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븐 칼둔의 리더십 이론과 아랍 왕정국가의 왕권 승계: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사례 연구
Ibn Khaldun's Leadership Theory and Succession of Kingship in the Arab Monarchies: A Case Study of Saudi Arabia and Kuwai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846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6 개월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영철
연구수행기관 서울장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과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승계를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적용하여 연구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1)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분석하여 아랍왕정국가의 왕권승계연구를 위한 분석틀과 변수를 도출한다.
    2)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승계를 비교ㆍ분석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1) 중동 아랍왕정국가 왕권승계에 대한 후속 연구 촉진
    2) 중동 정치발전 일반에 대한 연구 촉진
    3) 본 연구가 개발하는 독창적인 연구방법론의 국내ㆍ외 학자들과의 공유
    4) 연구결과 발표를 통한 학술활동 촉진
    5) 현지조사 과정에서 중동학 관련 학계, 연구기관 및 공공단체와의 학술교류증진 및 인적 네트워크 형성
    2. 연구과제의 창의성과 도전성
    1) 중동 정치연구의 방법론 및 패러다임 발전에 기여
    2) 차후 중동의 다른 지역연구에 방향성 제시
    3) 중동의 생태적, 사회ㆍ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좀 더 균형 잡힌 연구방법 및 패러다임 창출에 기여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중동의 특유한 종교ㆍ문화의 맥락에서 걸프 아랍 왕정국가 왕권승계의 실체에 적실성 있게 접근하기 위하여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적용하여 현대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승계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의 필요성
    1) 걸프지역 왕정국가의 왕권 승계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ㆍ외에서의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2)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기초로 한 분석틀로 중동아랍왕정국가의 왕권승계를 연구하는 최초의 시도이다.
    3) 우리나라의 에너지 자원 확보에서 중요한 걸프지역 아랍국가의 왕권승계에 관한 연구로서, 중동아랍왕정국가의 정치변동의 방향성 제시.

    3. 세부 연구내용
    1) 제1차년도: 이븐 칼둔의 리더십 이론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왕권승계 연구(1953-2017). 이븐 칼둔의 리더십 이론 분석 및 아랍 왕정국가의 왕권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추출. 사우디아라비아의 왕권승계 연구.
    2) 제2차년도 연구주제: 쿠웨이트의 왕권 승계 연구(1965-2017). 쿠웨이트의 왕권승계과정 연구.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승계를 비교ㆍ분석하여 걸프지역 왕정국가 왕권승계 패턴 제시.

    4. 연구대상 및 기간
    1) 연구 대상 국가와 기간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현대국가 창립부터 2017년 말까지이다. 2) 총 연구기간은 2년이며 제1차 년도에 사우디아라비아, 제2차 년도에 쿠웨이트를 연구한다.

    5. 연구방법

    베링턴 무어와 테다 스카치폴이 개발한 거시인과 분석법 중 차이법을 도입한다. 각종 계량적 자료와 통계 수치 등을 분석하여 변수들 간 상관관계 또는 인과관계 규명에 노력하되 정성적 연구방법도 병행한다. 계량적 방법에 의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정밀한 인과관계의 분석보다는 좀 더 느슨한 형태의 접근과 검증 형태로 수행될 것이다.

    6. 자료수집 내용 및 방법
    ① 국내ㆍ외 도서관의 관련 문헌의 조사와 검색, ② 국내ㆍ외 학계에서 발표된 이론과 선행 연구에 대한 조사와 문헌 및 자료의 수집, ③ GCC 국가의 각종 보고서 등 자료와 국내ㆍ외 공공기관 및 단체에서 발행된 자료의 수집, ④ 국내ㆍ외 언론 기관의 보도 자료, ⑤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 승계 과정에 적용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하는 변수는 첫째, 이븐 칼둔이 부족 및 사회연대의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싸비야(asabiyah), 둘째, 종교로서의 이슬람과 울라마 등 종교계와 사우디 왕정체제 안정성과 그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셋째, 통치왕가의 부정부패와 이 문제에 대하여 의회와 언론의 통제, 넷째, 군대, 경찰, 국가정보기관 등 물리적인 강제기제의 장악능력과 왕정체제 안정성 간 상관관계 분석, 다섯째, 왕가 이외의 부족 및 국내ㆍ외 정치, 사회 세력과 주요 행위자와의 연대 및 동원능력, 여섯째, 주요 국정과제의 수행 및 행정능력 등이다.

    본 연구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 승계 과정에 대한 연구결과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븐 칼둔은 군주의 부정적인 속성과 자질로서, 군주의 악한 성품, 사치와 낭비, 그로 인한 재정고갈, 통치자 본인 또는 가족과 지지자들에 의한 재물 독점 등을 든다. 사우드 국왕이 파이잘 왕세제와의 패권경쟁에서 패배한 결정적인 요인은 사우드 왕궁의 사치와 낭비, 그리고 그로 인한 재정고갈, 그의 가족과 지지자들에 의한 재물 독점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왕자들의 재물 및 권력 분배 과정에서의 소외였다.

    둘째, 사우드 국왕은 압둘아지즈 국왕에 의해 형성되었던 사우드 왕가 내 아싸비아를 무시하고, 왕권을 그의 직계 아들에게 승계하려 시도했다. 반면 파이잘은 칼리드, 파하드, 압둘라 등 왕가 내 실세였던 이복형제들과 동맹관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셋째, 사우드 국왕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역내 후견국가였던 미국이나 영국과의 동맹관계 구축과 그 유지에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 암살 음모 등 결정적인 대외정책의 실패로 파이잘 왕세제와의 패권경쟁에서 패배했다.

    넷째, 이븐 칼둔은 왕권은 우세한 아싸비야와 물리적 강제력을 통해 획득된다고 주장한다. 사우드 국왕은 1964년 파이잘과의 왕권을 둘러싼 대결에서 물리적인 강제력을 동원하는데 실패했다. 반면 파이잘은 미국과 영국의 지원 하에 국가방위군과 정규군을 동원하여 사우드 국왕의 저항을 무력화시켰다.

    다섯째, 이븐 칼둔은 왕권의 단일성과 배타적 속성을 강조한다. 즉 통치자는 권력의 독점을 추구하며 권력을 나누거나 공유하는 것을 꺼린다는 것이다. 사우드 국왕과 무함마드 왕세자는 권력을 독점하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통제받지 않는 권력 행사를 선호했다.

    여섯째, 압둘아지즈 국왕의 유언에 따라 1953년 압둘아지즈 국왕 타계 이후 그의 유언에 따라 압둘아지즈의 아들들은 형제간 왕권승계를 규범화, 제도화하였다. 그러나 사우드 국왕, 살만 국왕, 그리고 무함마드 왕세자는 1964년과 2015년 왕권 승계 관련 정치과정에서 이러한 규범을 손상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kingship succession in Saudi Arabia and Kuwait by applying Ibn Kaldun's leadership theory to the analysis.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a framework for analysis is needed to the study of the Saudi and Kuwait kingship succession in the context of the intellectual tradition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Arab monarchical regime in the Arabian Peninsula.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change theory of Ibn Khaldūn (1332-1406), the greatest Arab scholar, and analyzes the cases of the kingship succession in Saudi Arabia by applying his political change theory. The conclus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negative attributes and qualities of the monarch, Ibn Kal'dun refers to the evil character of the monarch, luxury and waste, the resulting depletion of financial resources, and the monopoly of wealth by the ruler himself or his cronie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King Saud's defeat in his hegemonic power struggle against the then prince Faisal was the luxury and waste of the Saud palace, the resulting financial exhaustion of the government. It caused the alienation of the other senior princes in the royal family.

    Second, King Saud weakened the Asabiyya of the Saudi ruling family, which had been strengthened by King Abdulaziz. And King Saud attempted to succeed to his immediate son against his father's will. On the other hand, Faisal was able to develop alliance with the influential leading princes to his side, including the senior ulama and succeeded to dethrone King Saud in 1964.

    Third, King Saud failed to establish and maintain an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which were guardians in the region at an international level. In the process, he was defeated in the competition for supremacy with King Faisal due to the failure of critical foreign policies, such as the Saudi intelligence plot to assassinate Egypt's President Gamal Abdel Nasser.

    Fourth, Ibn Kal'dun argues that the kingship is acquired through the dominant Asabiya and coercive military forces. King Saud failed to mobilize such coercive military forces in the 1964 confrontation with Faisal over the throne. Faisal, on the other hand, mobilized national defense forces and regular troops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to neutralize King Saud's resistance.

    Fifth, Ibn Kal'dun emphasizes that the ruler seeks a monopoly of power and is reluctant to share political power. King Saud and crown prince Muhammad bin Salman were willing to monopolize power and preferred uncontrolled exercise of power.

    Sixth, after King Abdulaziz's death in 1953, Abdulaziz's sons institutionalized the succession rules of kingship among brothers according to his will. However, King Saud, King Salman, and crown prince Muhammad bin Salman undermined these norms in the political proces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in 1964 and 2015.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을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 승계 과정에 적용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하는 변수는 첫째, 이븐 칼둔이 부족 및 사회연대의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싸비야(asabiyah), 둘째, 종교로서의 이슬람과 울라마 등 종교계와 사우디 왕정체제 안정성과 그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셋째, 통치왕가의 부정부패와 이 문제에 대하여 의회와 언론의 통제, 넷째, 군대, 경찰, 국가정보기관 등 물리적인 강제기제의 장악능력과 왕정체제 안정성 간 상관관계 분석, 다섯째, 왕가 이외의 부족 및 국내ㆍ외 정치, 사회 세력과 주요 행위자와의 연대 및 동원능력, 여섯째, 주요 국정과제의 수행 및 행정능력 등이다.

    본 연구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왕권 승계 과정에 대한 연구결과 이븐 칼둔의 리더십이론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븐 칼둔은 군주의 부정적인 속성과 자질로서, 군주의 악한 성품, 사치와 낭비, 그로 인한 재정고갈, 통치자 본인 또는 가족과 지지자들에 의한 재물 독점 등을 든다. 사우드 국왕이 파이잘 왕세제와의 패권경쟁에서 패배한 결정적인 요인은 사우드 왕궁의 사치와 낭비, 그리고 그로 인한 재정고갈, 그의 가족과 지지자들에 의한 재물 독점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왕자들의 재물 및 권력 분배 과정에서의 소외였다.

    둘째, 사우드 국왕은 압둘아지즈 국왕에 의해 형성되었던 사우드 왕가 내 아싸비아를 무시하고, 왕권을 그의 직계 아들에게 승계하려 시도했다. 반면 파이잘은 칼리드, 파하드, 압둘라 등 왕가 내 실세였던 이복형제들과 동맹관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셋째, 사우드 국왕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역내 후견국가였던 미국이나 영국과의 동맹관계 구축과 그 유지에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 암살 음모 등 결정적인 대외정책의 실패로 파이잘 왕세제와의 패권경쟁에서 패배했다.

    넷째, 이븐 칼둔은 왕권은 우세한 아싸비야와 물리적 강제력을 통해 획득된다고 주장한다. 사우드 국왕은 1964년 파이잘과의 왕권을 둘러싼 대결에서 물리적인 강제력을 동원하는데 실패했다. 반면 파이잘은 미국과 영국의 지원 하에 국가방위군과 정규군을 동원하여 사우드 국왕의 저항을 무력화시켰다.

    다섯째, 이븐 칼둔은 왕권의 단일성과 배타적 속성을 강조한다. 즉 통치자는 권력의 독점을 추구하며 권력을 나누거나 공유하는 것을 꺼린다는 것이다. 사우드 국왕과 무함마드 왕세자는 권력을 독점하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통제받지 않는 권력 행사를 선호했다.

    여섯째, 압둘아지즈 국왕의 유언에 따라 1953년 압둘아지즈 국왕 타계 이후 그의 유언에 따라 압둘아지즈의 아들들은 형제간 왕권승계를 규범화, 제도화하였다. 그러나 사우드 국왕, 살만 국왕, 그리고 무함마드 왕세자는 1964년과 2015년 왕권 승계 관련 정치과정에서 이러한 규범을 손상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성과

    제1차 년도 연구결과 논문을 작성하여 국제학술대회에서 2차례 발표하였으며, KCI급 학술지에 논문 1편을 게재 완료하였다(2021년 2월 28일). 게재 논문의 제목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왕권승계 연구(1953-2020): 이븐 칼둔의 정치변동이론을 통한 분석」이다.

    제2차 년도 연구결과 논문을 작성하여 2020년 9월 12일 한국중동학회-한국이슬람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온라인)에서 발표하였으며, KCI급 학술지에 논문 1편을 2021년 10월 31일까지 게재할 계획이다. 게재 예정 논문의 제목은 「쿠웨이트의 왕권승계 연구(1965-2020)」이다.

    2. 연구결과 활용계획

    1) 학문적 사회적 기대효과

    첫째, 중동 아랍왕정국가의 왕권승계에 관한 본 연구는 개척적인 연구로서 이 분야 후속연구와 중동정치일반에 대한 연구를 촉진시킬 것이다.
    둘째, 본 연구가 개발하는 독창적인 연구방법론의 국내ㆍ외 학자들과의 공유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현지조사 과정에서 중동학 관련 학계, 연구기관 및 공공단체와 학술교류를 증진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현지 및 미국, 영국 등 해외 학계와 동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공유한다면 국내 학계의 질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2) 교육과의 연계활용방안

    첫째, 본 연구 결과는 중동 정치일반, 정치사상, 비교정치, 중동지역연구, 중동 현대사, 중동의 문화 등을 교육시키는 기관에서 학습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과제는 2년 간 연구책임자 1명에 의해서 수행된다. 연구 수행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각종 학술대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본 연구의 독창적인 연구방법론을 대학의 강의와 학계 학술대회에 발표하고 이를 학술지 및 저서에 출판하여 실제 연구과정에서 습득하고 개발한 방법론과 연구결과를 공유할 것이다.

    3) 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연구자는 한국중동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등 연구과제 관련 학회 및 연구소에서 개최하는 학술대회 및 학술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유사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학술, 정보, 현지사정,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심도 있는 토의와 의견교환이 가능하다.
  • 색인어
  • 이븐 칼둔, 왕권승계, 리더십이론, 아랍 왕정, 아싸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