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 성인남녀의 체표면적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장려금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908-C00052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09월 01일 ~ 200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주영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인의 체표면적 값을 정확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체표면적 실측 방법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둘째, 한국인 성인 남녀의 체표면적과 다양한 인체 계측 항목을 실측하여 체표면적과 인체 계측 항목들 간의 상관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체표면적 추정식을 산출하였으며, 셋째, 실측된 전신 체표면적 값을 기준으로 기존 체표면적 추정식들과 본 연구를 통해 유도된 체표면적 식의 오차 범위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 인체 치수 자료에 기초하여 다양한 한국인 체형의 대표성을 갖는 성인남녀 65 명 (남자 34 명, 여자 31 명)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전신 체표면적을 알지네이트 법으로 실측하였으며, 실측 결과를 전신 및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체도형을 대상으로 체표면적을 측정하는 세 가지 방법 (석고 붕대법, 종이 테이프법, 알지네이트 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세 방법 모두 통계적으로 타당도가 높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주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2. 전신 체표면적의 평균은 남자 18,339cm2 (15,416~22,753cm2), 여자 16,452cm2 (12,825~ 22,025cm2 ) 였다.
    3. 인체 부위별 체표면적의 비율을 보면, 머리 부위는 전신 체표면적의 7.6%, 목 부위는 1.5%, 몸통 부위는 35.8%, 팔 부위는 14.9%, 손은 4.8%, 다리 부위는 28.9%, 발은 6.5%를 차지하였다.
    4. 실측된 부위별 체표면적 비율을 이용해 다양한 의복의 피복비율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그림에서 남자는 총 70 개, 여자는 총 100 개로, ISO 9920에서 제시한 피복비율과 비교해 볼 때 차이는 약 0 ~ 9%였다.
    5. 측정한 23 개의 인체 계측 항목 들 중 전신 체표면적과 상관이 가장 높은 항목은 남녀 모두 몸무게였다 (r=0.958, p<0.01).
    6. 도출된 회귀모형 중 남녀 모두의 전신 체표면적 추정에 적합한 식은 다음 네 식이며, 네 식의 평균 오차는 각각 -0.95% (-10.6 ~ 10.7%), -0.29% (-6.4 ~ 5.4%), 0.17% (-7.0 ~ 5.0%), -0.1% (-4.8 ~ 5.3%) 였다.

    Estimated BSA=10.88Weight2/3-------------------------------<식. 1>
    Estimated BSA=5.36(Weight×Height)0.5---------------------<식. 2>
    Estimated BSA=94.6(Weight+Height)-4362----------------<식. 3>
    Estimated BSA=73.31Weight0.425×Height0.725---------------<식. 4>

    7. 평균 오차가 가장 적은 <식. 4>를 이용해 체표면적 추정표를 제시하였으며, 이 추정표는 키 140~189cm, 몸무게 35~110kg 인 한국인 남녀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
    8.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 65 명의 키, 몸무게 및 둘레항목 값을 선행 연구들의 전신 체표면적 추정식 (총 38 개)에 넣어 체표면적을 추정하였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최원로 (1956) 식에 의한 오차가 평균 -0.1%로 가장 적었다.
    9.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식. 1>~<식. 4>에, 실측치가 알려진 선행 연구 데이터 410 개를 적용하여 추정치를 구한 경우 추정치와 실측지와의 차이는 평균 0.4%, 오차의 절대값은 4.0% 범위로, 본 식들은 타 연구 결과에도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10. 손의 체표면적 추정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S=24.8X. (여기서, S=양 손의 체표면적(cm2); X=손목 둘레(cm)+손 둘레(cm)).
    11. 전면과 측면의 전신 사진 넓이로도 체표면적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넓이의 합에 의한 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 식에 의한 추정치의 오차 절대값의 평균은 2.9%였다.
    BSA(cm2)=2.1(Pf +Ps)+1000.7, (Pf+ Ps=전면과 측면 넓이의 합(cm2))
    12. 삼차원 스캔에 의해 얻어진 전신 체표면적 데이터는 알지네이트 법에 의한 결과보다 1,160~2,510cm2 적었고, 기존 선행 연구식들에 의한 추정치와 비교한 경우 값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차이가 큰 부위는 부위별 비율로 보았을 때 엉덩이와 손 부위였다.

    추후 20세 이하와 65세 이상 연령군을 대상으로 체표면적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산출된 식이 모든 연령대의 한국인에게 적합한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to measure and estimated body
    surface area of Koreans, and consisted of the following section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thods measuring surface area were evaluated, second,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body surface area of Korean adults using an alginate method and developed formulas for estimating body surface area, and third, the errors of the formulas derived from the present study and previous studies were calculated. 65 Korean adults (34 males and 31 females) were sampled on the basis of a national survey concerning the body shape and size of Koreans. The whole body surface area was measured directly using alginate, and the valu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gions of the body, gender, and body sha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hree measuring methods (plaster bandage, paper tape and alginate method) and two methods of analyses (planimeter and 2D scanning method) were valid and reliable to measure surface area. The present study selected the alginate method and analysis by 2D scanning.
    2. The body surface area was a mean 18,339cm2 (15,416-22,753 cm2) in the 34 males, and a mean 16,452cm2 (12,825~-22,025cm2) in the 31 females.
    3. The percentage of regional surface area to whole body surface area was a mean 7.6% for the head, 1.5% for the neck, 35.8% for the trunk, 14.9% for the arm, 4.8% for the hands, 28.9 % for the leg, and 6.5% for the feet.
    4. The covering area was presented in <Appendix>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BSA in the present study. The items total 70 pieces of men’s wear, and a total of 100 pieces of women’s wear. The difference between covering areas of ISO 9920 and the present study was about 0-9%.
    5. Among anthropometrical items, it was the body weight that showe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body surface area (r=0.958, p<0.01).
    6. The following models were derived as the best suited equations to measure body surface area. The mean error of each formula were -0.95% (-10.6-10.7%), -0.29% (-6.4-5.4%), 0.17% (-7.0-5.0%), and -0.1%(-4.8-5.3%) respectively.
    Estimated BSA=10.88Weight2/3-------------------------------<Eq. 1>
    Estimated BSA=5.36(Weight×Height)0.5--------------------<Eq. 2>
    Estimated BSA=94.6(Weight+Height)-4362----------------<Eq. 3>
    Estimated BSA=73.31Weight0.425Height0.725 ----------------<Eq. 4>

    7. A table for estimating the BSA of Koreans was presented. The table was based on <Eq. 4>, and applied to the Korean male and female between 140 to 189cm in height and 35 to 110kg in weight.
    8. The anthropometrical values of the 65 subjects were applied to the formula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mong the previous formulas, it was the Choi’s formula (1956) that showed the least error. The means error of the formula was -0.1%.
    9. Anthropometrical values (height, body weight and measured BSA)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applied to the formulas derived from the present study. The mean error of the present formulas (<Eq. 1> - <Eq. 4>) was 0.4 % and the absolute mean error was about 4.0%. He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sent formulas were applicable for estimating BSA of people in other countries.
    10. The formula for estimating the surface area of hands is as follows:
    S=24.8X. S=Surface area of hands (cm2); X=wrist circumference+Hand circumference (cm).
    11. Body surface area could be estimated by a formula based on the surface area of a photo, and the absolute mean error of the formula was 2.9%. The formula is as follow:
    BSA(cm2)=2.1(Pf +Ps)+1000.7, Pf+ Ps=the sum of front and lateral surface areas (cm2)
    12. The body surface area estimated by 3D scanning method was less by 1,160-2,510cm2 than the BSA measured by the alginate method.

    Through further studies, the four formulas derived from the present study should be examined using subjects under 20 years and over 65 years in 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인의 체표면적 값을 정확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첫째, 체표면적 실측 방법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둘째, 한국인 성인 남녀의 체표면적과 다양한 인체 계측 항목을 실측하여 체표면적과 인체 계측 항목들 간의 상관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체표면적 추정식을 산출하였으며, 셋째, 실측된 전신 체표면적 값을 기준으로 기존 체표면적 추정식들과 본 연구를 통해 유도된 체표면적 식의 오차 범위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 인체 치수 자료에 기초하여 다양한 한국인 체형의 대표성을 갖는 성인남녀 65 명 (남자 34 명, 여자 31 명)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전신 체표면적을 알지네이트 법으로 실측하였으며, 실측 결과를 전신 및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체도형을 대상으로 체표면적을 측정하는 세 가지 방법 (석고 붕대법, 종이 테이프법, 알지네이트 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세 방법 모두 통계적으로 타당도가 높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주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2. 전신 체표면적의 평균은 남자 18,339cm2 (15,416~22,753cm2), 여자 16,452cm2 (12,825~ 22,025cm2 ) 였다.
    3. 인체 부위별 체표면적의 비율을 보면, 머리 부위는 전신 체표면적의 7.6%, 목 부위는 1.5%, 몸통 부위는 35.8%, 팔 부위는 14.9%, 손은 4.8%, 다리 부위는 28.9%, 발은 6.5%를 차지하였다.
    4. 실측된 부위별 체표면적 비율을 이용해 다양한 의복의 피복비율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그림에서 남자는 총 70 개, 여자는 총 100 개로, ISO 9920에서 제시한 피복비율과 비교해 볼 때 차이는 약 0 ~ 9%였다.
    5. 측정한 23 개의 인체 계측 항목 들 중 전신 체표면적과 상관이 가장 높은 항목은 남녀 모두 몸무게였다 (r=0.958, p<0.01).
    6. 도출된 회귀모형 중 남녀 모두의 전신 체표면적 추정에 적합한 식은 다음 네 식이며, 네 식의 평균 오차는 각각 -0.95% (-10.6 ~ 10.7%), -0.29% (-6.4 ~ 5.4%), 0.17% (-7.0 ~ 5.0%), -0.1% (-4.8 ~ 5.3%) 였다.

    Estimated BSA=10.88Weight2/3-------------------------------<식. 1>
    Estimated BSA=5.36(Weight×Height)0.5---------------------<식. 2>
    Estimated BSA=94.6(Weight+Height)-4362----------------<식. 3>
    Estimated BSA=73.31Weight0.425×Height0.725---------------<식. 4>

    7. 평균 오차가 가장 적은 <식. 4>를 이용해 체표면적 추정표를 제시하였으며, 이 추정표는 키 140~189cm, 몸무게 35~110kg 인 한국인 남녀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
    8.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 65 명의 키, 몸무게 및 둘레항목 값을 선행 연구들의 전신 체표면적 추정식 (총 38 개)에 넣어 체표면적을 추정하였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최원로 (1956) 식에 의한 오차가 평균 -0.1%로 가장 적었다.
    9.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식. 1>~<식. 4>에, 실측치가 알려진 선행 연구 데이터 410 개를 적용하여 추정치를 구한 경우 추정치와 실측지와의 차이는 평균 0.4%, 오차의 절대값은 4.0% 범위로, 본 식들은 타 연구 결과에도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10. 손의 체표면적 추정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S=24.8X. (여기서, S=양 손의 체표면적(cm2); X=손목 둘레(cm)+손 둘레(cm)).
    11. 전면과 측면의 전신 사진 넓이로도 체표면적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넓이의 합에 의한 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 식에 의한 추정치의 오차 절대값의 평균은 2.9%였다.
    BSA(cm2)=2.1(Pf +Ps)+1000.7, (Pf+ Ps=전면과 측면 넓이의 합(cm2))
    12. 삼차원 스캔에 의해 얻어진 전신 체표면적 데이터는 알지네이트 법에 의한 결과보다 1,160~2,510cm2 적었고, 기존 선행 연구식들에 의한 추정치와 비교한 경우 값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차이가 큰 부위는 부위별 비율로 보았을 때 엉덩이와 손 부위였다.

    추후 20세 이하와 65세 이상 연령군을 대상으로 체표면적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산출된 식이 모든 연령대의 한국인에게 적합한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활용방안>
    체표면적(BSA)이란 인체의 총 피부면적으로 정의되며, 의류학 뿐만 아니라, 의학, 약학, 보건학, 인간공학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체측정의 기준 단위로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 들면, 체표면적은 인체의 에너지 대사율을 표시하는 대표적 단위이고, 약물 투여량을 결정하는 기준 단위로 이용되어 왔으며 (Pinkel, 1958), 온열 생리학 분야에서 평균피부온도 추정식의 계수인 안분비율로 활용되어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Mitchell & Wyndham, 1969). 또한 다양한 포유류의 사구체 수와 신장 무게는 체중이 아니라 체표면적과 비례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으며 (Smith, 1951), 심장 기능과 관련하여 심박출량은 체표면적 당으로 표시된다 (Krovetz, 1965: Grollman, 1929). 이외, 산업 독성학 분야에서 체표면적은 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작업자의 노출 평가 시 기준 단위로 사용되며 (Scocum & Shern, 1991; Coffman et al., 1999), 화상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화상을 입은 부위 피부 체표면적의 정확한 추정은 화상의 진단 및 치료에 아주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Livingston & Lee, 2000; Nagal & Schunk, 1997; Nichter et al., 1985).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표면적은 인체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기준 단위로 자리잡고 있고, 다수의 연구자들도 인간의 생리적 현상은 키나 체중보다는 체표면적에 더 비례한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 색인어
  • 전신 체표면적, 부위별 체표면적의 비율, 체표면적 추정식, 피복비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