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A study on Chenghuang(城隍) belief on short story in MingQing(明淸) Dynas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5313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정숙 [ NRF 인문사회 연구책임 5회 수행 / 공동연구 1회 수행 / 학술논문 28편 게재 / 총 피인용 81회 ]
연구수행기관 계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성황은 중국의 역사상 가장 특수한 형태의 민간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선사시대 인간의 정착생활이 시작되면서부터 자연스레 생겨나 도시의 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하여, 당송 이후로 국가의 祀典에 올라 封爵이 수여되었고 원대에는 ‘護國保寧王’으로 봉해져 국가의 중심 신앙으로 신봉되었으며, 특히 명청대에는 중앙과 지방, 그리고 민간이 정치적 측면뿐 아니라 경제·문화적 측면에서도 서로 소통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즉 성황은 민간의 신앙체계 위에 국가의 정치제도가 더해져 여타의 민간신앙과는 달리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광범위하게 발전하였다.
    일찍이 성황이 국가신격으로 자리 잡은 원인이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오랜 세월 민간의 생활과 매우 밀착되어 발전하면서 민중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일종의 종교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국가가 민간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요체를 통제하는 것은 이른바 ‘우민정책’과 같은 기대효과를 통해 국가권력에 대한 신성함을 강화하고 복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대 이후로 각 지방의 다양한 성황신격이 국가차원에서 대대적으로 통합되기 시작하였고, 명대에는 행정단위에 따라 성황의 爵位를 편제하고 제의의 절차와 방식 등도 규정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성황의 본질은 민간신앙이다. 즉 국가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던지 간에 그것은 성황의 발전에 대한 필수조건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역대로 변화 발전한 성황의 진면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국가의 정책이 어떠했는가를 따지기보다는 민간의 신앙 양상이 실제로 어떻게 존재해 왔는가를 먼저 살펴야 할 것이다. 이는 나아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계승되고 있는 중국의 각 지역 성황 문화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성황신앙이 실제 민간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발전했는지를 역대 필기소설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필기소설은 바로 민간에서 구전되던 이야기들을 엮은 것으로 각 시대의 필기 작품은 그 당시 민간의 사회 풍속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필기소설 작품 분석을 통해 성황신앙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여태껏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주제라는 점에서 본 과제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다.
  • 기대효과
  • (1) 학술적 측면
    본 연구는 중국문학 및 기타 인문학의 학술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성황신앙은 중국의 전통적인 민간신앙일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 두루 퍼져있는 동양의 대표적인 민간신앙의 한 형식이다. 따라서 본 과제는 중국의 성황신앙의 역사적 전통과 오늘날에 계승되고 있는 현대적 면모를 살피는 계기를 마련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 및 일본, 월남 등지의 성황신앙과 비교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본 과제는 성황신앙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작품을 분석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詩詞, 說唱, 戱曲, 小說 등에 묘사되고 있는 성황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성황의 본질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필기소설 자료 분석은 그 본질 탐구를 위해 빠져서는 안 되는 선행 작업이다.

    (2) 교육적 측면
    성황은 중국의 민간신앙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周代부터 淸代까지 중국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관민의 중시를 받아왔으며, 오늘날 중국의 각 지역정부에서는 城隍廟를 수리 또는 복원하여 관광 문화상품으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성황신앙이 중국의 역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반증한다. 특히 北京, 上海, 西安, 杭州, 廣州, 福建 등지에서는 다양한 城隍祭儀가 현대적으로 계승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 성황신앙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에도 계승되고 있는 중국의 이른바 ‘城隍文化’를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중국문화교육을 위한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필기소설은 대부분 이야기 형식으로서 학생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육적 효과가 비교적 클 것으로 예상된다.

    (3) 대중적 측면
    본 과제는 성황신앙이라는 다소 친숙한 주제로서 중국의 문화를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본 연구는 北京, 上海, 福建 등 주요 도시의 여행지에서 한 번 쯤은 접할 수 있는 성황문화를 좀 더 의미 있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대를 보다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대중적 수요에 맞는 다양한 교양도서의 출간도 기대해 볼 만한데, 본 과제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성황 이야기를 편찬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연구요약
  • 중국의 수천 년 성황신앙은 민중의 생활과 가장 밀착되어 발전하였다. 농경사회의 물둑, 도시의 성곽은 마을 주민의 안녕을 수호하는 가장 중요한 방패막이 되었으니, 성황의 기원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이로부터 성황은 오랜 세월 동안 마을의 수호신으로서 일반 백성의 삶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아 발전하였다. 곧 성황의 역사는 민간의 신앙의식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중국 민중의 성황신앙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었을까? 이 문제는 간단하지 않지만 나름대로의 한 가지 방책이 있다면 민간설화, 필기소설, 공연작품 등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자료는 대개 민중의 이야기를 대상으로 기록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중 명대 이전의 자료는 단편적인 기록이 대부분이고 명청대 자료에서 비교적 종합적인 내용이 많이 보이므로 본 연구는 명청대 성황신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명청대 자료는 그 이전의 내용을 포괄하면서 전대에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그 다음 명대 이전의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여 명청대 성황신앙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자불어>>를 중심으로 살펴 본 명청대 성황신앙의 특징을 잠시 간략하게 논해 보면 아래과 같이 정리된다. <<자불어>>는 명청대 필기소설 중 성황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은 자료이므로 우선적으로 분석해야 할 대상이다.
    (1) 地方官府에 대한 비평적 의식 반영
    명청대는 행정단위에 따라 지방의 성황묘를 정비하고 각 지방관에게 그 관리와 감독의 책임을 부여하였다. 이에 지방관은 먼저 그 부임을 성황신에게 알리고 지역의 대소사를 성황묘에 가서 알리고, ‘성황출순’과 같은 의례적인 행사를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민간의 성황신앙 속에는 자연스레 지방관과 관련된 것이 적지 않게 되었다. 사람들은 성황신이 좋은 관리에게는 상을 내리고 나쁜 관리에게는 벌을 준다고 믿었다. 심지어는 아예 선정을 펼친 지방 관리를 성황신으로 승격시켜 그 공덕을 잊지 않고자 하였다. 그런데 명청대에는 또한 성황신 자체를 조롱하거나 풍자함으로써 관부의 상징이던 성황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는 지방관과 동등한 자격을 지닌 성황에 대한 직접적인 비평을 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분명 그 이전 시대와는 다른 명청대 성황신앙의 독특하면서도 재미있는 부분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왜냐하면 명청대 이전까지는 이러한 부정적인 비평 의식이 보이지 않고 대부분 신성한 신령으로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2) 일상의 구복을 비는 신적 존재로 정착
    성황신은 본디 마을의 안녕을 지키는 수호신이다. 자연재해, 동물의 습격, 각종 전쟁으로부터 마을 주민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큰 임무이다. 적어도 위진남북조 시기까지는 이와 같은 수호의 본래 기능이 눈에 띠게 부각되어 나타나지만, 당송대 이후 성황이 국가신으로 승격되면서 수호신의 면모 보다는 잡신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명대에 이르면서 성황신은 대개 득남, 급제, 생업 등 일상생활의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주는 성격으로 변모하였다. 물론 그 이전의 성황신앙 속에 이러한 구복신앙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고는 단언할 수 없지만, 명청대의 성황은 분명 그 이전에 비해 신성성이 대폭 약화되고 온갖 잡신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한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그것은 성황신이 국가신격으로 지위가 상승하고 각 지방의 토지신이 점차 성황신의 범주에 포함되면서 나타난 자연스런 결과라고 생각된다.
    (3)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강조
    명청대 성황신앙의 가장 보편적인 내용은 권선징악과 인과응보를 강조한다. 기실 성황신앙의 이러한 내용은 그 전대에는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그 이전 시대에는 대개 자연재해의 소멸, 생업의 안전, 마을의 평화, 기우 등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그야말로 수호신의 기능이 강조되었다. 그런데 명대 이후의 문학작품에서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내용이 눈에 띄게 증가한 까닭은 성황신앙을 통한 교화적 효과를 얻으려고 한 당시의 정치적 배경은 물론이거니와, 소위 ‘견책소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당시 이러한 내용이 문학적 주제로 각광받은 시대적 배경도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성황, 성황신, 성황묘, 성황신앙, 민간신앙, 명청대, 필기소설
  • 영문키워드
  • Chenghuang(城隍), City-god, Chenghuang temple, Chenghuang(城隍) belief, folk belief, MingQing(明淸) Dynasty, short sto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중국의 성황신의 본질에 대한 탐구이다. 핵심 내용은 원매 <<자불어>>의 통해 청나라 시기의 성황신앙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았다. 원매는 그 이전의 많은 자료에 근거하여 자료를 수집했을 뿐 아니라, 그 당시에 자신이 직접 돌아다니며 괴이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은 각 지역의 이야기를 두루 수집했다. 또 <<자불어>>에는 성황신앙과 관련된 수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자불어>>는 마을 신앙을 집대성한 자료집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불어>> 속에 나타난 성황신앙을 통해 청대의 성황신앙이 지닌 4가지 특징을 귀납했다. 첫째, 청대의 성황은 통합되는 과정 속에서 고증되었다. 둘째, 청대의 성황은 잡신의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다. 셋째, 청대의 성황은 희화된 모습이 강조되었다. 넷째, 청대의 성황은 민중이 주체로 계승 발전시켰다. 이상의 내용분석은 중국의 성황신앙 연구에 좋은 자료적 뒷받침을 제공할 것이다.
  • 영문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oot of a tutelary deity. The nub of my concern was a research for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beliefs for a tutelary deity in Chung dynasty times through “Zibuyu(子不語)” by Won-Mae. Won-Mae had collected of materials based on prehistoric source materials, had got around to collect strange stories, and hand collected each regional stories from other people all around. “Zibuyu(子不語)” has numerous stories for religious beliefs for a tutelary deity. “Zibuyu(子不語)” has been compiled all belief of a village and it is newly worthy of notice. Thus This thesis reason inductively four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beliefs for a tutelary deity in “Zibuyu(子不語)” The first, a tutelary deity in Chung has restored arifacts based on through integrated course. The second, a tutelary deity in Chung has a drastic reinforced function of evil spirits. The third, a tutelary deity in Chung was bold caricatured. The fourth, a tutelary deity in Chung was inherited and developed by the people – they are the principal agent of development of succession. This analysis of contents is good source and supports a study on chinese religious beliefs for a tutelary de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논문은 중국의 성황신의 본질에 대한 탐구이다. 핵심 내용은 원매 <<자불어>>의 통해 청나라 시기의 성황신앙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았다. 원매는 그 이전의 많은 자료에 근거하여 자료를 수집했을 뿐 아니라, 그 당시에 자신이 직접 돌아다니며 괴이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은 각 지역의 이야기를 두루 수집했다. 또 <<자불어>>에는 성황신앙과 관련된 수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자불어>>는 마을 신앙을 집대성한 자료집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불어>> 속에 나타난 성황신앙을 통해 청대의 성황신앙이 지닌 4가지 특징을 귀납했다. 첫째, 청대의 성황은 통합되는 과정 속에서 고증되었다. 둘째, 청대의 성황은 잡신의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다. 셋째, 청대의 성황은 희화된 모습이 강조되었다. 넷째, 청대의 성황은 민중이 주체로 계승 발전시켰다. 이상의 내용분석은 중국의 성황신앙 연구에 좋은 자료적 뒷받침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술적 측면
    본 연구는 중국문학 및 기타 인문학의 학술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성황신앙은 중국의 전통적인 민간신앙일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 두루 퍼져있는 동양의 대표적인 민간신앙의 한 형식이다. 따라서 본 과제는 중국의 성황신앙의 역사적 전통과 오늘날에 계승되고 있는 현대적 면모를 살피는 계기를 마련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 및 일본, 월남 등지의 성황신앙과 비교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본 과제는 성황신앙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작품을 분석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詩詞, 說唱, 戱曲, 小說 등에 묘사되고 있는 성황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성황의 본질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필기소설 자료 분석은 그 본질 탐구를 위해 빠져서는 안 되는 선행 작업이다. 그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기존의 󰡔자불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불어󰡕의 새로운 주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도 상당한 의의가 있는바, 향후 󰡔자불어󰡕의 학술 연구에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교육 및 대중적 측면
    성황은 중국의 민간신앙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周代부터 淸代까지 중국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관민의 중시를 받아왔으며, 오늘날 중국의 각 지역정부에서는 城隍廟를 수리 또는 복원하여 관광 문화상품으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성황신앙이 중국의 역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반증한다. 특히 北京, 上海, 西安, 杭州, 廣州, 福建 등지에서는 다양한 城隍祭儀가 현대적으로 계승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 성황신앙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에도 계승되고 있는 중국의 이른바 ‘城隍文化’를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성황, 성황신, 성황묘, 성황신앙, 민간신앙, 명청대, 필기소설
  • 연구성과물 목록
1. 논문
원자료
[학술논문] 明淸時期 蘇州地域 城隍神 信仰
김지현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사회생활학과 | pp.1~67 | 2005-12-01 | 중국고전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2. 논문
원자료
[학술논문] 中國 城隍神의 原型에 관한 考察
박정숙 | 한국중어중문학회 | 43권 | pp.19~41 | 2008-12-01 | 중국고전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3. 논문
원자료
[학술논문] 韓國과 中國의 城隍信仰 比較
서영대 | 중국사학회 | 12권(1호) | pp.173~225 | 2001-02-28 | 중국고전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4. 논문
KCI등재 KCI 원문 보기
《子不語》에 나타난 淸代의 城隍信仰 분석
박정숙 | 중국어문학연구회 | 중국어문학논집 | (83호) | pp.471~498 | 2013-12-01 | 중국어와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5. 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박정숙 | 2014-02-12 | 중국고전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PDF(1)
6. 단행본
원자료
[단행본] 袁枚全集
왕영지 | 江蘇古籍出版社 | 1993-01-01 | 중국고전문학
출처연구과제 : 명청대 필기소설에 나타난 성황신앙의 특징과 그 의의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