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
첫째, 학제적 기초연구를 통하여 고령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둘째, 대표성을 가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성공적 노년에 대한 한국 고유의 개념을 정립하고 세대간의 ...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
첫째, 학제적 기초연구를 통하여 고령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둘째, 대표성을 가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성공적 노년에 대한 한국 고유의 개념을 정립하고 세대간의 특징들을 탐색함으로써, 성공적 노년에 관한 심화된 학술 연구 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 최초의 패널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년학 연구성과를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연구 결과의 사회적 기여
첫째, 다학제간 기초 연구를 통해 축적된 조사 자료들은 고령 사회에 대비한 국가 노인 정책의 종합적인 기획, 평가에 중요한 근거 자원으로 활용될 것이다.
둘째, 한국 사회 고유의 성공적 노년의 의미와 가치관에 대한 조사 자료를 토대로 성공적 노년기 삶의 세대별, 계층별, 지역별, 성별 지향점과 대처방안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 놓인 노인의 성공적 삶을 위한 정서적, 신체적, 경제적 지원 내용을 확인하고 향후 노인복지의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성공적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제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파악함으로써, 지역 노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노인 개인의 차원에서 성공적인 노년을 스스로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3) 연구 인력의 양성과 프로그램 개발
첫째, 이 연구는 노인 문제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학제 간 협력 연구로, 이 연구의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전공 영역의 상호 교류와 협력에 기초하여 성공적 노년에 대한 수준 높은 학제적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의 과정에서 전문 연구 인력 및 연구 보조원들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노인 문제를 연구하는 전문 연구자들을 육성하고, 학문 후속 세대를 발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연구는 한림대학교의 다양한 노년생명과학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학부, 대학원, 전문 연구자로 이어지는 전문 인력 육성 및 활용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한림대학교에서는 1997년부터 교육부 지정 특성화 대학으로 지정되어 이미 5년 전부터 노년생명과학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왔다. 이번에 이루어지는 연구는 이와 같은 한림대학교의 특성 및 전략과 연계되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제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재 한림대학교가 입지한 강원도는 한국 최고의 청정 지역으로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높은 수준의 환경의 질을 토대로 노인과 관련된 제반 산업, 시설, 서비스를 개발하는 특성화 개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더불어 국가 균형발전 전략에 적절히 조응하면서 산학 협동의 학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