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환경으로의 변화는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 기업은 스마트 업무, 개인은 스마트 주거, 그리고 사회는 스마트 도시, 더 나아가 스마트 사회를 구성하게 된다. 이 3부분에 대해서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
스마트한 환경으로의 변화는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 기업은 스마트 업무, 개인은 스마트 주거, 그리고 사회는 스마트 도시, 더 나아가 스마트 사회를 구성하게 된다. 이 3부분에 대해서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사회의 행태적, 그리고 그 설계나 구성을 위한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융복합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씨앗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와 스마트 공간(Smart Space)”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고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 조직 차원의 성과 중심 관리와 조직 학습 등의 세부 주제를 융합형 합동연구를 시도한다. 새싹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와 공간에 대한 기본 연구를 토대로 “스마트 사회(Smart Society)”의 변화를 연구한다. 개인의 삶을 포괄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 제도 및 정부의 역할 등으로 연구 범위 및 규모를 확대하여 수행한다. 문화, 교육 등의 사회과학 타분야와 융합한 형태로서, 스마트 시대의 일과 삶에 대한 국제적인 협동 연구를 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ICT로 인한 일과 공간의 변화: 행태, 디자인, 시스템의 연구”이다. 정보화에 따라 개인의 삶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스마트 지식사회로의 전이 과정을 ‘스마트워크와 공간’을 키워드로 연구하여 그 의미와 미래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세부주제로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국내ㆍ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워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관점들을 Time, Space, Process, Technology(System), People, Organization 로 도출하였다. 여기 여섯 가지의 관점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스마트 지식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지식 근로, 또는 창의 근로와 같은 과업과 업무의 변화가 수반될 것이고, 이러한 변화의 근간에는 이를 지원하여 주는 ICT기술의 단계적 발달과 수용이 있을 것이다. 또한 이렇게 변화되는 과업과 업무의 상황과 관련해서는 시간의 자율성과 공간의 유연성이 스마트워크의 대표적인 속성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아울러서 스마트워크를 수행하는 근로자 개인의 특성이나 성향, 더 나아가서는 업무수행방법의 수용과 만족 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고, 혼자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고 조직과 구조 하에서 과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조직과 관련한 변수들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는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규범적인 연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융합연구가 진행되도록 각 연구원들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차원들을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맡아서 문헌과 이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첫째, Space & Time –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 시간과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 둘째, Process & Technology(System) – 정보통신 기술로 인한 과업 및 업무의 변화와 업무의 시각에서 보는 기술. 세째, People & Organization – 스마트워크를 위한 사람과 조직, 그리고 사람과 조직을 위한 스마트워크. 이들을 유기적으로 진행이 될수록 실증과 사례, 그리고 국제협력에 있어서는 맡은 차원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씨앗 단계에는 스마트공간과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용어를 정의하고 개념을 정립한다. 이는 본 연구과제 제안을 위해 사전적으로 수집된 국내ㆍ외 문헌 6,000여건을 중심으로, 개별 연구자의 연구 분야에서 스마트워크 와 스마트 공간과 관련된 재택근무, 유연근무, 원격근무, 그리고 근로자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생산성 향상, 성과 중심 주의 등의 다양한 키워드에 대한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수행한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메타 에스노그라피/분석(Meta Ethnography/Analysis) 방법론을 활용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학술 결과들로부터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통해 일의 변화상에 대하여 업무와 기술 관점,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에 따른 협업 스타일 관점, 그리고 개인 삶의 질과 조직 성과 주의 관점 등을 행태, 디자인, 시스템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