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혼인이주자와 이주노동자에 관한 통합적 연구기반 구축과 다학제적 분석
Constructing Research Infrastructu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arriage Immigrants and Labor Migra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347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두섭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유정균(한양대학교)
유삼현
김한성(한양대학교)
이윤석(서울시립대학교)
계봉오(국민대학교)
이선민(Univ. of Maryland at College Park)
최율
김상학(한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과제는 소형단계에서 이주자에 대한 문헌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자에 대한 다학제적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 소형단계에서의 연구활동은 향후 중장기적 연구로 발전하기 위한 구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사업단은 이주자 및 다문화 연구의 허브(hub)기관으로 발전하고 사회정책적 대안모색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이주 및 다문화 연구의 활성화와 신진연구자 양성이라는 중형단계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아카이브 및 DB의 보완과 체계적 관리: 이주민 연구는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실증적인 자료에 의존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질 높은 자료의 생산과, 생산된 자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집과 보급은 이주 및 다문화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이다. 이 연구는 소형단계에서 구축한 이주민 아카이브와 DB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관리하여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의 확대 및 해외 소수민족 자료의 확보: 본 연구사업단은 중형단계에서 다문화의 지평을 넓혀 연구주제와 대상을 확대하고, 해외 소수민족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할 계획이다. 우선, 그 동안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어왔던 이주민 2세대의 사회적 적응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를 강화한다. 아울러 외국의 소수민족을 연구대상 집단에 추가하고, 이주 및 다문화 현상의 국제적 비교연구를 추진한다. 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혼인이주자 및 그 가족의 귀환이동(return migration)과 현지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셋째, 교내 연구소 및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그 동안의 이주 및 다문화 연구는 소홀한 관심과 집대성된 DB의 부재로 인해 전문가 양성에 미흡했다. 이주와 다문화 연구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과제의 연구진은 2012년에 이미 ‘한양대 SSK 다문화사업단(CSMR)’을 결성하였다. 그리고 2013년에는 한양대학교에 ‘미래사회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해왔다. 본 연구사업단은 한양대학교에 새로이 설립한 교내 연구소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참여 연구진이 소속한 한양대, 경희대, 국민대에서 이주와 다문화에 관련된 대학원 교과과정을 공동으로 운영하여 신진연구자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 연구과제의 수행과정에서 이주민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 이를 교육재료로 활용하거나 널리 보급하는 것 역시 이주 및 다문화 전문연구자의 확충과 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넷째,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이 연구과제는 소형단계에서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이탈리아, 중국, 대만, 태국,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가의 이주민 연구자들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중형단계에서는 소형단계에서 구축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국제학술행사를 개최하고, 국제협력연구와 인적교류를 더욱 확대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사업단은 중형단계에서의 성공적인 과제수행을 통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기대효과를 거두기를 기대한다. 첫째,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이주민 연구의 확산: 본 연구과제를 통해 사회학, 사회복지학, 여성학, 인류학, 경제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이주민 증가로 대변되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종합적인 맥락에서 이해,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들을 촉진할 수 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축적된 여러 분야의 원자료(raw data) 활용을 통해, 이주 및 다문화 연구의 학문적, 정책적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아카이브와 DB 구축을 통한 이주민 연구의 활성화 기반 마련:이주민 연구에서 는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실증적인 자료의 중요성이 더 부각된다. 양질의 자료 수집, 생산 및 생산된 자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집, 관리, 보급은 그런 의미에서 이주민 연구의 핵심적인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사업단이 추구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이주/다문화 관련 자료를 집대성하여 아카이브와 DB로 구축하고 이를 여러 연구자들에게 개방한다면, 개별 연구자들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효율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활성화된 연구환경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주/다문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셋째, 학문후속세대의 양성 및 이주/다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강화: 이주/다문화 연구의 지속적인 확대는 궁극적으로 이 연구주제를 전문적으로 연구, 교육하는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에 달려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물에 대한 단순한 나열과 수집을 극복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축적을 통해 신진연구자들의 연구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사업단은 그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이주/다문화 관련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아카이브와 원자료 DB를 구축, 보급함으로써 이주/다문화 분야의 전문연구자들은 물론 학문후속세대를 훈련시키고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자료들을 이해하기 쉬운 자료집 형태로 제작, 배포함으로써 각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유용한 교육자료와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주민 연구의 국제적 교류거점으로 성장: 이주민 증가와 다문화는 한국사회만의 고립된 현상으로 다뤄질 수 없으며, 국제이주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나라들과의 지속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만 종합적 연구수행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과제의 연구책임자와 연구팀은 지금까지 다양한 대내외 교류활동을 수행해 왔으며 이를 통해 이주/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교류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왔다. 아울러 본 연구사업단이 구축하는 이주/다문화 관련 조사자료는 국내 연구자뿐만 아니라 외국의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에게도 개방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연구자료의 개방은 국제협력연구와 국제비교연구를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연구책임자는 이탈리아의 연구자들과 1단계 공동연구를 완료하였으며, 2014년 6월 유럽인구학대회(European Population Conference 2014)에서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본 연구사업단은 이러한 활동들을 바탕으로 이주/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거점으로 성장하는 전략을 추구한다. 다섯째, 인구정책 및 사회정책 입안에 기여: 본 연구과제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중요한 쟁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주/다문화 현상을 일차적인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혼인이주자, 국제 이주노동자, 다문화가정 출생 아동들은 학문적으로 중요한 탐구영역인 동시에 국가적으로도 매우 시급한 정책과제의 대상이다. 최근 이들 집단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이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기는 하지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망과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아직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제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국제결혼과 국제노동이주의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파급효과에 대한 효율적인 정책대안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추후 인구학적 변화의 장기적인 전망과 계획을 수립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사업단의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들이 청와대, 보건복지부, 법무부, 통계청 등의 정부기관에서 정책입안과 평가를 위한 자문위원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정책대안 제공의 현실성은 그리 낮지 않다.
  • 연구요약
  • 이 연구과제는 소형단계에서 축적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이주민 연구의 기반을 더욱 확장, 심화시켜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허브(hub)기관으로 성장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주자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을 공고히 하고, 이주자 연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우선, 이주민 연구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문헌 아카이브와 자료 DB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간다. 국내 자료의 발굴은 물론, 해외 자료의 발굴과 수집, 교환을 통해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를 위한 글로벌 DB센터로의 발돋움을 추구한다. 또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관리와 보급을 통해 연구자들이 더 쉽게 관련 문헌과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본 연구과제는 중형단계에서 다문화의 지평을 넓혀 중국 소수민족과 아시아계 미국인 등을 연구대상 집단에 추가한다. 아울러, 그 동안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어왔던 이주민 2세대의 사회적 적응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혼인이주자 및 그 가족의 귀환이동(return migration)과 현지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또한 이주 및 다문화 현상의 국제적 비교연구를 추진하고 해외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사업단은 중국 貴州大學과 협력하여 2014년 7월에 貴州省 苗族에 대한 현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외국 소수민족에 대한 분석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학문후속세대의 내적 육성과 글로벌 연구네트워크의 외적 확산을 동시에 추구한다. 본 연구사업단이 한양대학교에 새로이 설립한 연구소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대학원생들의 연구능력을 배양시키고, 해외기관과 협력하여 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과제의 강화된 교육 기능을 통해, 국내의 후속세대들과 해외의 연구기관 및 학자들과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이주자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연구의 기반을 확장, 심화시켜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허브(hub)기관으로 성장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주자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을 공고히 하고, 이주자 연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우선, 이주민 연구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문헌 아카이브와 자료 DB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간다. 국내 자료의 발굴은 물론, 해외 자료의 발굴과 수집, 교환을 통해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를 위한 글로벌 DB센터로의 발돋움을 추구한다. 또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관리와 보급을 통해 연구자들이 더 쉽게 관련 문헌과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아울러, 학문후속세대의 내적 육성과 글로벌 연구네트워크의 외적 확산을 동시에 추구한다. 본 연구사업단은 대학원생들의 연구능력을 배양시키고, 해외기관과 협력하여 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과제의 강화된 교육 기능을 통해, 국내의 후속세대들과 해외의 연구기관 및 학자들과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이주자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 영문
  • This project intends to strengthen research infrastructu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for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continue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hub organization of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research. The major tasks and contents of this pro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nstruct an archive and a quantitative database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research and share with other researchers working on this subject.
    2. Pursue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is subject, and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se phenomena.
    3. Bring up favorite and nurturing research environment for the next generation researchers working on this subject.
    4.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and cooperation with the major research institutions worldwide and build up a global research network.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과제는 이주자 및 다문화 연구의 허브(hub)기관으로 발전하고 사회정책적 대안모색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았다. 이주 및 다문화 연구의 활성화와 신진연구자 양성을 위한 구체적 실천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이주민 아카이브 및 DB의 보완과 체계적 관리: 이주민 연구는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실증적인 자료에 의존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질 높은 자료의 생산과, 생산된 자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집과 보급은 이주 및 다문화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이다. 이 연구는 소형단계에서 구축한 이주민 아카이브와 DB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관리하여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둘째,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의 확대 및 해외 소수민족 자료의 확보: 본 연구진은 중형단계에서 다문화의 지평을 넓혀 연구주제와 대상을 확대하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그 동안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어왔던 이주민 2세대의 사회적 적응과 통합 문제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였다. 아울러 외국의 소수민족을 연구대상 집단에 추가하고, 이주 및 다문화 현상의 국제적 비교연구를 추진하였다.
    셋째, 교내 연구소 및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그 동안의 이주 및 다문화 연구는 소홀한 관심과 집대성된 DB의 부재로 인해 전문가 양성에 미흡했다. 이주와 다문화 연구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과제의 연구진은 2012년에 이미 ‘한양대 SSK 다문화사업단(CSMR)’을 결성하였다. 그리고 2013년에는 한양대학교에 ‘미래사회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해왔다. 이를 통해 한양대학교 내 연구소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주와 다문화에 관련된 대학원 교과과정을 운영하였다. 이 연구과제의 수행과정에서 이주민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 이를 교육재료로 활용하거나 널리 보급하는 것 역시 이주 및 다문화 전문연구자의 확충과 양성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판단된다.
    넷째,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이 연구과제는 소형과 중형단계에서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이탈리아, 중국, 대만, 태국,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가의 이주민 연구자들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혼인이주자를 포함하는 외국인 이주자를 주제로 하는 중형과제의 연구기간 전문학술서적 1권과 외국인 통계 관련 단행본 8권(영문 단행본 2권 포함)을 출판하였으며, 20편의 논문을 등재학술지, 그리고 11편의 논문을 외국학술지(SCOPUS 및 SSCI 급 10편 포함)에 게재하였다. 그리고 4개국 학자 10명이 참여한 국제학술대회, 외국 대학과의 연합세미나(중국에서 개최), 그리고 월례 CSMR 콜로키움을 총 28회(발표자 85명) 개최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신진 연구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아울러 총 103회(국내 63회, 국외 40회)에 달하는 각종 형태의 학술발표가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 색인어
  • 데이터 베이스(DB), 아카이브(archive), 원자료(raw data), 학제간 분석, 다학제적 접근, 국제결혼, 외국인배우자, 혼인이주여성, 외국인노동자, 이주노동자, 다문화,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정, 결혼안정성, 문화수용, 문화동화, 민족적 정체성, 외국인아내의 출산력, 외국인이주자의 복지, 외국인이주자의 건강, 외국인이주자의 사회참여, 다문화가족 청소년, 결혼지속기간, 동질혼, 이질혼, 결혼만족도,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태도,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차별, 사회적 거리감 척도, 거주지역의 민족구성, 소수민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