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북송대『주역』 해석의 두 가지 경향에 관한 연구 - 호원(胡瑗)과 구양수(歐陽修)의 『주역』 해석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21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원석
연구수행기관 한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북송대의 대표적 학자인 호원(胡瑗, 993~1059)과 구양수(歐陽修, 1007~1073)의 『주역』 해석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북송대 『주역』 연구의 두 가지 경향을 확인하고, 나아가 당시 정립된 상이한 철학적 관점과 논점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현재 각급 대학에서 이뤄지는 중국철학사 강의 중 송대(宋代) 부분은 주로 북송오자(北宋五子), 그 중에서도 주희(朱熹)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 시대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이와 주희의 성리학만을 따로 떼어놓고 학생들에게 설명한다면, 도대체 이들이 어째서 성리학을 정립하려 했는지 전달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과연 정이와 주희는 당대의 어떠한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고민하면서 자신들의 대안을 제시하려 했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이런 설명이 잘 제시되지 않으면, 성리학이 지녔던 생생한 문제의식은 드러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학생들로 하여금 성리학에 대한 편견만 갖게 할 공산이 크다.
    호원과 구양수의 주역관(周易觀)을 비교하여 그 연구 결과를 교안(敎案)으로 만들어,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강의하기에 앞서 사전에 학생들에게 설명한다면, 성리학이 태동하게 된 배경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호원은 󰡔주역󰡕에 근거를 두고서, 인간 본성이 본래는 선하다는 것과, 현실에서는 차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했다. 반면 구양수는 호원이 근거로 삼는 『주역』의 관련 구절이 사실은 공자의 말이 아니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호원의 본성론을 허물어 버린다. 그리고 그는 인간 본성에는 선이나 악을 향한 본래의 지향성이 없고,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느 방향으로 인도하는 제도라고 여긴다.
    이러한 논점이 부각하던 시대에, 성리학 역시 그 논점을 어느 한 쪽에서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학문이었다. 호원은 원기설(元氣說)이라는 존재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데, 이것이 과연 본성의 선함을 뒷받침할 수 있을지 의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성리학의 비조인 이정(二程)은 『주역』의 관련 구절을 새롭고도 정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념 틀을 개발했던 것이라 할 수 있고, 후대의 주희(朱熹)는 그 틀을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서 더욱 세련화해낸 것이다. 이상의 내용으로 교육한다면, 송대의 철학사상에 대한 교육 효과는 한층 더 높아지리라고 판단한다.
  • 연구요약
  • 과거 송대(宋代)의 역학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의리역(義理易)과 상수역(象數易)의 틀에 입각하여, 왕필의 의리역을 잇는 정이(程頤)의 역학을 한 편에 두고, 의리역의 관점을 수용하기는 하지만 기본으로는 상수역을 표방하는 주희(朱熹)의 역학을 다른 한 편에 두면서, 양자의 관점 및 태도를 비교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어 왔다.
    의리역과 상수역의 대립적 구도에 따라 송대 역학사를 파악하는 관점은, 『주역』 해석상의 전통적 양대 경향에 따라 송대 역학의 흐름을 분류해 낸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으나, 다음의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지니기도 한다. 첫째, 송대의 상수역 혹은 의리역 내부의 관점 차이에 대해서는 주목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가 비교 연구할 호원과 구양수 모두 의리역의 계통을 잇는 학자들이지만, 이들은 당시 상호 대립적인 철학적 입장을 갖고 있었고, 그 차이는 주로 『주역』에 대한 태도에서 나타난다.
    둘째, 상수역/의리역의 구도라는 전통적 구도 혹은 통시적 구도에 따라서만 송대의 역학을 조망하고자 할 경우, 송대의 정치, 사회, 학문적 현실을 배경으로 형성되었던 특수한 논쟁 및 논점을 시야에서 놓칠 가능성이 있다. 호원과 구양수를 위시한 송대의 『주역』 연구자들은 그것에 내재된 보편적 진리의 발견을 위해 매진했던 동시에, 당대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역』을 동원했다. 특히 우리가 살펴볼 호원의 『주역구의』는 『주역』의 경문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정치적 문제의 해결에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본 연구자가 북송대 『주역』 해석의 두 가지 경향을 대변하는 학자로서 호원과 구양수에 주목하고, 이들의 주역에 대한 관점을 비교해 보려 하는 까닭은 당시 호원과 구양수가 학계에서 차지하고 있던 지위와 그 영향력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두 사람의 철학적 경향이 상이하다는 데에 있다. 호원은 당말 고문운동의 주창자인 한유(韓愈)의 성삼품설을 받아들이면서도, 맹자의 성선설에 입각하여 그 한계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녔다. 그는 인간의 보편적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주장함과 동시에 그 현실적 본성은 등급적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려 했던 것이다. 호원은 『주역』의 건괘(乾卦) 및 주요한 괘(卦)에 대한 해석에서, 전통적 원기설(元氣說)에 따라 인간 본성의 선함을 입증하려고 했다.
    반면 구양수는 스스로 말하다시피 성악설의 경향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는 당시 한유와 이고(李翶)의 인성론을 어떻게 종합할지를 둘러싸고 활발하게 벌어지던 당시의 제반 논쟁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표명하면서, 급선무는 본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아니라 당장의 현실적 실천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성정(性情) 내에 선을 향한 본래적 지향성이 내재하지 않고, 그것은 외적 제도 여하에 따라 선하거나 악하게 될 수 있다는 견해를 표명하면서 특히 예제(禮制)의 정립을 중시했다.
    이처럼 호원과 구양수는 동시기에 학계의 양대 지주로 부상했지만 철학적 경향은 상이했다. 본 연구자는 양자의 『주역』 해석에서 그들의 상이한 시각이 잘 나타난다고 판단했다. 호원의 철학, 특히 그의 인성론은 그의 『주역구의』(周易口義)에서 명료하게 제시된다. 그는 『주역』 내에 담긴 모든 글이 공자(孔子)의 저작이라고 확신하면서, 『주역』의 체에 토대를 두고서 자신의 철학을 정립하고 전개하고자 했다.
    이에 비해 구양수는 『역동자문』(易童子問)이라는 저서를 통해, 『주역』 내의 「문언전」(文言傳)과 「계사전」(繫辭傳)은 공자가 직접 저술한 것이 아니라 후대에 가탁된 것이라는 태도를 표명한다. 그 근거로써 그는 「문언전」, 「계사전」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순된 진술들 제시하여, 이들 저작은 공자 한 사람이 아니라 후대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호원 및 그 제자들은 『주역』 내에서도 특히 「문언전」과 「계사전」을 통해 자신들의 철학을 정립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구양수의 의고적(疑古的) 태도는 실은 호원 진영을 직접 겨냥한 것이라는 추정이 충분히 가능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추정하에, 호원의『주역구의』와 구양수의 『역동자문』을 상호 비교하면서 그 이면에 배어 있는 상이한 철학적 관점을 분석해 내려고 한다.
  • 한글키워드
  • 호원,주역,역동자문,감정.,본성,주역구의,구양수
  • 영문키워드
  • Feeling.,Zhou Yi,Hu Yuan,Ou-yang Xiu,Zhou Yi Kou Yi,Nature,Yi Tong Zi We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호원의 "주역구의"는 왕필의 주역 해석이 노자적 경향에 입각해 있다고 보면서, 유가적 이상을 실현할 방법 및 지침을 "주역"에서 발견하려는 관점에서 주역을 해석했다. 호원이 "주역구의" 전편을 통해서 일관되게 비판하는 것은 왕필의 은둔주의 또는 보신주의적 해석이다. 그는 왕필의 해석이,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개인의 생명을 온전히 하는 데에 치중해 있다고 본다. 개혁의 열망이 움트던 북송대에 살았던 호원은, 유가적 개혁을 뒷받침하는 경전으로서 "주역"을 바라보고, 그로부터 적극적 "유위"의 이상을 읽어내려고 했다. 호원은 특히, 백성의 교화에 있어 신하가 담당할 역할을 강조하고, 백성에 대한 엄격한 훈계 및 형벌을 강조하는 실천적 지침을 "주역"으로부터 읽어낸다. 호원의 주역 해석에서 특징이 되는 점 또 하나는 역사적 사례를 빈번히 사용하여 설명한다는 점과 "중용"을 인용하여 주역의 내역을 뒷받침하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 영문
  • Hu Yuan saw the Wang Pi's interpretation of Zhou yi was inclined to Lao zi, and tried to find the way of realizing the idea of Confucianism in Zhou yi. Hu Yuan criticized the seclusionism of Wang Pi. He regarded the interpretaion of Wang Pi is for protecting of the life of a person. Living in a Notern Song dynasty, which is full of amibtion of inovation, Hu Yuan especially reiterated the role of subject, education of the peop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호원의 "주역구의"는 왕필의 주역 해석이 노자적 경향에 입각해 있다고 보면서, 유가적 이상을 실현할 방법 및 지침을 "주역"에서 발견하려는 관점에서 주역을 해석했다. 호원이 "주역구의" 전편을 통해서 일관되게 비판하는 것은 왕필의 은둔주의 또는 보신주의적 해석이다. 그는 왕필의 해석이,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개인의 생명을 온전히 하는 데에 치중해 있다고 본다. 개혁의 열망이 움트던 북송대에 살았던 호원은, 유가적 개혁을 뒷받침하는 경전으로서 "주역"을 바라보고, 그로부터 적극적 "유위"의 이상을 읽어내려고 했다. 호원은 특히, 백성의 교화에 있어 신하가 담당할 역할을 강조하고, 백성에 대한 엄격한 훈계 및 형벌을 강조하는 실천적 지침을 "주역"으로부터 읽어낸다. 호원의 주역 해석에서 특징이 되는 점 또 하나는 역사적 사례를 빈번히 사용하여 설명한다는 점과 "중용"을 인용하여 주역의 내역을 뒷받침하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호원의 주역구의와 정이천의 "역전"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정이천의 역전이 왕필의 주역해석으로부터 어떻게 발전해서 형성되었는지를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호원의 주역구의는 주역입문자를 위해 의리역학적 관점에서 상세한 설명을 가하고 있으므로, 주역구의 원문이 번역되어 소개된다면, 주역 입문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북송대 전체의 사상적 흐름에서 호원이 차지하는 위상에 비추어, 그의 개혁 사상이 어떤 식으로 경전해석을 통해 펼쳐졌는가를 봄으로써, 북송대의 경전 이용 현황에 대한 개략적 이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호원, 주역구의, 왕필, 노자, 은둔주의, 유가적 가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