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만큼, 처럼, 보다'가 격조사인가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5-A00196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임동훈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어 조사는 크게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뉜다. 그런데 '만큼, 처럼, 보다'는 대부분의 논의에서 비교격조사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다른 격조사와 상이한 특징을 많이 지닌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이들 조사의 문법적 특징들을 문법적 기능, 분포, 다른 조사와의 결합 관계, 역사적 발달 단계 등의 관점에서 세밀히 고찰하여 그 범주적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 효과는 세 가지라고 판단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국어 조사의 체계를 세우는 데 일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만큼, 처럼, 보다'가 격조사가 아니라 보조사임을 밝힘으로써 조사의 체계가 좀더 정연하게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는 격조사와 구별되는 보조사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데도 관련된다. 격조사는 핵과 맺는 의미적, 문법적 관계의 유형, 즉 가로 관계를 나타낸다면 보조사는 세로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들 조사에 대한 연구는 세로 관계의 성격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본 연구는 유형론적으로 비교 구문과 비교 기준의 표지를 연구하는 국외의 여러 논의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연구요약
  • ‘만큼, 처럼, 보다’는 현대국어를 다루는 거의 모든 논저에서 비교격 조사로 처리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대응형이나 선대형이 중세국어, 근대국어에서 격조사로 기능하지 않은 사실, 그리고 비교 구문을 유형론적으로 다룬 여러 논의에서 비교 기준의 표지로 비교격이 언급되지 않은 사실 등은 과연 '만큼, 처럼, 보다'가 격조사인지 좀더 세밀히 논의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본고는 '만큼, 처럼, 보다'를 격조사로 보아 온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여 그 논의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나아가 이들이 격조사가 아니라는 근거를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이들이 보이는 문법적 관계가 일정하지 않으며 이들 조사는 여러 격 위치에 나타난다. 둘째, 이들 조사는 일부 어미 형식 뒤에도 결합할 수 있다. 셋째, 이들은 후행 서술어와 격이라 부를 만큼의 일정한 의미적 관계를 맺지 못하여, 서술어가 비교의 의미적 관계를 요구하는 등급적 서술어로 한정되지 않는다. 넷째, '만큼, 보다'와 '처럼'은 한 문장에 공기(共起)할 수 있다. 다섯째, '처럼'과 '만큼, 보다'는 그 성격이 동일하지 않다. 즉 이들이 참여하는 구성은 비교문이 아니라 유사문인 경우도 있다. 여섯째, 이들은 의미격 조사 뒤에 후행한다. 일곱째, 비교격 조사의 일종으로 취급되어 온 '같이, 대로'는 격조사로 보기 어려운 특징을 지닌다. 여덟째, '같이, 보다'는 부사, '대로, 만큼'은 의존명사의 용법도 있어 이들을 격조사로 보면 문법화 단계 가설에 어긋난다.
    그런데 보조사를 뒤에 다른 조사가 올 수 있느냐의 여부, 의미상의 지배 영역이 선행어를 넘어 확장될 수 있느냐의 여부, 의미적 추상성의 정도나 문법화 단계에서의 위치 등에 따라 후치사와 첨사로 구분하는 문법 모형을 받아들인다면 이들은 보조사 중에서도 후치사로 분류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후치사,격조사,보조사,비교격
  • 영문키워드
  • comparative case,case markers,postpositions,delimiter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