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
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Korean Sign Languag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0360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지룡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이제까지 우리학계(국어학, 언어학, 영어학, 특수교육학)에서 제대로 논의되지 않은 ‘한국 수어(Korean Sign Language, KSL)’의 구조(형식)와 의미(내용) 간에 존재하는 ‘도상적 의미 특성(圖像的 意味 特性, iconic semantic property)’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기본 개념인 ‘수어’와 ‘도상성’의 성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어(手語, sign language)’는 ‘수화(手話) 언어(言語)’의 줄임말로 농인(聾人)들의 의사소통을 위한 손짓 중심 언어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수화(手話)’라는 용어를 사용해왔는데, ‘언어(言語)’로 인정받지 못한 한계를 지니다가 ‘한국수어법안’이 2015.12.31. 국회에서 통과되고 ‘한국수화언어법’이 2016.2.3.에 공포되면서 ‘수어(手語)’가 법정 용어로 공인되었다. 즉 농인들의 “나는 말하고 있다!”라는 구호에서 보듯이, ‘한국 수어’는 ‘한국어’와 법적으로 동등한 자격을 부여 받게 되었다. 둘째, ‘도상성(圖像性, iconicity)’은 ‘도상 기호(icon sign)’에서 유래한 것으로, 언어의 구조(형식)가 의미(내용)와 체계적으로 닮은 현상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자의성(恣意性, arbitrariness)’에 대립되는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이다.
    이 과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4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화언어법’이 공포되면서 수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어 연구는 주로 특수교육 및 수어통역교육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는데, 수어의 본질에 대한 언어학적 뒷받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수어의 언어학적 연구를 보면 음운, 형태, 통사 연구가 대부분인데, 언어는 형식과 의미의 양면으로 이루어지고 의미소통은 의미를 생산하고 이해하는 것이므로 수어의 본질에 대한 의미론적 뒷받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수어의 형태와 의미 간의 상관성과 닮음, 즉 도상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수어는 손짓과 표정에 의해 표현되며 시각으로 이해되므로, 팬터마임과 같이 그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닮은 현상인 도상성이 현저하다. 이것은 자연언어와 구별되는 수어의 특징인데, 자연언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는 자의성이 일반적이다. 이에 수어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수어의 어휘와 문장에 나타나는 도상적 양상과 그 의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언어 연구의 새로운 관점인 ‘인지언어학’에서는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나타나는 상관성, 즉 도상성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방법론을 수어 연구에 적용하여 수어의 본질과 의미 특성을 밝히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자연언어를 대상으로 한 도상성의 연구를 수어에 적용하는 것은 도상성이나 인지언어학 연구의 지평을 넓힌다는 점에서도 필요한 일이다. 넷째, ‘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 추진위원회’에서 󰡔한국수화사전󰡕(2007)의 6,885개의 어휘, 󰡔한국수화 문형사전󰡕(2008)의 5,028개 문장을 만들어 표준화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이에 대한 수어의 도상적 양상과 의미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수어의 더 좋은 어휘․문장․담화 사전을 만들고, 더 체계적인 수어 교육을 통해 35만의 농인(聾人) 상호간, 그리고 농인과 청인(廳人) 간의 정확하고 쉽고 풍부한 의사소통의 기본권을 제공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구체적인 목표를 갖는다. 첫째, 󰡔한국수화사전󰡕(2007)의 6,885개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의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둘째, 󰡔한국수화사전󰡕(2007)의 6,885개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셋째, 󰡔한국수화 문형사전󰡕(2008)의 5,028개 문장을 대상으로 수어 문장의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넷째, 위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수어에 대한 더 좋은 어휘사전과 문장사전을 만들고, 수어 담화사전 편찬과 수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 기대효과
  • 종래 언어 연구는 언어 사용자인 인간의 신체성이나 경향성 및 전략에 기초한 탐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흐름의 대안으로서 최근 인문학 분야에서는 언어의 기반으로서 사용주체자인 인간의 신체 및 정신, 그리고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인지언어학(Cognitive Linguistics)’ 또는 ‘인간 중심적 언어학(anthropocentric linguistics)’의 담론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이 연구에서는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을 밝힘으로써 의미 연구 및 수어 교육의 새 지평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 연구에서 계획한 바가 성공적으로 완결되면 다음과 같은 학문적 기여도가 예상된다.
    첫째, 한국어의 또 다른 범주인 ‘수어’의 도상성, 즉 수어의 형식과 내용 간의 닮음을 통해 도상적 양상과 그 의미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수어의 본질을 밝히게 된다. 둘째, 한국 수어와 북한 손말, 그리고 미국 수어, 중국 수어, 일본 수어, 스페인 수어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의 귀중한 정보를 확보하게 되며, ‘글로벌 수어’ 제정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셋째, 정확하고, 쉽고, 풍부한 수어 어휘사전과 문장사전, 나아가서 담화사전 편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현재 표준화된 한국 수어사전의 올림말은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 󰡔일상생활 수화 1-5󰡕의 7,195, 총 14,080개에 지나지 않고(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의 올림말은 50여만 개),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문장은 5,028개에 불과하므로, 장차 더 풍부한 수화 사전을 만들 필요가 있다. 넷째, 도상성의 기제로써 ‘음성언어(그리고 문자언어 및 전자언어)’와 ‘수어’ 간의 공통성과 특이성을 확보하여 연구와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다섯째, 도상성과 수어를 중심으로 국어학․언어학․영어학․기호학․심리학․사전편찬학․특수교육학 등에 걸쳐 ‘학제적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의 전형적인 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새로운 소통을 자극하고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여섯째,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내용을 국내학계(국어학․언어학․영어학․기호학․심리학․사전편찬학․특수교육학) 및 국제 언어학계와 공유함으로써 수어 연구 및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희귀한 학문분야 및 소외된 학문분야의 연구를 자극하고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학문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며, 이를 국제 언어학계에 전파함으로써 우리 학계의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서 학문의 국제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에 대한 이 연구가 완결되면 다음과 같은 사회적 기여도가 예상된다.
    첫째, 정확하고 쉽고 풍부한 한국 수어의 어휘사전, 문장사전, 담화사전 편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둘째, 수어 교육을 통해 농인들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셋째, 수어 교육을 통해 농인과 청인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넷째, 이 연구의 과정과 방법론에 따라 도출된 도상적 의미 특성을 언어․의미․사전편찬․특수교육 등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오늘날 크나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 극복 방안의 전형적 모형을 마련하게 된다. 요컨대 이제까지 대학의 연구실 및 강의실에서 이루어진 인문학의 귀중한 연구 성과들은 그 주제나 원리의 제한성과 난해성으로 인해 일반 사회에 관심을 환기하고 환원하는 데 실패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의 성과는사회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우월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이제까지 시도된 바 없는 ‘한국 수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존재하는 닮음, 즉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히려는 기획이다. 첫째,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의 어휘, 그리고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5,028개 문장이다. 둘째, 이들 수어 자료를 대상으로 어휘 층위와 문장 층위에 나타나는 도상적 양상을 유형화하고, 자연언어와 수어의 도상성 간에, 그리고 한국 수어와 다른 나라 수어(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간에 나타나는 공통성과 특이성을 통해 한국 수어의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셋째,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한국 수어의 어휘․문장․담화사전 편찬, 수어 공동체 간의 의사소통 증진, 수어 교육, 도상성과 관련한 인지언어학의 지평 넓히기에 활용한다.
    제1차년에는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의 어휘에 대한 도상적 양상을 분류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인 ‘도상성(iconicity)’의 성격과 유형을 규정한다. (1) 한국 수어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인 도상성의 성격과 유형을 규정한다. (2) 도상적 수어의 생산 과정을 밝힌다. 둘째, 한국 수어의 도상적 양상을 영상적, 구조적, 거리적 도상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밝힌다. 셋째,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 규명한다. (1) 자연언어 대비 수어의 도상성 정도를 밝힌다. (2) 자연언어에서 단일어는 ‘집’, ‘나무’와 같이 형태와 의미 관계가 자의적이지만, 수어의 경우 도상적인데 그 정도를 밝힌다. (3) 수어 도상성의 특성을 밝힌다. 즉 수어의 경우 영상적, 구조적, 비유적 도상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 및 세 가지 유형의 활성화 정도, 환유적 도상성에서 부분→전체, 전체→부분의 활성화 정도, 은유적 도상성에서 구조적, 존재론적, 방향적 은유의 활성화 정도 및 그 까닭을 밝힌다. (4) 한국 수어와 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수화 간의 공통성과 특이성을 대조하여 문화 간 변이의 의미 특성을 밝힌다.
    제2차년에는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 어휘를 대상으로 한국 수어에 나타나는 의미관계의 도상적 양상을 규명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 의미관계인 다의관계, 동음이의관계, 동의관계, 대립관계, 하의관계, 부분관계의 도상적 양상을 규명한다. 둘째, 한국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1) 자연언어와 한국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을 규명한다. (2) 한국 수어와 타 문화권(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을 밝힌다.
    제3차년에는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5,028개 문장을 대상으로 한국 수어 문장 층위에 나타나는 도상적 양상을 규명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원리를 규명한다. (1) 수어 문장과 자연언어 문장 간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밝힌다. (2) 수어 문장은 내용어의 개념 중심으로 문장을 구성하므로 문장의 구조와 의미가 상관성을 띠는데, 자연언어의 문장에 비해 도상적 경향성의 정도를 밝힌다. 둘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양상을 양적, 순서적, 거리적 도상성에 따라 규명한다. 셋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1) 수어 문장의 도상적 경향성 (2) 수어와 자연언어 문장 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 (3) 도상적 수어 문장과 자연언어 문장 간의 완결성 정도 (4) 한국 수어와 타 문화권 수어 문장 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 넷째, 1∼3차년의 연구 내용을 종합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한국 수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존재하는 닮음, 즉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히려는 기획이다.
    먼저, 󰡔한국수화사전󰡕(2005/2007)을 대상으로 하여 이 사전 및 수록된 수어 어휘의 성격과 됨됨이를 해석하였다. 첫째, 이 사전의 기본 정보로 두 판본의 동일함, 표제어 6,812개에 대한 어종, 어법의 통계치를 밝혔다. 둘째, 이 사전의 수어 어휘 구성을 수어 그림 형태를 중심으로 한 종류의 그림에 대한 1-4가지 형태와 두 종류 그림에 대한 3가지 형태의 통계치를 밝혔다. 또한, 수어 어휘의 의미 관계인 다의어, 동형어, 반형어, 상하위어의 성격을 밝히고 해석하였다. 셋째, 이 사전의 수어 어휘 6,812개와 대조군 ‘한국어 학습용 어휘’ 5,965개의 상관성을 밝혔는데, 공통 어휘는 2,809개(41.24%)이며, 이 사전에만 있는 개별 어휘는 4,003개(58.76%)이다. 개별 어휘의 많은 부분은 어려운 한자어 및 지난 시대의 문물과 제도에 관련된 것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 넷째, 이 사전의 의의는 최초의 표준 수어 사전으로 농인과 청인 및 농인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어 교육과 연구의 소중한 텍스트라는 점이다. 이 사전의 한계는 기술의 과정에서 일관성을 어기거나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제어가 기초어휘 및 기본어휘의 기준에서 벗어나 표준 수어 사전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한국수화사전󰡕(2007)의 수어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 의미 관계의 양상과 특성을 살폈다. 첫째, 음성언어의 다의어 및 동음이의어는 수어에서 의미 변이가 2-3개 국면으로 제한되는 다의어, 한 단어에 수어 그림이 2가지인 동의어, 음성언어의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별개의 표제어로 구분한 것으로 실현된다. 둘째, 수어의 동형어는 음성언어의 동의어 및 유의어, 동사의 유형이 다르거나 품사가 다른 어례, 환유적 어례, 의미상 무관하지만 어원 정보가 닮은 어례인데, 이들은 동의어가 아니다. 수어의 동의어는 표준 수어와 지역 수어, 남북한 수어, 하나의 수어 단어가 2가지 다른 방식의 형태를 갖는 경우이다. 셋째, 수어의 반형어는 대립의 정도에 따라 원형적인 보기에서 주변적인 보기에 이르기까지 정도성을 지니며, 음성언어의 ‘대립어’ 또는 ‘반의어’가 수어에서 반형어가 아닌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넷째, 수어의 상위어는 하위어의 ‘원형적 동작․구성원’과 ‘여러 가지’를 결합하거나 이항 대립의 두 하위어를 합성하며, 하위어는 ‘상위어’와 ‘개체의 특징적 성질’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동기화되어 있다.
    끝으로, 󰡔한국수화사전󰡕(2007)의 수어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의 비유적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을 살폈다.첫째, ‘도상성’은 ‘자의성’과 대립되는 용어로, 언어 기호의 형태가 의미와 체계적으로 닮아 있음을 뜻한다. 둘째, 수어의 비유적 도상성은 환유적 도상성과 은유적 도상성으로 분류된다. 셋째, 환유적 도상성은 ‘돼지 코→돼지’처럼 ‘부분→전체’로 실현된다. 넷째, 은유적 도상성은 구조적 및 방향적 도상성으로 하위 분류된다. 전자는 ‘봉사=드리다’와 같은 동형관계에서 “봉사는 드리다”와 같은 구조적 은유가 실현된다. 후자는 ‘위/아래’, ‘안/밖’, ‘앞/뒤’, ‘좌/우’, ‘개/폐’와 같은 방향적 은유에서 실현되는데, 이 유형은 비유적 수어의 은유적 도상성의 주류를 이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xplore the iconic aspects and semantic properties of Korean Sign Language.
    Fistly, this project reports on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2005/2007) and the sign language listed within. First, the two editions of the dictionary are identical: both contain 6,812 entry words, of which 2,220(32.59%) are native words, 4,205 (61.73%) are Sino-Korean words, and 386(5.67%) are words of Western origin; furthermore, the statistics relating to the first and parallel parts of speech in the 13 categories are analyzed in terms of grammar-related information. Second, sign language compositions (i.e., one type and two types) are shown on the basis of sign language picture forms. Semantic relations of sign language vocabulary (polysemous words, homo-image words, anto-image words, superordinate and hyponym) are also revealed and interpret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6,812 vocabulary items in this dictionary and the 5,965 items of ‘Korean learning vocabulary’ is examined. The number of common vocabulary items is 2,809(41.24%), while the number of vocabulary items specific to this dictionary is 4,003(58.76%). Many of these latter items are relatively unfamiliar Sino-Korean words originating from early manifestations of Korean culture and its institutions. Fourth, this dictionar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andard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It therefore represents an important communication resource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as well as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m and interlocutors who have no hearing disability. The dictionary is also important for its facilitation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However, the study has identified a number of limitations: the dictionary includes various inconsistencies and errors, while many of the entry words are not part of a basic, fundamental vocabulary. In consequence, the dictionary can be said to fall below the reasonable expectations of its remit.
    Secondly, This project explores the aspects and properties of sign language semantic relations in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2007). First, semantic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n sign language because words secure their status and function through their mutual interactions with meanings or concepts. The uniqu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relationships within sign language are among the properties that characterize it as ‘a unique form of language.’ Second, polysemous and homonymous relations exhibit various types of characteristic aspects in sign language. (1) The type correspond to polysemous words in spoken language manifests two or three phases of semantic variation. (2) One interpretation, dual information sources and two kinds of sign language images for a word correspond to synonym. (3) Words assigning numbers to the polysemous words of the spoken language and homonymous words are depicted by a separate sign language image with a different headword. Third, there are four types of homo-image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in sign language, but are not synonyms: synonymous words of the spoken language, words that share meanings but may have different verb types or parts of speech, metonymic words, and words having similar etymological information without being synonymous. There are also three types of synonyms in sign language: two or more different forms with the same meaning found 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standard sign language and local sign language, sign langua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polysemous words in spoken language that have two kinds of sign language images for a word. Fourth, anto-image words in sign language have prototypical to peripheral examples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oppositeness, so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opposite’ or ‘antonym’ in the spoken language is not an antonym in sign language, and vice versa. Therefore, anto-image words in sign language do not always correspond to opposite or antonymous words in the spoken language. Fifth, superordinates of sign language combine ‘prototypical actions’ or ‘basic level members’ and ‘several kinds’, or compound two hyponyms of binominal opposition. On the other hand, hyponyms of sign language combine superordinates and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individual entitie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sign language and the spoken language shows a correlation, as do superordinates and hyponyms within sign language, being mutually motivated.
    Lastly, This project explores the figurative iconic aspects and semantic properties of sign language in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2007). First, ‘iconicity’ refers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tructure of a language systematically resembles its meaning.
    Second, figurative sign language iconicit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wo categories; metonymic iconicity and metaphoric iconicity. Third, metonymic iconicity realized extended reference as ‘the nose of pig’ represents ‘the pig’. Forth, metaphoric iconicity can also b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that is structural and orientational iconicity. The one realized in homo-image words as ‘봉사(service)’ and ‘드리다(give)’, that is “봉사(service) is 드리다(give)”. The other realized in orientational iconicity, for examples, ‘up and down’, ‘front and back’, ‘interior and exterior’, ‘right and left’, and ‘opening and shutting’. This type have become mainstream in metaphoric iconicity of figurative sign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 수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존재하는 닮음, 즉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히려는 기획이다.
    먼저, 󰡔한국수화사전󰡕(2005/2007)을 대상으로 하여 이 사전 및 수록된 수어 어휘의 성격과 됨됨이를 해석하였다. 첫째, 이 사전의 기본 정보로 두 판본의 동일함, 표제어 6,812개에 대한 어종, 어법의 통계치를 밝혔다. 둘째, 이 사전의 수어 어휘 구성을 수어 그림 형태를 중심으로 한 종류의 그림에 대한 1-4가지 형태와 두 종류 그림에 대한 3가지 형태의 통계치를 밝혔다. 또한, 수어 어휘의 의미 관계인 다의어, 동형어, 반형어, 상하위어의 성격을 밝히고 해석하였다. 셋째, 이 사전의 수어 어휘 6,812개와 대조군 ‘한국어 학습용 어휘’ 5,965개의 상관성을 밝혔는데, 공통 어휘는 2,809개(41.24%)이며, 이 사전에만 있는 개별 어휘는 4,003개(58.76%)이다. 개별 어휘의 많은 부분은 어려운 한자어 및 지난 시대의 문물과 제도에 관련된 것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 넷째, 이 사전의 의의는 최초의 표준 수어 사전으로 농인과 청인 및 농인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어 교육과 연구의 소중한 텍스트라는 점이다. 이 사전의 한계는 기술의 과정에서 일관성을 어기거나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제어가 기초어휘 및 기본어휘의 기준에서 벗어나 표준 수어 사전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한국수화사전󰡕(2007)의 수어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 의미 관계의 양상과 특성을 살폈다. 첫째, 음성언어의 다의어 및 동음이의어는 수어에서 의미 변이가 2-3개 국면으로 제한되는 다의어, 한 단어에 수어 그림이 2가지인 동의어, 음성언어의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별개의 표제어로 구분한 것으로 실현된다. 둘째, 수어의 동형어는 음성언어의 동의어 및 유의어, 동사의 유형이 다르거나 품사가 다른 어례, 환유적 어례, 의미상 무관하지만 어원 정보가 닮은 어례인데, 이들은 동의어가 아니다. 수어의 동의어는 표준 수어와 지역 수어, 남북한 수어, 하나의 수어 단어가 2가지 다른 방식의 형태를 갖는 경우이다. 셋째, 수어의 반형어는 대립의 정도에 따라 원형적인 보기에서 주변적인 보기에 이르기까지 정도성을 지니며, 음성언어의 ‘대립어’ 또는 ‘반의어’가 수어에서 반형어가 아닌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넷째, 수어의 상위어는 하위어의 ‘원형적 동작․구성원’과 ‘여러 가지’를 결합하거나 이항 대립의 두 하위어를 합성하며, 하위어는 ‘상위어’와 ‘개체의 특징적 성질’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동기화되어 있다.
    끝으로, 󰡔한국수화사전󰡕(2007)의 수어 어휘를 대상으로 수어의 비유적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을 살폈다.첫째, ‘도상성’은 ‘자의성’과 대립되는 용어로, 언어 기호의 형태가 의미와 체계적으로 닮아 있음을 뜻한다. 둘째, 수어의 비유적 도상성은 환유적 도상성과 은유적 도상성으로 분류된다. 셋째, 환유적 도상성은 ‘돼지 코→돼지’처럼 ‘부분→전체’로 실현된다. 넷째, 은유적 도상성은 구조적 및 방향적 도상성으로 하위 분류된다. 전자는 ‘봉사=드리다’와 같은 동형관계에서 “봉사는 드리다”와 같은 구조적 은유가 실현된다. 후자는 ‘위/아래’, ‘안/밖’, ‘앞/뒤’, ‘좌/우’, ‘개/폐’와 같은 방향적 은유에서 실현되는데, 이 유형은 비유적 수어의 은유적 도상성의 주류를 이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연구결과의 학문적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또 다른 범주인 ‘수어’의 도상성, 즉 수어의 형식과 내용 간의 닮음을 통해 도상적 양상과 그 의미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수어의 본질을 밝히게 된다.
    둘째, 한국 수어와 북한 손말, 그리고 미국 수어, 중국 수어, 일본 수어, 스페인 수어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의 귀중한 정보를 확보하게 되며, ‘글로벌 수어’ 제정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셋째, 정확하고, 쉽고, 풍부한 수어 어휘사전과 문장사전, 나아가서 담화사전 편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현재 표준화된 한국 수어사전의 올림말은 󰡔한국수화사전󰡕의 6,808개, 󰡔일상생활 수화 1-5󰡕의 7,195, 총 14,003개에 지나지 않고(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의 올림말은 50여만 개),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문장은 5,028개에 불과하므로, 장차 더 풍부한 수화 사전을 만들 필요가 있다.
    넷째, 도상성의 기제로써 ‘음성언어(그리고 문자언어 및 전자언어)’와 ‘수어’ 간의 공통성과 특이성을 확보하여 연구와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다섯째, 도상성과 수어를 중심으로 국어학․언어학․영어학․기호학․심리학․사전편찬학․특수교육학 등에 걸쳐 ‘학제적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의 전형적인 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새로운 소통을 자극하고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여섯째,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내용을 국내학계(국어학․언어학․영어학․기호학․심리학․사전편찬학․특수교육학) 및 국제 언어학계와 공유함으로써 수어 연구 및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희귀한 학문분야 및 소외된 학문분야의 연구를 자극하고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학문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며, 이를 국제 언어학계에 전파함으로써 우리 학계의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서 학문의 국제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연구결과의 사회적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하고 쉽고 풍부한 한국 수어의 어휘사전, 문장사전, 담화사전 편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둘째, 수어 교육을 통해 농인들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셋째, 수어 교육을 통해 농인과 청인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넷째, 이 연구의 과정과 방법론에 따라 도출된 도상적 의미 특성을 언어․의미․사전편찬․특수교육 등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오늘날 크나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 극복 방안의 전형적 모형을 마련하게 된다.
    요컨대 이제까지 대학의 연구실 및 강의실에서 이루어진 인문학의 귀중한 연구 성과들은 그 주제나 원리의 제한성과 난해성으로 인해 일반 사회에 관심을 환기하고 환원하는 데 실패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의 성과는 사회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우월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수어, 한국수화사전, 기본․기초어휘, 의미 관계, 다의어, 동의어, 동형어, 반의어, 반형어, 상하위어, 동기화, 도상성, 비유, 환유, 은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