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간호와 복지영역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 ...
○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간호와 복지영역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측면에서 서비스의 수요공급 간 중재tool 개발을 모색함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등급자 중 1,2 등급은 의료서비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나 3등급인 경우 간호복지융합형 재가서비스로 요양시설로의 진입시기를 최대한 연장할 수 있음.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재가서비스는 전반적 건강관리가 가능한 형태가 아니고, 간호 및 복지의 각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단발적이고 전문성이 없음 - 본 연구는 등급자 중 3등급이거나 등급신청자 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간호복지융합형 재가서비스 protocol을 개발하고자 함. 노인서비스에 있어서 복지와 간호 영역의 지식과 기술 융합에 대한 필요성은 이미 현장에서 요구되어 왔고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많았으나 실질적 연구를 통한 적용 및 운영이 부재함 - 특히 재가서비스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를 위한 중재시스템(intermediate/intervention system) 개발에 중점을 두고자 함. 다발적이고 임기응변식으로 대응하는 재가서비스 시스템 전반에 걸친 변화를 목적으로 체계적이고 환류 및 평가, 비교가 가능한 서비스 중재 시스템을 제안할 것임
○ 표준화된 서비스 개발이 아니라 다양성과 개별성을 존중하되, 전문성을 함양한 서비스 manual을 제시하고자 하며 재가서비스 제공자(요양보호사/도우미)와 수혜자, 기관 간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중재 tool 개발을 통해 제시하고자 함. - 기존 간호영역에서는 건강사정 및 진단을 위한 다양한 tool 이 개발되어 있고 일부는 표준화되어 현장에서 일부 응용변경이 가능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나 복지영역에서는 표준화된 tool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기관별, 시설별로 작성되어 품질 관리 및 서비스 비교 등이 어려웠음 - 재가서비스는 요양보호사(도우미) 대 돌봄대상자 간 개별적으로 시행되며 manual이나 protocol이 없는 상황에서 대부분 요양보호사의 개별적 판단 및 방문 시 돌봄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임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이용자가 아닌 재가노인의 건강증진 및 재가서비스의 품질향상, 사회적 총비용 감소 등을 위하여 재가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전달체계를 상호소통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또한 서비스는 생산주체와 수요주체 상호간의 공동생산물(co-production)이라 할 수 있으므로 연구 성과를 연구자와 연구결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인식하는 ‘생산적 상호작용 평가방법’을 연구 전반에 적용함 - 본 평가방법을 위해 전문가 networking세미나, 면접조사, FGI 등을 연구방법으로 채택, 운영하고자 하며, 연구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지표에 대해서도 모색하고자 함
기대효과
○ 학문적 기여 - 기존 간호와 복지 영역은 각각의 전문성이 확고하여 지식 및 기술의 교류가 어려웠던 상황임. 지역사회간호나 지역사회복지 전공자 및 활동가들은 상호교류가 현장에서 매우 필요함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영역 간 경계를 넘는 것이 어려웠음. - 특히 노인 ...
○ 학문적 기여 - 기존 간호와 복지 영역은 각각의 전문성이 확고하여 지식 및 기술의 교류가 어려웠던 상황임. 지역사회간호나 지역사회복지 전공자 및 활동가들은 상호교류가 현장에서 매우 필요함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영역 간 경계를 넘는 것이 어려웠음. - 특히 노인대상 서비스는 노인의 요구도에 따라 의료와 복지가 결합할 수 밖에 없는 영 역으로 간호와 복지의 융합연구를 통해 상호 학문적 교류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 - 간호학회, 복지학회 등 연구 성과물을 교차발표 혹은 합동 발표함으로써 학문의 영역을 넓히는데 기여
○ 재가노인서비스의 중재 tool 개발을 통해 환류 시스템을 갖춘 서비스 제공 - 방문간호, 방문요양, 방문서비스 등 간호사, 요양보호사(도우미), 사회복지사 등이 제공하는 재가노인서비스는 그 동안 각각의 영역에서 제공되어 왔고 일부 간호시스템을 제외하고는 supervision 이나 품질관리를 위한 intervention이 거의 부재한 실정이었음.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요양보호서비스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서비스로 활용될 수 있음 - 본 연구결과는 지역기반 노인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고 협력기관이나 지역연계시설 등에서 시범운영을 통해 모델 확장의 기회를 기질 수 있음 - 효율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재가서비스 이용을 통해 건강유지기간을 연장하여 꼭 필요한 순간에 병원/시설로 이동함으로써 노인 돌봄 전반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으로 활용
○ 시스템 혁신·전환의 사례로서 활용 - 노인돌봄서비스 관련 새로운 혁신이 시도되고 일어나고 있는, 전환을 선도하는 Niche로서 활용; 사회적 영향 평가지표의 확산 - 학회의 특별 session을 구성하거나 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 community에 홍보
○ 간호·복지 연계 교과목 개발 - 노인복지 및 사회복지 전공학생과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공통 교과목을 개발 - 노인복지서비스 및 전달에 있어서 각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정도구 및 평가도구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통합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노인 돌봄서비스 시스템 전체의 혁신과 전환을 유도 - 따라서 본 연구는 재가노인 돌봄서비스 시스템 전체의 혁신과 전환을 유도하고자 함. 기존의 전문가/병원/시설 중심에서 벗어난 노인/지역사회/지역기관 중심의 새로운 노인 돌봄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전반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함
연구요약
□ 연구대상 ○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은 재가노인서비스 이용자임 -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등급을 받은 노인 중 재가서비스 이용자, 또한 등급외자로서 노인돌봄종합서비스의 재가서비스 이용자임 - 현재 재가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대표 ...
□ 연구대상 ○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은 재가노인서비스 이용자임 -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등급을 받은 노인 중 재가서비스 이용자, 또한 등급외자로서 노인돌봄종합서비스의 재가서비스 이용자임 - 현재 재가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돌봄종합서비스제도를 통해 공급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급여대상자 규모는 확대되고 있으나, 서비스 대상자의 규모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과정에서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재가노인 중심의 복지서비스가 조정․개편되었고 대표적 개편안이 노인돌봄종합서비스임 - 노인돌봄종합서비스는 요양등급에 따른 등급 외 A, B 판정을 받은 비교적 경증 질환자 혹은 허약노인에게 신체기능 유지 및 증진, 신변활동 지원, 가사일상지원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상자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함. 그러나 등급판정기준도 모호하고 서비스의 manual이나 지침서, protocol등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서비스의 차별성을 갖기 어려움
□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 지역사회기반 융합형 재가노인 돌봄서비스 개발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등급자 중 1,2 등급은 의료서비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나 3등급인 경우 간호복지융합형 재가서비스로 요양시설로의 진입시기를 최대한 연장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등급자 중 3등급이거나 등급신청자 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재가서비스 protocol을 개발하고자 함 - 또한 재가서비스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를 위한 중재시스템(intermediate/intervention system)에 대한 연구내용을 포함함
○ 재가노인 및 가족대상 노인 서비스 만족도 및 요구도 분석 - 노인장기요양등급판정에 따라 등급자이거나 등급신청에서 탈락하여 대기하면서 바우처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현재 수혜 받고 있는 재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불만, 요구도를 조사 - 노인이 제공받고 싶은 의료 및 복지서비스 내용 파악 - 특히 의료와 복지서비스가 결합할 수 있는 영역을 집중적으로 파악 - 기타 자살, 우울증, 노후 불안, 삶의 만족도, 생의 의미 등 노인의 포괄적 건강상태도 조사하여 차후 사회문제화 되는 영역의 예방적 대안도 마련
○ 방문요양시스템 개선방안을 위한 요양보호사(도우미) FGI 의견 분석 - 본 연구는 재가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도우미)를 대상으로 시스템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함 - 재가노인의 상태에 따라 서비스 욕구의 내용과 양이 달라져야 함에도 현실에서는 획일적이고 한정된 서비스만 제공되고 있거나 서비스 공급자의 전문성 미확보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임. 재가노인의 욕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내용의 개발과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전문성 향상과 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임. 따라서 요양보호사(도우미) 측면에서의 전문성 향상 및 서비스품질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 및 서비스 중재 tool 개발 - 의료와 복지서비스의 협업 모델과 관련 해외사례 연구 - 노인건강 사정 및 진단 등에 대한 assessment tool 은 간호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품질 향상 및 관리를 위한 중재 tool개발은 미흡하고, 특히 간호복지를 융합적 접근으로 하여 개발된 tool은 거의 없는 실정임 - 재가노인대상 의료보건복지서비스는 통합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 - 어떤 내용과 수준의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어져야 되며 어떻게 평가되고 모니터링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
○ 지역사회 전문가 세미나 운영 - 전문가 세미나는 공단관계자, 방문간호 담당자, 방문요양 및 재가서비스 담당자(요양보호사 및 도우미), 서비스 관리자 등 재가시설 및 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결성 - 전문가 세미나는 분기별로 1회씩 실시하며 전체 연구과정에서 자문 및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조성 - 연구조사, 분석 및 개선방안, 중재 tool 도출과정에서 전문가 세미나를 통한 도움을 받고 세미나 기조발제문 등은 자료집으로 따로 발행하여 지역사회에서 공유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측면에서 서비스의 수 ...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측면에서 서비스의 수요공급 간 중재tool 개발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재가노인 대상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115개 기관과 223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재가서비스 수혜자 및 가족 대상 면접조사 1회 실시, 요양보호사(도우미) FGI 2회 실시, 지역사회복지사와 방문간호사를 포함한 융합적 성격의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서비스 개발이 아니라 다양성과 개별성을 존중하되, 전문성을 함양한 서비스 manual을 제시하고자 하며 재가서비스 제공자(요양보호사/도우미)와 수혜자, 기관 간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중재 tool 개발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연구결과에서는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간,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내용에 대한 의식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내용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 분석 등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또한 연구과정 중 지역방문간호사 및 지역사회복지사, 재가요양보호사 등과 합동 간담회 등을 진행하였으나 서비스 영역의 시각의 차이를 좁히는 것의 어려움을 공감하였고 특히 서비스 제공자 간 뚜렷한 업무분장 등으로 인하여 통합적 tool의 적용에 대하여 현실화방안을 쉽게 제시하지 못한 것이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집담회 및 연구세미나 등을 통하여 1개기관에서 시범운영을 하게 되었고, 간호와 복지 영역을 포괄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proper and decent service based on community for senior citizen with help of academic area of nursing and welfare. Especially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intermediate tool between supplier and user was explored. Res ...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proper and decent service based on community for senior citizen with help of academic area of nursing and welfare. Especially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intermediate tool between supplier and user was explored. Research mehods include survey to carers and institution, interview with user and family, FGI with carers and expertixe seminars. Development of the intermediate tool for services faces difficulties in the research process such as differences between service providers on service contents, roles, and expectations. However, the cooperatve tool was reviewed by carers, social workers, and visiting nurses and is temporarily used in the community daycare center. It is expected to maintain and rais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senior citize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연 구 내 용
○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측면 ...
연 구 내 용
○ 본 연구는 장기요양등급자로 재가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등급외자로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재활 및 건강증진,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proper and decent)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측면에서 서비스의 수요공급 간 중재tool 개발을 모색하였음 ○ 이를 위하여, 장기요양서비스의 품질관리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관과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서비스품질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재가노인 대상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조사하였는데, 대상기관은 총 115개이고, 요양보호사 응답자는 총 223명이었음.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설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중간관리자 이상의 집단과 요양보호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음 ○ 또한 재가서비스 수혜자 및 가족 대상 면접조사 1회 실시, 요양보호사(도우미) FGI 2회 실시, 지역사회복지사와 방문간호사를 포함한 융합적 성격의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실시하였음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서비스 개발이 아니라 다양성과 개별성을 존중하되, 전문성을 함양한 서비스 manual을 제시하고자 하며 재가서비스 제공자(요양보호사/도우미)와 수혜자, 기관 간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중재 tool 개발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연구결과에서는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간,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내용에 대한 의식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내용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 분석 등에 중점을 두게 되었음 ○ 연구진은 매달 정기적 모임을 통하여 연구과정에서 융합적 시각을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고, 팀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세미나를 진행해 왔음. 또한 지역방문간호사 및 지역사회복지사, 재가요양보호사 등과 합동 간담회 등을 진행하였으나 서비스 영역의 시각의 차이를 좁히는 것의 어려움을 공감함. 특히 서비스 제공자 간 뚜렷한 업무분장 등으로 인하여 통합적 tool의 적용에 대하여 심화연구의 필요성에 합의하게 됨 ○ 또한 지역사회에서 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와 복지의 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어 통합적 교육 및 팀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간 교류가 간헐적으로 가능하기는 하나, 통합적 중재 tool을 제시해도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시범사업 등의 방법이 강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음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 - 기존 간호와 복지 영역은 각각의 전문성이 확고하여 지식 및 기술의 교류가 어려웠던 상황임 - 노인대상 서비스는 노인의 요구도에 따라 의료와 복지가 결합할 수 밖에 없는 영역으 로 본 연구를 통해 상호 학문적 교류가 활발해 질 것으 ...
□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 - 기존 간호와 복지 영역은 각각의 전문성이 확고하여 지식 및 기술의 교류가 어려웠던 상황임 - 노인대상 서비스는 노인의 요구도에 따라 의료와 복지가 결합할 수 밖에 없는 영역으 로 본 연구를 통해 상호 학문적 교류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 - 간호학회, 복지학회 등 연구 성과물을 교차발표 혹은 합동 발표함으로써 학문의 영역을 넓히는데 기여 -간호복지학회 등 각 학문의 복합적 성격을 활용한 학회 설립 가능성 탐색
○ 중재 tool 개발모색을 통해 부산 소재 1개 기관에서 시범운영 시행 - 연구 과정에서 시범운영을 시행하여 실제 노인재가서비스 제공기관에서의 간호사정tool과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실시 -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에게 기본적인 간호용어 교육 실시, 욕구사정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서비스 품질향상을 시도 - 지역기반 노인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서 활용
○ 시스템 혁신·전환의 사례로서 활용 - 노인돌봄서비스 관련 전환을 선도하는 Niche로서 활용 - 지역전문가 집담회 개최 등을 통해 networking형성, 본 사례의 확산도구로 이용
○ 간호·복지 연계 교과목 개발 - 노인복지 및 사회복지 전공학생과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공통교 과목을 개발, 2016년 노인복지보건실무 과목을 개설 - 노인복지서비스 및 전달에 있어서 각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정도구 및 평가도구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통합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