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삼국시대 한반도의 언어 연구 - 고구려어의 역사비교언어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학자지원(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42-A00034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5 년 (2006년 12월 01일 ~ 2011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정광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삼국시대의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등의 고대 언어에 대하여 비교언어학적인 방법으로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 고대 언어들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한국어의 계통을 연구하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단편적으로 연구되었을 뿐이다. 특히 백제어에 대하여는 한 두 연구자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된 바가 있으나 고구려어에 대하여는 국내 학자들에 의하여 거의 살펴본 바가 없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한국어의 계통연구의 일환으로 다룬 일은 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없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일본을 비롯하여 구미의 역사언어학자들에 의하여 끊임없이 연구되었고 드디어 인디아나 대학의 벡위드 교수는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Brill, Leiden`Boston, 2004)이란 단행본을 간행하고 신청자에 의하여 최근에 『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주는 언어-』이란 이름으로 번역되기에 이르렀다.
    한반도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 특히 고구려에 관한 연구는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고 정통성을 수립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대사 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최근 중국이 고구려를 자국의 변방국가로 귀속시키려는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하여 반드시 연구되어야 하는 우리의 고대 국가의 하나이다. 고구려에 대한 연구는 그 백성들이 사용하던 언어를 연구하지 않고는 그 역사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서 고구려가 우리의 조상임을 밝히는 방법은 그 언어가 오늘날 우리말과 계통적 관계가 있음을 찾아내는 일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목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다음 사항을 분명히 하여 줄 것이다.

    ① 한국어의 기원과 계통을 밝히는데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② 고대 한국어의 윤곽을 분명하게 할 것이다.
    ③ 한국어의 형성을 밝혀줄 것이다.
    ④ 한국어에 들어 온 기원이 다른 많은 어휘, 형태를 분명하게 할 것이다.
    ⑤ 우리 민족의 뿌리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⑥ 고구려가 우리의 조상임을 분명하게 밝혀서 중국이 주장하는 동북공정 등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⑦ 우리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할 수 있고 국민의 역사적 인식을 바르게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연구보조원과 각종 세미나 발표, 논문 발표로 후진 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침체된 한국의 역사 연구, 특히 고대국어의 연구에 불을 밝히는 촉매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제까지 지지부진했던 한국어의 역사 교육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이 연구는 적어도 10편의 연구논문이 연구결과물로 출판되어 이 방면의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저술계획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역사시대에 한반도에 건국되었던 고구려, 백제, 신라의 언어를 고찰하고 이들을 역사비교언어학적으로 고찰하여 상호 관계를 살피려는 것이다. 신라의 언어는 국어의 역사적 연구에서 고대국어로 간주되어 비교적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자료도 鄕歌를 비롯하여 문장 표기의 언어 자료들이 어느 정도 이 시대의 신라어를 이해할 만큼은 전해지고 있어서 이에 근거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고구려어와 백제어, 특히 고구려어의 여구는 매우 소략하여서 한국어의 계통연구의 일환으로 단편적으로 연구되었을 뿐이지 본격적인 연구가 국내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웃한 일본에서는 고구려어를 일본어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주변민족의 고대 언어 가운데 가장 강력한 자료로 인정하고 최근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서 서양의 동양어학자들 사이에 고구려어의 연구가 관심을 끌게 되었고 20세기 후반에는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비교 연구가 매우 매력적인 연구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연구도 이러한 서양학자들의 연구를 최대한 이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크게 4부문으로 나뉠 것이다. 첫째부문은 고구려어의 코퍼스를 비롯하여 백제어, 고대신라어의 코퍼스를 작성하는 것이다. 삼국시대에 한반도의 세 나라 언어는 중국의 『漢書』,『論衡』,『三國志』, 『後漢書』, 『舊唐書』, 『新唐書』, 『通典』, 『二十四史』등의 史書와 『三國史記』(특히 「地理志」), 『三國遺事』, 『高麗史』등 국내의 歷史書, 그리고 『日本書紀』를 비롯한 일본의 여러 역사 자료에 그 흔적을 남겼다. 첫째는 이들 자료로부터 고구려어와 기타 백제어, 신라어로 인정되는 모든 어휘, 형태를 모아서 코퍼스를 작성하는 일이다. 이미 고구려어의 코퍼스는 일부 이 계획서에 싣고 있다.
    둘째부문은 위의 언어자료를 역사비교언어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고구려어를 비롯한 고대 언어를 재구할 것이다. 물론 대부분 한자로 기록된 언어자료이므로 이 시대의 한자음, 특히 중국의 방언음에 유의하여 재구할 것이며 우리의 방언연구, 특히 현존하는 소지명을 참고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2006년 8월까지) 알타이학회가 중심이 돼서 현지 조사한 알타이어들의 자료와도 비교될 것이며 고대 언어의 음운대응을 철저하게 추구할 것이다.
    셋째부문은 위의 재구를 통하여 고구려어의 음운에 대하여 고찰할 것이다. 고구려어의 자음과 모음이 어떠한 음운체계를 가졌으며 이것은 신라어나 백제어와 어떤 관계를 가졌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여기에는 인구어의 전통적인 언어재구 방법이 동원될 것이다. 특히 구조주의 언어학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음운의 대응관계를 철저하게 고찰할 것이다.
    넷째부문에서는 고구려어의 기원과 계통에 대하여 고찰할 것이다. 이것은 비교언어학적인 방법에 의거하여 지금까지 고구려어와 친족관계가 있다고 보아온 퉁구스제어와의 비교, 일본어와의 비교가 포함될 것이다. 특히 필자에 의하여 번역되고 있는 시로고고로프의 『퉁구스어 사전』(S. M. Shirokogoroff: A Tungus Dictionary)이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또한 최근에 러시아학자들에 의하여 많은 현장조사가 이루어진 여러 알타이어들과의 비교도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한권의 책으로 정리되면서 전술한 벡위드의 여러 가설이 잘못임이 들어날 것이다. 아울러 고구려어와 백제어, 신라어와의 관계도 분명해질 것이며 한국어의 계통도 어느 정도 윤곽이 들어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고구려어,상고 고구려어,중고 고구려어,고대 한국어,가야어,알타이어학,고대일본어,한국어의 뿌리,기초어휘 비교,음운대응,고구려어-신라어 비교,일본-고구려어 비교연구,언어 분기설,언어 통합설,언어 기원설,퉁구스어학,역시비교언어학,한국어의 계통,한국어의 기원,한계언어,대-퉁구스어족설,대-알타이어족설,중세한국어,고구려어-백제어 비교,백제어,한국어의 역사
  • 영문키워드
  • Altaic Linguistics,Linguistic Convergence,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guro-Japanese Languages,Macro-Tunguses,Old Japanese Language,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Geneology of Korean Language,The Origin of Korean Language,Koguro Language,Old Korean Language,History of Korean Language,Roots of Korean Language,Basic Vocabulary,Archaic & Ancient Koguro Language. Sound Correspondance,Han Languages,Macro-Altaics,Linguistic Divergence,Tunguses Linguistic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