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융합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 방안,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1) 융합형 접근의 학문적 기여도
의사소통역량은 우리의 청소년이 민주사회의 일원 ...
본 융합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 방안,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1) 융합형 접근의 학문적 기여도
의사소통역량은 우리의 청소년이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화시대의 일류시민으로서, 사회에 나아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구인이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 이외에도 교육학, 심리학 및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갖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결과는 물론이고, 이에 더하여 최신 뇌과학 연구 결과들을 융합하여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이론 연구 및 적용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 수업에 곧바로 적용되어, 실제적으로 활용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사회과학과 뇌 과학을 융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이 프로그램을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뇌과학 융합연구의 실제 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며, 뇌과학 연구의 실제 교육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2)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에 따른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고등학생들의 교실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시도는 공교육 붕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사회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 것이다. 현재의 공교육 붕괴는 대학입시의 구조적 문제도 있지만, 과도한 선행학습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동기가 소진되어서 실제 수업에서 흥미를 잃는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이 말하게 만들어 주는 교육프로그램, 의사소통하게 해주는 교육프로그램,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학생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진다면, 학업적 측면이나 생활지도 측면에서 커다란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된다면, 본 연구는 공교육 붕괴에 따른 갖가지 사회문제의 해결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2) 인력양성 방안
미래의 리더는 의사소통역량을 갖춘 인재이다. 일찍이 구미 각국은 말하기와 토론을 잘 하는 리더를 육성하는데 주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비하여 우리는 뿌리깊은 유교적 문화의 영향을 “침묵이 금이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팽배해왔고, 아직도 이러한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제는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토론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를 본격적으로 육성할 때이다. 우리의 청소년들이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의 주인이 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면서 자연스럽게 과제지속력이 높아질 수 있어야 고도의 전문성도 발휘할 수 있을 것이고, 글로벌 리더로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는 청소년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켜주는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구축과 적용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교육의 질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글로벌 리더가 되는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의사소통향상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은 실제 중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 교사-학생 의사소통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참여관찰 및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다시 교실수업에 적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적용한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환류하여 추후에도 교육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개발, 적용된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은 그 자체로서 의사소통역량 향상의 의미가 있을뿐더러, 자칫 수업에 흥미를 잃기 쉬운 사춘기의 청소년들에게 교육적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