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의 유형론적 연구
A Typological Study on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Sentenc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5625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선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영어, 독일어, 중국어 그리고 아랍어 등 세계 주요 언어의 문장 유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언어유형론적 보편성을 탐구하는 것이 그 일차적 목표이다. 위의 4개 개별언어를 선정한 이유는 우리말(한국어)과 지원자의 전공인 영어를 기준으로 하되 유형론 연구가 가장 활발한 독일어를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또한 중국어는 고립어여서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톡한 현상을 보이고 상대적으로 유형론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랍어의 분석은 언어 보편성을 찾고자 하는 본 연구에 의미 부여를 할 것이다.
    언어는 인간사회에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이기에 개별 언어현상의 유형론적 비교 연구는 언어학의 기본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문장 유형으로는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명령문, 감탄문, 기원문 등을 들 수 있으며 언어에 따라 이들 문형들이 특별한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특별한 형식이란 억양, 동사의 변화형태, 어순, 특수첨사 등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관찰되는 기본적인 문장유형인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에 한정하여 개별언어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최종적 목적은 지금까지 잘 시도하지 않았던 유형론적 관점에서 영어의 문장 유형을 분석하여 이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장 유형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기 때문에 문장 유형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영어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할 대상의 언어는 유형론적 연구가 비교적 활발한 독일어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중국어와 아랍어이다. 나아가 연구 결과는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고 학문 후속 연구를 파생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이 측면의 효과는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미진하기 때문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지원자는 소속 대학 설강 교과목 수업에서 ‘기초영어’, ‘취업영어’, 그리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우리말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기초영어와 취업영어는 문법을 탄탄히 하여 영어 실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영어의 문장 유형에 대한 연구를 일차적으로 마쳤기 때문에, 이차적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개별 언어와의 비교·분석을 하는 것은 영어의 보편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어와 우리말, 그리고 세계 주요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연구 성과는 강의실에서 그대로 나타날 것이다.
  • 연구요약
  • 문장유형에는 평서문, 의문문, 부정문, 명령문, 감탄문, 기원문 등이 있으며 언어에 따라 이들 문형들이 특별한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언어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의 세 가지 기본유형을 형태적으로 구별한다(Sadock et al, 1985).
    평서문은 사태의 묘사나 진술을 나타내는 중립적인 문장을 말한다. 어느 언어에서나 평서문은 중립적이며 무표적인 문장이므로, 이로부터 의문문이나 명령문과 같은 유표적인 문장이 만들어진다. 의문문은 상대방에게 답을 요구하는 문장 유형이다. 이렇게 상대방에게 답을 요구하는 것은 의문문의 가장 전형적인 용법이며, 이외에도 완곡한 명령이나 권유 또는 강한 진술을 나타내는 용법도 있다. 명령문은 상대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서법인데, 요청, 명령, 제안 등에 사용된다. 분석 대상 언어에서 보이는 명령문의 특징을 유형론적으로 분석한 후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을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차례-
    1. 평서문
    1.1 술어의 기본형
    1.2 기본 어순
    2. 의문문
    2.1 yes-no 의문문
    2.2 의문사 의문문
    2.3 부가 의문문
    3. 명령문
    3.1. 명령문의 특징
    3.2 부정 명령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이 영어, 독일어, 중국어 그리고 아랍어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평서문은 동사원형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고 동사가 변화하는 언어도 있다. 또한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은 7 가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억양의 변화, 특수 첨사(particle)의 사용, 보조동사 사용, 어순의 변화, 동사 어미변화, 이접구조(disjunctive construction)의 사용, 의문사의 사용이 그것이다. 명령문은 가장 간단한 동사형태를 사용한다는 것과 주어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며 언어에 따라 그밖에 특수한 변화들이 있었다.
  • 영문
  • This is to survey how the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sentences are realized mainly among English, German, Chinese and Arabic. In declarative sentences, root verb forms and their variants are mostly used. Seven different ways to mak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found; intonation, special particles, auxiliaries, word order, verb-endings, disjunctive construction, and an interrogative. Simple verb forms and deleting a subject are universal characteristics to make imperativ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장 유형중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으로 한정하여 언어별 실현양상을 조사한 후 유형론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평서문은 동사원형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고 동사가 변화하는 언어도 있다.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은 7 가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억양의 변화, 특수 첨사(particle)의 사용, 보조동사 사용, 어순의 변화, 동사 어미변화, 이접구조(disjunctive construction)의 사용, 의문사의 사용이 그것이다. 명령문은 가장 간단한 동사형태를 사용한다는 것과 주어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며 언어에 따라 그밖에 특수한 변화들이 있다.

    1. 평서문
    영어 평서문에서는 단수 3인칭을 제외하면 술어의 현재형은 기본형과 같고 과거형은 모두 어미 ‘-ed’를 취한다. 독일어는 주어의 인칭과 수 그리고 문장의 시제에 따라 술어(동사)가 어미변화를 한다. 중국어는 대표적인 고립어로서 술어로 쓰이는 어류들이 기본형을 갖지 않으며 시제나 법, 상 등을 나타내기 위한 형태가 발달되어 있지도 않다. 평서문은 중국어 문법에서 진술문이라 불려지고, 서술, 묘사, 설명, 논의(논설)성의 문장을 포괄한다. 중국어의 평서문은 SVO의 기본 어순을 유지하며 한국어에서 볼 수 있는 평서문 표지는 특별히 가지고 있지 않다. 아랍어에서 명사나 형용사로 구성되는 명사문 문장에서는 계사가 사용되지 않는다. 즉 “A는 B이다”와 같은 간단한 문장에서는 “-이다(영어의 be동사)”와 같은 계사는 아랍어에서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 시제의 명사문 문장에서는 조동사 kāna가 계사로 쓰인다.
    이를 요약해 보면, 결과, 개별언어에서 기본형의 어미가 별도로 있는 언어는 독일어이다. 기본형의 어미가 별도로 없는 언어로는 영어와 중국어가 해당되며 아랍어는 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을 기본형으로 보는 특수한 경우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의문문
    유형론적으로 보자면 의문문은 선택의문문(yes-no question), 의문사 의문문(wh question), 그리고 부가 의문문(tag question)으로 분류된다. 의문문을 만드는 전형적인 방법은 평서문에 의문을 나타내는 첨사를 붙이는 것이다. 이외에도 의문문을 만드는 표지를 다음과 같이 구별할 수 있는데, 이 표지들은 하나의 의문문에 중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의문첨사, 동사활용, 어순, 의문 조동사, 억양, 의문의 꼬리말.
    한국어에서 yes-no 의문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억양, 의문첨사/어미, 이접구조 및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영어에서는 억양, 어순, 그리고 의문 보조사 ‘do’를 사용하여 yes-no의문문을 실현한다. 한편 독일어에서는 억양, 어순만으로 실현하고 있다.
    영어에서 의문사 의문문은 일반적으로 when, what, where, who, which, how등과 같은 의문사로 시작된다. 이때 청·화자가 관련된 사건이나 상태에 관한 명제에 대해 공유하는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 의문문은 wh-구성소에 의해 빠지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기대하는 질문이다. 이때 빠진 부분이 초점이 되는데 초점은 주로 주어, 목적어, 동사, 술어, 부사, 간접목적의 시간, 장소, 방법, 이유 등이 될 수 있다. 독일어의 wh-의문문에서 의문사가 맨 앞에 위치하고 동사는 두 번째에 위치한다. 중국어는 ‘誰(who), 什麽(what), 幾(how), 爲什麽(why)’ 등 많은 의문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이용해서 의문문을 만든다. 이때 의문문 표지 ‘嗎’를 쓰지 않으며, 의문사의 위치는 문장 앞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국어와 같이 평서문의 위치를 유지한다.

    3. 명령문
    영어 명령문의 전형적인 특징으로는 첫째, 주어가 없다는 점과 둘째, 동사의 기본형 또는 흔하지는 않지만 조동사의 기본형에 적절한 동사형태가 뒤따른다는 점이다. 독일어 명령문은 2인칭 단수, 복수, 존칭으로 나눌 수 있는데, 2인칭 단수의 경우 어미변화가 직설법과 다르다. 영어와 같이 명령문의 주어는 보통 생략하지만, 존칭에 대한 명령에서는 주어가 생략되지 않는다. 이때 어순이 ‘동사+주어’의 순서가 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어는 다른 언어의 명령문과 마찬가지로 보통 2인칭에서 주어 없이 쓰인다. 동사변화어미 같은 특별한 표지는 물론 없으며 문장 끝에 ‘吧’를 사용하면 어조가 완화된다. 아랍어의 2인칭에 대한 명령법은 현재동사 요구법(혹은 단축법)의 접두사 ta-를 생략하고 제2어근의 모음(특징모음)이 u이면 동사어두에 ?u를, a나 i면 동사어두에 ?i를 붙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잘 시도하지 않았던 유형론적 관점에서 영어의 문장 유형을 분석하여 이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장 유형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기 때문에 문장 유형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영어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할 대상의 언어는 유형론적 연구가 비교적 활발한 독일어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중국어와 아랍어이다. 나아가 연구 결과는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고 학문 후속 연구를 파생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이 측면의 효과는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미진하기 때문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지원자는 소속 대학 설강 교과목 수업에서 ‘기초영어’, ‘취업영어’, 그리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우리말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기초영어와 취업영어는 문법을 탄탄히 하여 영어 실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영어의 문장 유형에 대한 연구를 일차적으로 마쳤기 때문에, 이차적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개별 언어와의 비교·분석을 하는 것은 영어의 보편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어와 우리말, 그리고 세계 주요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연구 성과는 강의실에서 그대로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성과를 강의에 활용하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과 외국인 학생들의 우리말 글쓰기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은 학생들에게 겉도는 문법 설명이나 암기식 수업에서 벗어나 언어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이해하게 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문장유형,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어순, 억양, 특수 첨사, 보조동사, 동사 어미, 이접구조, 의문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