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위해서 복합적 연구방법 (Mixed Methods)을 적용할 것이다. 복합적 연구방법의 장점은 질적 연구를 통해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가능하고 또한 다수를 상대로 자료를 모으는 양적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 ...
본 연구를 위해서 복합적 연구방법 (Mixed Methods)을 적용할 것이다. 복합적 연구방법의 장점은 질적 연구를 통해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가능하고 또한 다수를 상대로 자료를 모으는 양적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첫째, 선행연구 문헌조사와 양국의 경찰학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자료를 모은다. 둘째, 양적 자료 분석을 위해 Asian Barometer Surveys 자료를 얻어서 분석 한다.
● 질적 연구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서 국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부족했던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이론적 논의 부분도 보충해서 연구의 토대를 다지도록 할 것이다. 비교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 비교대상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고찰이다. 두 나라간의 정치적, 역사적 변천과정을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아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지 파악한다. 또한, 각국의 경찰학자들과의 면담과 인터뷰를 통해서 경찰신뢰도에 영향을 주었을 만한 정치적, 역사적 사건들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뒤따를 양적연구의 해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양적 연구
1) 자료의 출처
국가 간의 양적 비교연구에 있어서 가장 힘든 부분이 자료의 수집이다. 특히 동일한 변수들을 해당국가 모두에게서 측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따라서 미리 자료가 모아져 있다면 2차 자료를 이용해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실제로 많은 경찰 신뢰도에 대한 국가 간의 비교연구들이 World Values Surveys와 같은 2차 자료를 이용해 이루어 졌다 (Cao et al., 2012; Jang, Joo, Zhao, 2010).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기 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Asian Barometer Survey 의 자료를 요청해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Asian Barometer는 현재 국립대만대학교 동아시아민주주의 연구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자료를 요청하려면 신청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한다. 웹사이트에 의하면 연구의 목적이 학술 목적이고, 연구윤리를 준수하고 출처를 밝히는 조건으로 자료를 제공한다고 되어있다. Asian Barometer는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안 국가의 국민들로부터 자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치 등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하여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한 국제 공조 연구이다.
2) 표본 표집방법 (Sampling Methods)
자료의 수집은 각 해당 국가에서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삼아 확률적 표집방법을 적용해 표본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람들은 면접 방법을 통해 자료를 모았다. 즉, 전 국민을 상대로 무작위 표본을 선정해 자료를 모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변수의 측정
Asian Barometer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이 한국과 일본에 공동으로 측정되어져야한다. 웹사이트에 의하면, 본 연구에 필요한 주요 변수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측정되었다고 나와 있다. 따라서 두 나라간의 경찰의 신뢰도에 대한 비교 연구에 Asian Barometer자료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핵심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 (Confidence in the police)는 “경찰기관이나 경찰관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신뢰가 있는지 말씀해 주세요. (How much confidence you have in the police institutions or person.)” 의 문항을 이용해서 측정되었다. 이 문항에 대한 응답은 1)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None at all), 2) 그리 신뢰하지 않는다 (Not very much trust), 3) 많이 신뢰한다 (Quite a lot of trust), 4) 아주 많이 신뢰한다 (A great deal of trust) 로 구성되었다.
여타 연구에 사용된 주요 독립변수 및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이웃에 대한 신뢰,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안전도, 부패수준 등이 연구에 포함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