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구안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내용에 따라 문헌 연구, 설문 조사 및 실태 분석 조사연구, 읽기와 쓰기 발달 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도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및 개선점 탐구을 위한 적용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학문.사회 발전에의 기대 효과와 이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기대효과
    (1)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요소의 상세화로 체계적인 문자 지도가 가능해진다.
    (2) 초기문자 지도 모델을 제시해준다.
    (3) 기초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국어교육과정 지도 내용, 국어교과서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기초문식성 분야 연구의 활성화
    2. 활용 방안
    (1) 기초문식성 수준의 평가 기준 자료로 활용
    (2)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및 워크북 개발 자료로 활용
    (3) 국어학습 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조기교정 프로그램으로 활용
    (4) 교사 연수 자료로 활용
  • 한글키워드
  • 발음중심 접근,교정 프로그램,기초문식성,의미중심 접근,지도 프로그램,지도 내용,문식성,조기교정 프로그램,균형적 접근
  • 영문키워드
  • Early Intervention program as preventing poor progress,beginning literacy,Intervention program,literacy,teching content,phonics approach,balanced approach,whole language approach,instruction progra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본질을 토대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함과 동시에 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검토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전문가 협의회, 질적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국내외 문헌을 수집․분석하여 기초문식성 개념과 성격, 발달,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 기초문식성 지도 실태와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여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본질을 파악하였다. 읽기와 쓰기는 점진적으로 발달해가는 과정이다. 그 중에서도 초기 읽기와 초기 쓰기 수준의 문식성을 기초문식성으로 볼 수 있다. 기초문식성이란 글자를 단순히 읽고 쓸 수 있는 수준인 한글 해득과 글씨쓰기, 의미 구성에 도달한 수준을 말한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초문식성 교육이 행하여져 왔지만 우리나라에는 교사들이 모델로 삼을 만한 지도 모형이 없는 실정이다. 기초문식성의 대상이 되는 한글은 표음문자이면서도 표기상 표의주의를 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자상 양면성을 지닌다. 또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와 같이 모아쓰기를 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어느 한 가지 관점에 의존하지 말고 음운인식과 문어 경험 모두를 강조해야 한다. 즉, 음운지식에만 의존하지 말고 생활 속에서 많은 문자 언어를 경험해보고 실제 단어를 사용해 봄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인식하는 의미중심 접근법이 동시에 필요하다.
    읽기와 쓰기의 과정을 분절적으로 보느냐, 통합적인 과정으로 보느냐, 문자 지도의 순위와 초점을 문자에 두느냐 또는 의미에 두느냐에 따라 분절적 관점, 통합적 관점, 절충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최근 언어교육에서는 발음 중심과 의미 중심 중에서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게 가르칠 것을 강조하는 균형적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절충적 관점이 단순히 몇 몇 요소를 가져다 강화한 절충이라면, 균형적 접근법은 아동들에게 적합한 지도 방법을 탐색해가며 계속적으로 변화해 간다. 이 관점은 아동의 문식성 발달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지도 내용과 방법을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
    Ⅲ장에서는 앞에서 설정한 기초문식성 지도 개념을 토대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과 국어교과서를 검토하여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균형적인 접근법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 둘째, 상업용 한글 교재를 분석하여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철학적 층위에서는, 대부분의 교재가 구성주의적 학습관과 총체적 언어교육관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론적 층위에서는 의미식에 비중을 둔 절충식 지도법을 택한 교재가 가장 많았으나, 최근 발음식에 비중을 둔 원리학습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교재들도 있었다. 실제적 층위의 한 면으로 주요 교수전략 활동들을 분석한 결과, 낱말, 음절 단위에서는 교수전략이 비교적 확립되어있는데 비하여, 음운(자모음)과 문장 단위에서는 지배적인 교수전략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실제적 층위의 또다른 면으로 낱말․텍스트의 제시 기준을 분석하였는데, 낱말의 경우 의미식에서는 생활 소재 중심, 발음식에서는 낱말의 난이도별로 제시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 외에도 낱말의 유형 또는 품사별로 제시하는 방식이 있었다.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식은 텍스트 내용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주 교재로 하는 경우, 목표로 하는 어휘를 학습하거나 복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 학습 목표를 제시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Ⅳ장에서는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체계의 개발 원리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국어 수업 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기초문식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영역별(문식성의 기초, 어휘 학습, 한글 해득, 의미 구성)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영역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자료 개발의 원리와 지침을 설정하고, 자료의 유형과 투입시기를 고려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개발의 틀을 마련하고, 도우미 캐릭터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초등학교 현장에 직접 투입하여 학습자들의 반응 양상을 살피고, 교수학습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의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타당성을 높이고, 면밀한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양상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 영문
  • Korean textbook is the introductory tools which decid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ay be rightly be called as the lifelong education. Early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reflected at the korean textbook of the lower grade student should be approached at the level of beginning literacy.
    In this study, I surveyed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literacy and tried to search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lower grade student's textbook according to the new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ground of the teaching status and the teacher's view of the beginning literacy at school
    To find out the instruction status and teacher' view of beginning literacy, I surveyed the instruction period, the connection of educ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the status of student's level, the context of instruction, the method of the instruction, korean textbook and materials.
    With the basis of these studies, I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textbook as follows.
    First sufficient time and materials to study beginning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lower grade korean textbook.
    Second, the context systematization of early character instruction should be done.
    The third, the balanced approach for the instruction of beginning literacy should be proposed.
    The forth, the selection criteria of word and material, and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method should be propo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본질을 토대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함과 동시에 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검토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전문가 협의회, 질적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국내외 문헌을 수집․분석하여 기초문식성 개념과 성격, 발달,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 기초문식성 지도 실태와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여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본질을 파악하였다. 읽기와 쓰기는 점진적으로 발달해가는 과정이다. 그 중에서도 초기 읽기와 초기 쓰기 수준의 문식성을 기초문식성으로 볼 수 있다. 기초문식성이란 글자를 단순히 읽고 쓸 수 있는 수준인 한글 해득과 글씨쓰기, 의미 구성에 도달한 수준을 말한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초문식성 교육이 행하여져 왔지만 우리나라에는 교사들이 모델로 삼을 만한 지도 모형이 없는 실정이다. 기초문식성의 대상이 되는 한글은 표음문자이면서도 표기상 표의주의를 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자상 양면성을 지닌다. 또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와 같이 모아쓰기를 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어느 한 가지 관점에 의존하지 말고 음운인식과 문어 경험 모두를 강조해야 한다. 즉, 음운지식에만 의존하지 말고 생활 속에서 많은 문자 언어를 경험해보고 실제 단어를 사용해 봄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인식하는 의미중심 접근법이 동시에 필요하다.
    읽기와 쓰기의 과정을 분절적으로 보느냐, 통합적인 과정으로 보느냐, 문자 지도의 순위와 초점을 문자에 두느냐 또는 의미에 두느냐에 따라 분절적 관점, 통합적 관점, 절충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최근 언어교육에서는 발음 중심과 의미 중심 중에서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게 가르칠 것을 강조하는 균형적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절충적 관점이 단순히 몇 몇 요소를 가져다 강화한 절충이라면, 균형적 접근법은 아동들에게 적합한 지도 방법을 탐색해가며 계속적으로 변화해 간다. 이 관점은 아동의 문식성 발달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지도 내용과 방법을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
    Ⅲ장에서는 앞에서 설정한 기초문식성 지도 개념을 토대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과 국어교과서를 검토하여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균형적인 접근법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 둘째, 상업용 한글 교재를 분석하여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철학적 층위에서는, 대부분의 교재가 구성주의적 학습관과 총체적 언어교육관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론적 층위에서는 의미식에 비중을 둔 절충식 지도법을 택한 교재가 가장 많았으나, 최근 발음식에 비중을 둔 원리학습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교재들도 있었다. 실제적 층위의 한 면으로 주요 교수전략․활동들을 분석한 결과, 낱말, 음절 단위에서는 교수전략이 비교적 확립되어있는데 비하여, 음운(자모음)과 문장 단위에서는 지배적인 교수전략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실제적 층위의 또다른 면으로 낱말․텍스트의 제시 기준을 분석하였는데, 낱말의 경우 의미식에서는 생활 소재 중심, 발음식에서는 낱말의 난이도별로 제시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고, 이 외에도 낱말의 유형 또는 품사별로 제시하는 방식이 있었다.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식은 텍스트 내용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주 교재로 하는 경우, 목표로 하는 어휘를 학습하거나 복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 학습 목표를 제시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Ⅳ장에서는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체계의 개발 원리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국어 수업 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기초문식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영역별(문식성의 기초, 어휘 학습, 한글 해득, 의미 구성)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영역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자료 개발의 원리와 지침을 설정하고, 자료의 유형과 투입시기를 고려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개발의 틀을 마련하고, 도우미 캐릭터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초등학교 현장에 직접 투입하여 학습자들의 반응 양상을 살피고, 교수학습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의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타당성을 높이고, 면밀한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양상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학문,사회 발전에의 기여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우선,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요소의 상세화로 체계적인 문자지도가 가능해진다. 기초문식성은 사회생존의 문제이며 정신 건강의 문제이다. 자칫 공교육에서 소홀하기 쉬운 초등학교 저학년 단계의 문자 미해득아나 기초 문식성 부진아를 현장 실정에 맞게 지도할 수 있는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도 방법은 초기 문자 지도 모델을 제시해 준다.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습 활동에는 특히 초기 문자 지도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현장의 모든 교사들이 효율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초기 문자 지도 모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문식성 지도에 대하여 바람직한 교수법을 찾고 있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기초문식성에 대한 지도가 보다 활발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초문식성 활동 자료는 기초 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발생된 학습 결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누적되어 심각한 학습 결손을 야기시킨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심지어 중등에서도 읽기 부진아나 쓰기 부진아가 다수 존재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그만큼 기초문식성 지도는 기초 학력 향상에 중요하며, 읽기 부진, 쓰기 부진, 기본학습부진 등의 문제를 해결할 단서를 제공한다.
    넷째, 개정된 국어 교육과정 지도 내용, 국어교과서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기초문식성 관련 내용이 비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의 체계화와 지도 프로그램 개발은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제 초등 학습자 수준에 대한 분석을 반영하여 국어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의 위계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교과서 개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기초문식성 분야 연구의 활성화이다. 지금까지는 문자 지도나 기초문식성 지도가 단편적이고 일시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천적인 접근이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조사 연구, 발달 연구, 구안 연구, 적용 연구의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기초문식성 분야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활용 방안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기초문식성 수준의 평가 기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은 기초문식성 자료와 활동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기초문식성에 대한 연구는 일회적으로 끝날 것이 아니므로,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평가 체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는데, 본 연구 결과가 그 기반이 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및 워크북 개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기초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나 초기문자 지도 교재를 개발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지역, 학년, 학습자 수준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려 하므로, 이들 요소를 반영한 다양한 수준의 문자 지도 프로그램이나 교재를 개발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국어학습 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조기교정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과 지도 프로그램은 국어 수업 시간은 물론 국어학습 부진아를 위한 교재나, 개별화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여 문자습득 부진을 예방하기 위하여, 취학전 아동에게 조기교정프로그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교사 연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에게, 특히 저학년을 담임한 교사에게는 기초문식성 지도와 관련된 연수가 절실하나, 적절한 연수 자료나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글 해득, 초기독서, 받아쓰기 등 국어교육에서 꼭 필요하나 그간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부분에 대한 교사들의 지적 욕구를 채워주고 실질적 교육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기초문식성, 초기 읽기, 초기 쓰기, 초기문자 지도, 한글 해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